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약값 대폭 내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인하하도록 제약회사들을 압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약회사들에게 다른 국가들이 지불하는 가격과 맞춰 자사 약품 가격을 내리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약가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받는 '최혜국 대우'(Most Favored Nation, MFN) 정책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행정명령 이후 30일 이내에 보건복지부 장관은 각 제약 회사에 최혜국 대우 정책에 따라 각 의약품의 가격 목표를 전달해야 한다. 이후 6개월 이내에 제약회사들이 보건복지부 장관이 명령한 가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연방정부는 각 제약회사에 페널티를 준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제약회사의 미국 내 약값이 다른 나라 가격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부는 해당 기업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현재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5%도 채 되지 않지만, 전 세계 제약산업은 이익의 4분의 3을 미국에서 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발표에 따르면 미국의 처방약 가격은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세 배 수준에 달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아직까지 어떤 의약품이 가격 인하 대상에 포함되는지 등은 구체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첫 임기에도 최혜국 대우 정책을 추진하고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제약업계의 반대 등의 이유로 끝내 시행하지 못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약값 의약품 트럼프 행정부 해당 제약회사 트럼프 대통령

2025.05.12. 20:13

썸네일

의약품 관세 예고에 약값도 ‘들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으로 인해 의약품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제약 업계는 약의 원재료와 약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관세 부과가 장기화할 경우 약값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는 곧 약품 소비가 많은 시니어는 물론 환자들의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한인이 많이 찾는 한국산 일반의약품도 최근 가격 인상 기미가 보인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미국인을 우선하는 약값 인하’ 행정명령과 배치되는 것이다.     USA투데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약값 인상은 물론 의약품 부족 사태에 직면할 것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 초 대부분의 수입품에 보편관세 10%를 부과했다. 이 과정에서 의약품은 예외에 포함돼 제약업계는 한숨을 돌렸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8일 수입 의약품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혀 제약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제약업계가 긴장하는 이유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의약품 비중이 턱없이 낮아서다. 특히 의약품 특허 만료 후 똑같은 성분으로 만드는 복제약(제네릭 의약품)은 대부분 해외 수입품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BBC 방송은 미국에서 처방되는 약 10개 중 9개는 수입산(복제약)이라고 전했다.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학과 마리아나 칼리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미국에서 유통되는 복제약의 14%만 국내 생산하고, 나머지 86%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미국에서 복제약 비중이 높은 이유는 ‘싼 가격’ 때문이다. 복제약이 처방전의 90%를 차지하지만, 전체 의약품 지출에서는 13.1%만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복제약을 미국에 수출하는 대표적인 나라가 인도와 중국이라는 점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두 나라에 보복관세를 강조할수록 수입 의약품 가격 인상 우려도 커진다.     의약품 전문가들은 두 나라에 부과하는 관세를 높이고, 의약품 관세 예외 조처도 철회할 경우 약값은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 이달 초 ING리서치는 ‘관세로 인한 의약품 가격 인상 예고’ 보도자료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의약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소비자는 약값으로 15~20%를 더 지불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인 약국들도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인들이 많이 찾는 한국산 일반의약품 10가지 중 1~2가지는 판매가가 소폭이지만 이미 올랐다고 했다. 다만 여러 한인 약국이 미리 확보한 재고를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체감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가주한인약사회 마틴 김 회장은 “복제약은 인도, 중국, 한국 등에서 대부분 들여온다”면서 “의약품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보험회사가 어느 정도를 환자에게 반영할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약값 한국산 일반의약품 약값 인하 수입 의약품

