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얀센 접종 대상 제한…FDA "혈전 위험 있어"

연방 식품의약청(FDA)이 혈전 부작용 위험을 이유로 존슨앤드존슨사의 제약 부문 자회사 얀센이 만든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를 제한하기로 했다.   5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FDA는 얀센 백신 접종자를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다른 백신을 맞을 수 없거나 추가 접종이 어려운 성인 등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2회 접종인 화이자나 모더나와 달리 얀센은 1회만 맞는다.   또 화이자나 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을 거부하는 성인도 대상에 포함됐다. mRNA 백신의 경우 드물게 10∼20대 남성에게서 심근염 부작용이 간혹 확인됐다.   FDA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고 2주 내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위험성에 대한 자료를 다시 살펴본 후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보건당국은 얀센 접종 시 혈전 위험이 드물게 나타나지만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에서 올해 3월 18일 기준으로 60명이 확인됐고 이 중 9명이 사망했다.   전국적으로 얀센 백신 접종횟수는 1870만명분으로 모더나(2억1750만회)나 화이자(3억4060만회)보다 훨씬 적다. 하수영 기자얀센 접종 얀센 접종 백신 접종 얀센 백신

2022.05.06. 20:59

“얀센보다 모더나·화이자 권장”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문기구가 존슨앤존슨(J&J) 얀센 백신보다 모더나·화이자 등 다른 백신을 권장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16일 CDC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 표결 결과, 15명 전원이 얀센 백신보다 모더나 혹은 화이자를 추천한다고 밝혔다. 얀센 접종 후 전국에서 수십명의 사람들이 희귀 혈전 질환을 앓고 있다는 점이 주된 이유였다.     지난 2월 연방 식품의약청(FDA)이 얀센 백신을 긴급 승인한 후 약 1700만회 백신이 접종됐는데, 혈소판 감소 증후군 등을 동반한 혈전 질환이 54건 발생했다. 36명은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고, 9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9명 중 7명은 여성이었고 대부분 비만·고혈압·당뇨 등 기저 질환이 있었다.     ACIP 위원인 파블로 산체스 오하이오 주립대 소아과 교수는 “사망할 수도 있는 백신을 추천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화이자 얀센 화이자 권장 얀센 백신 얀센 접종

2021.12.16. 18:44

"다른 사람과 일하면 부스터샷 맞아라"

추수감사절 연휴와 이어지는 겨울철을 앞두고 보건 관리들이 주민들에게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을 맞으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면역력이 약해 치명적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경우도 가능한 빨리 맞으라고 요구했다.   바버러 페러 LA보건국장은 “최근 들어 주민들의 백신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면서 “불행히도 감염되면 다른 사람도 감염시킬 수 있으며 결국 매우 심각한 질병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계자들은 특히 우려하는 상황은 ▶일하러 가면 다른 사람이 함께 있는 경우 ▶접종할 수 없는 영유아나 감염 시 심각한 질병의 위험이 있는 시니어, 과체중자, 임신부인 경우 ▶흡연 경력자,  고혈압, 당뇨, 천식, 우울증. 알코올/약물 사용 장애 경우▶코로나19에 의해 큰 타격을 받았거나 확진자가 많은 커뮤니티 내에 있는 경우라고 지적했다.     보건 관리들은 특히 화이자나 모더나의 2번째 접종이 6개월 이상 지났거나 얀센 접종 후 2개월경과한 18세 이상의 주민은 부스터샷을 맞을 때라고 강조했다.   주민들이 부스터샷을 맞으려면, 우선 마이턴(MyTurn.com)사이트에서 예약을 하면 되는데 대개 약국, 클리닉 및 카운티 운영 예방 접종 센터에서 맞을 수 있다.       장병희 기자부스터샷 la보건국 백신 부스터샷 접종 센터 얀센 접종

2021.11.16. 22: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