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재정칼럼] 액티브(Active) 투자의 문제점

액티브 투자는 펀드 매니저가 투자자의 돈을 모아 유망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펀드 매니저 혼자 결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정보와 자나 깨나 기업을 분석하는 주식 선별가(Stock Analyst)의 의견 등을 종합해 투자를 결정한다. 이런 이유로 펀드의 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당연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집콕’ 생활이 이어지면서 많은 사람이 주식투자에 열광하기 시작했다. 콘서트는 취소되고 스포츠 관람도 어렵고, 여행도 갈 수 없기에 컴퓨터 앞에 앉아 주식투자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이 시기에 폭발적으로 인기를 끈 것이 ‘돈나무 언니’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운용하는 아크(ARK) 펀드였다. 아크 이노베이션 펀드는 한때 높은 수익률을 발표하며 단숨에 유명해졌다.     캐시 우드는 TV 등에도 출연해 본인이 투자한 기업들의 급성장 가능성을 언급했고 투자자들은 이에 열광했다. 캐시 우드의 별명 ‘마마 캐시(Mamma Cathie)’와 희망이라는 우드의 사진이 박힌 티셔츠까지 유행했지만 이런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다. 주식시장(S&P 500) 지수는 올해 들어 8% 이상 상승했는데 아크의 플래그십 펀드인 이노베이션 펀드는 오히려 19% 폭락했다. 아크가 운용하는 6개 액티브 펀드의 현재 자산 총액도 작년 말 대비 30%나 급감하며 111억 달러까지 쪼그라들었다. 한창 전성기던 2021년에 기록한 590억 달러와 비교하면 무려 80%가 사라진 것이다.   우드가 가장 많이 투자한 테슬라 주식은 올해 들어 거의 반 토막 난 상태다. 테슬라를 제외하더라도 이노베이션 펀드를 구성하는 다른 주식도 올해 성적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스트리밍 업체 로쿠의 주가는 36%, 그리고 유니티 소프트웨어는 44%나 하락했다.   우드는 최근 CNBC에 출연해 현재 170달러 수준인 테슬라 주식이 5년 후에는 2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 전망인지는 모르겠다.     지난해 엔비디아(Nvidia)의 주가는 239%나 폭등했다. 그런데 우드는 지난해 1월 엔비디아 주식을 처분했다. 그때 팔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었다면 가치는 거의 4배로 불어났을 것이다.     유전자 치료 기업 인바이테(Invitae)가 파산보호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인바이테는 2020년 시가총액이 70억 달러를 넘어섰고 주가는 50달러 이상 기록하기도 했다. 인바이테는 캐시 우드가 투자한 생명공학 기업이다. 우드는 이 회사가 유전자 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회사라면서 자사 포트폴리오 중 가장 과소 평가된 주식이라고 평가했었다.   아크 이노베이션 편드는 자금, 유능한 기업 평가 전문인, 막대한 정보력 등에서 일반 투자자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있다. 그런데도 투자한 기업이 파산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펀드 평가 회사인 모닝스타는 일반 투자자 손실이 가장 큰 것이 아크 펀드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아크 펀드의 지난 10년간 손실액은 무려 143억 달러에 달한다.       모닝스타에 따르면 아크 펀드는 최근 12개월간 연평균 18%, 3년간 마이너스 29%, 5년간 마이너스 1%의 수익률을 냈다. 이는 1년 동안 25%, 3년 동안 8%, 5년 동안 14%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S&P 500과 비교하면 한심한 수준이다.     필자는 오래전부터 주변 사람의 투자 조언이나 특정 주식 전문가의 투자 비법에 현혹되지 말고 꾸준히 투자할 것을 추천했다. 인덱스 펀드나 ETF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형성해서 운용하면 성공 투자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액티브 active 액티브 투자 액티브 펀드 이노베이션 펀드