2025.04.30. 20:46

썸네일

약값 무더기 인상…새해부터 화이자·사노피 등

새해부터 제약사들이 처방약 가격을 일제히 인상할 계획이다.     로이터통신은 화이자, 사노피, 다케다 등 주요 제약회사들이 이달 초 140개 이상 브랜드의 500개 이상 의약품 가격을 인상한다고 메디컬 리서치 회사인 3액시스 어드바이저스 분석을 인용해 최근  보도했다.     3액시스 어드바이저스 분석에 따르면 새해 인상되는 의약품 중 25% 이상이 화이자 약품이다. 화이자는 124개 의약품 가격을 인상하고 계열사인 호스피라의 22개 약품에 대한 추가 인상을 한다.   다케다 소유의 박살타는 지금까지 53개 약품 가격 인상을 밝혔고 벨기에 제약사인 UCB 파마는 40개 의약품에 대한 가격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사노피는 올해 대부분의 인슐린약 가격을 인하하기로 약속했지만 이번 달에 장티푸스, 광견병, 황열병 백신 가격을 각각 9%씩 인상할 예정이다.   약값 인상률은 10% 이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년 동안 높은 인상률로 비난을 받자 10% 이하를 유지해온 제약업계의 관행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의약품 가격 책정 비영리단체인 46 브루클린에 따르면 중간 가격 인상률은 2019년 이후 약 5% 수준이다.     지난해 제약회사들은 1425개 의약품 가격을 인상했다. 이는 2022년 1460개보다 감소한 수치다. 제약회사들이 기존 약품의 가격 인상을 줄였지만 새로 출시한 의약품의 가격은 기록적인 수준이다. 2022년에는 새로 출시된 의약품 가격이 2021년 첫 6개월 동안 약 18만 달러에서 22만 달러를 넘으며 20% 이상 증가했다.     제약사들의 가격 인상은 바이든 정부의 일부 고가약 가격 인하 압력과 인플레이션과 제조비용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해 8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메디케어에 등재된 10개 의약품 목록 공개에 이어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보다 높게 가격을 인상한 의약품 48개 목록을 공개하며 제약업계를 압박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메디케어 프로그램은 2026년부터 일부 약품에 대해 직접 가격 협상을 할 수 있다.     이런 움직임 속에 이번 달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 3개 회사는 일부 천식, 헤르페스, 항간질제 등 최소 15개 의약품 가격을 인하할 예정이다.   가격 인하 조치는 의약품 가격을 높게 유지할 경우 2021년 미국구조계획법(ARPA)에 따라 부과될 수 있는 벌금을 피하기 위한 의약업계의 자구책으로 풀이된다.     새해 초부터 제약사의 의약품 가격 대거 인상 조치로 바이든 정부의 의약품 가격 인하 전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의약품 가격 인하 정책을 추진해왔다. 올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정부 움직임이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화이자 약값 약값 인상률 의약품 목록 이상 의약품

2024.01.02. 22:14

뉴저지주 약값 규제 강화

뉴저지주가 비싼 약값으로 인해 제대로 약을 먹지 못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주요 처방약값을 적극 규제하는 법을 시행한다.   필 머피 주지사는 10일 ▶뉴저지주 전역에서 팔리는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인슐린(insulin)과 천식 환자들을 위한 흡입약(asthma inhalers) 등 주요 처방약의 판매 상한가를 정하고 ▶약국과 제약사의 부당한 약값 책정을 관리 감독하고 ▶약국에서 근무하는 베니핏매니저(pharmacy benefit managers)들이 의무적으로 라이선스를 받도록 하는 등의 각종 규제 내용을 담은 법안들(S1614/S16015/A536)에 서명했다.   머피 주지사가 서명한 이들 3개 법이 내년부터 시행되면 1달 사용 기준으로 인슐린은 최대 35달러, 천식 흡입약은 50달러 상한 가격이 정해진다. 또한 주정부는 제약사들의 약값 결정과 공급망을 관리 감독하는 패널을 구성 운영하고, 은행보험국은 약국 베니핏매니저를 대상으로 라이선스 발급을 통해 부당한 약 가격 책정을 규제하게 된다.   뉴저지주가 처방약값 규제에 나선 것은 최근 발표된 페어리디킨슨대 조사에서 뉴저지주 50세 이상의 주민 중 65%가 “약값이 지나치게 높아 부담이 된다”고 대답했고, 실제로 62만2000명에 달하는 당뇨병 환자 중 상당수가 인슐린을 정상적으로 복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편 미은퇴자협회(AARP) 조사에 따르면 2020년 1년 동안 뉴저지주에서 1000개 이상의 각종 처방약값이 인상됐다. 박종원 기자뉴저지주 약값 뉴저지주 약값 처방약값 규제 뉴저지주 전역

2023.07.11. 21: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