2024.06.09. 19:22

썸네일

액티브 시니어 겨냥 실버타운 살아볼까

  '은퇴 후 어디서 살 것인가'는 은퇴를 앞둔 이들에게는 지상 최대의 화두다. 아마 이 리스트 순위에는 한국행이나 자녀가 살고 있는 지역, 은퇴 후 꼭 살고 싶었던 지역 등이 물망에 오를 수 있겠다. 또 거주 중인 주택을 팔고 더 작은 집으로 이사해 여윳돈을 마련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나이가 들수록 거동이 불편해지면서 돌봐줄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된 은퇴 커뮤니티를 고려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최근 시니어 커뮤니티가 각광받고 있다. 더욱이 경제력을 갖춘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가속화되면서 고급 실버타운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이런 분위기에 발맞춰 최근 의료, 레크리에이션, 요리, 청소, 컨시어지 서비스를 갖춘 럭셔리 실버타운 신축이 붐이다. 은퇴 커뮤니티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봤다.     ▶베이비부머 은퇴 현황   연방센서스국에 의하면 2020년 미국 인구 중 5600만 명이 65세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미국 인구 6명 중 1명에 해당한다. 그리고 203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7500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정부 데이터 제공업체이며 비영리단체인 USA팩트(USAFacts)에 따르면 2022년 전국 가구의 46%는 어떤 퇴직 예금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국 가구의 25% 조금 넘는 수가 10만 달러 이상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50만 달러 이상의 예금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 가구는 9% 정도였다.     그러다 보니 은퇴 전엔 막연하게나마 은퇴 후 기후 좋은 휴양지나 유람선 장기 여행, 이동식 주택 등 다양한 은퇴지를 꿈꿔 보지만 막상 은퇴 시기가 다가올수록 통장 잔고에 가로막혀 실현 불가능함을 깨닫게 된다. 은퇴자금 부족에 맞닥뜨린 상당수 은퇴자들은 기존 주택을 매매해 작은 집으로 이사해 은퇴 자금을 마련하기도 한다.     ▶은퇴 커뮤니티 인기     55세 이상만 입주할 수 있는 커뮤니티는 여타 부동산과 마찬가지로 가격은 천차만별이다. 수영장, 스파, 골프 코스를 갖춘 럭셔리 커뮤니티부터 중산층 은퇴자를 위한 소박한 커뮤니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가격 불문 이곳에 입주하길 희망하는 이들이 이곳에서 기대하는 것은 비슷한 연령대와 함께 어울리며 건강하게 여생을 보내는 것이다. 커뮤니티 입주를 위해서는 신청서를 접수해야 하는데 일부 인기 커뮤니티는 입주 경쟁이 치열하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입주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부동산 에이전트에게 문의, 원하는 커뮤니티 성격과 가격을 설명하고 현재 매물로 나온 리스팅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만약 신축 커뮤니티 입주를 원한다면 임대 사무실에 연락해 모델하우스 투어를 하고 신청서를 작성하면 된다.     ▶은퇴 커뮤니티 신축 붐     전국 건축개발업자를 위한 간행물인 빌더 온라인(builderonline.com)에 따르면 최근 '빌더 100'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개발업체 중 44%가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은퇴 커뮤니티 건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주를 비롯해 애리조나, 메릴랜드, 버지니아에 55세 이상 커뮤니티 6곳을 운영하고 있는 TRI포인트 그룹 마케팅 책임자 리다 마멧 CMO는 “베이비부머는 이전 세대보다 탄탄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으며 무엇보다 활동적인 세대”라며 “그래서 커뮤니티 안에 산책 및 자전거 코스를 설계하는 것은 기본이고 단층을 기본으로 개방형 주방, 손님을 치르기 좋은 넓은 뒷마당, 채광을 높이기 위해 많은 창문 등 일반 주택과는 다른 구조로 건축한다”고 설명했다.     또 '빌더 온라인'에 따르면 최근 신축 실버타운은 이전보다 주택 사이즈가 작고 부대시설도 골프 코스나 호화로운 골프 클럽보다는 카페, 산책 코스 등과 같은 베이비부머들의 니즈를 반영한 소박하면서도 효율적인 부대시설이 인기라고 한다.     ▶장단점     55세 이상 커뮤니티 거주에 있어 최대 장점은 거주자의 안전이 확보된다는 점이다. 이는 외부침입자로부터 입주민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치안이 좋다는 것 외에도 주택 내부 역시 계단을 최소화하고 넓은 문 사이즈 등 갈수록 노령화되어가는 입주민들이 실내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게 주택이 설계됐음을 의미한다. 또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피트니스센터를 비롯해 입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클럽 활동, 취미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 시니어들이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무엇보다 비슷한 연령대의 주민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어울릴 수 있다는 것도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다. 그러나 단점도 있다. 아마도 커뮤니티 입주를 고려하는 이들에게 가장 큰 걸림돌은 높은 HOA 및 기타 부대 비용일 것이다. 55세 이상 커뮤니티는 대부분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이를 관리하는데 드는 HOA 비용이 비쌀 수밖에 없는데 일부 커뮤니티는 월 HOA 비용이 수 천 달러에 이르기도 한다. 또 많은 가구가 있다 보니 입주민들의 안전과 평화를 위해 규칙과 규정이 까다로운 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는 소음을 내서는 안되며 주택 외관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으며 외부 방문객의 장기 체류 또한 금지된 곳도 많다.     또 55세 이상 비슷한 연령대의 거주자들과 어울리고 소통하는 것을 좋아하면 문제가 아니지만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 어울리며 자유롭게 사는 것을 선호하는 이들에게는 커뮤니티 입주가 좋은 선택지가 아닐 수 있다. 이주현 객원기자실버타운 액티브 은퇴 커뮤니티 럭셔리 커뮤니티 베이비부머 은퇴

2024.01.24. 18:0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