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조지아서 자녀 기르려면 20만불 필요

18세까지 평균 20만1058불 들어   조지아주에서 자녀 양육에 드는 비용이 전국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지아에서 자녀를 만 18세까지 기르기 위해서는 20만달러가 필요하다.   온라인 금융플랫폼 렌딩트리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조지아에서 자녀를 낳아 18년간 기르는데 드는 비용은 평균 20만 1058달러다. 2023년 기준 17만 6626달러에서 2년간 13.8% 증가했다. 평균 가구소득이 12만 846달러임을 고려하면 연소득의 15.9%를 양육비에 지출하는 셈이다.   양육비는 무자녀 가구와 자녀 1명을 둔 가구간 생활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식료품비, 주거비, 보건의료비, 양육비, 교통비 등을 추산했다.   조지아의 경우 이중 보육시설 이용료가 연 평균 1만 1066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통비(3116달러)와 가족 의료보험료(2373달러)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조지아는 미시시피주(19만 402달러), 사우스 캐롤라이나주(20만 958달러)에 이어 전국 50개주 가운데 세번째로 양육비 부담이 적은 주다. 인근 앨라배마주(20만 7637달러), 노스 캐롤라이나주(21만 5461달러)도 양육 비용이 저렴하다.   전국 평균은 29만 7674달러다. 렌딩트리가 조사한 50개주 가운데 양육비 부담이 가장 큰 곳은 하와이주(36만 2891달러), 노스 다코타주(32만 5158달러), 워싱턴주(31만 8714달러) 등으로 나타났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조지아 양육비 조지아주 양육비 양육비 교통비 양육비 부담

2025.04.24. 14:42

고물가 양육비 부담…부모들 '알아야 절세'

고물가에 자녀 양육 비용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납세자들은 세법 곳곳에 숨겨진 부모들을 위한 다양한 세제 정책을 활용해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혜택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세부 내용을 이해하고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가주한인공인회계사협회(KACPA)의 제임스 이 회장은 “다양한 세금 혜택에 대해 제대로 알면 효과적으로 절세할 수 있다”며 “다만 직접 세금 보고 시 혜택의 범위와 자격을 잘 숙지하고 활용해야 한다. 비용이 들더라도 회계사를 통해 정확한 세금 보고와 혜택을 최대로 받는 것 또한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법 전문가들이 조언하는 부모를 위한 세금 혜택 및 주의 사항 다섯 가지를 소개한다.   ▶자녀세액공제   2024년과 2025년의 자녀 세액공제(Child Tax Credit) 최대 금액은 만 17세 미만의 자녀 1인당 2000달러다.   다만, 부부 공동 신고 시 조정 총소득(MAGI)이 40만 달러 이상이거나, 단독 신고 시 20만 달러를 초과하면 공제 금액이 점차 줄어든다. 부부 공동 신고자의 MAGI가 48만 달러를 초과하면 이 공제를 받을 수 없다.   ▶보육비 공제   유연지출계좌(FSA)는 고용주가 제공하는 혜택 중 하나로, 직원들이 비과세 소득을 특정 지출 항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특히 부양자녀 FSA는 부모가 보육비를 사전 공제된 급여로 충당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활용하면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여름 캠프 등 13세 미만 자녀의 보육비를 포함한 여러 비용을 세전 소득에서 차감해 사용할 수 있다. 연간 최대 납입 한도는 가구당 5000달러다.   ▶교육비 저축   자녀의 교육비를 대비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제도 중 하나는 529 플랜이다. 이 플랜은 대학 등록금 및 기숙사비 등 적격 교육비에 대해 세금 없이 자산을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연간 최대 1만 달러까지 K-12 학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직업 교육 비용과 최대 1만 달러까지 학생 대출 상환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교육비 세제 혜택   기회세액공제(AOTC)는 학생 1인당 연간 최대 2500달러까지 세금을 줄여준다. 이는 대학 교육의 첫 4년 동안 적용되며, 등록금과 교재 관련 비용에는 적용되지만 기숙사비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평생 학습 세액공제(LLC)는 공제 금액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적용 범위가 넓다. 1년당 최대 2000달러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대학원 교육과 직업 교육에도 적용된다.   학생 대출 이자를 납부하는 경우 연간 최대 2500달러까지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키디 택스(Kiddie Tax)   부모에게 의존하는 만 24세 미만 자녀의 이자, 배당금 등 불로소득은 부모의 한계 세율(marginal tax rate)로 과세될 수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자녀의 투자 소득이 2600달러를 초과 시 해당된다.   부양 자녀는 특정 소득 기준을 초과할 경우 개별적으로 세금 신고를 해야 한다. 2024년 기준으로 불로소득이 1300달러 이상, 근로 소득이 1만4600달러 이상 또는 자영업 소득이 400달러 이상일 경우 세금 신고가 필요하다. 우훈식 기자양육비 고물가 자녀 세액공제 절세 혜택 세금 혜택

2025.03.02. 19:30

콜로라도, 자녀 1명당 양육비 24만6,589달러

 콜로라도에서 자녀 1명당 출생부터 18세까지 키우는데 드는 비용은 약 25만달러로 51개주(워싱턴DC) 포함) 가운데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 트리’(Lending Tree)가 자녀 1명을 태어나 18세까지 키우는데 필요한 음식, 의복, 교통, 차일드 케어 등 필수비용을 비롯해 렌트, 건강보험, 세금보고 등 여러 항목의 지출을 조사해 각 주별로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51개주 가운데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주는 하와이로 31만4,529달러에 달했다.이어 2위는 알래스카주 27만930달러, 3위는 매릴랜드주 25만9,149달러, 4위는 워싱턴주 25만7,388달러, 5위는 오레곤주 25만2,558달러의 순이었다. 콜로라도는 24만6,589달러로 6번째로 자녀 양육 부담이 컸다. 7위는 코네티컷주 24만194달러, 8위 버지니아주 23만8,953달러, 9위 네브라스카주 23만8,720달러, 10위는 아이다호주 23만4,172달러였다. 미전국 평균은 23만7,482달러다. 반면, 51개주 중 18세까지 자녀 양육비용이 제일 적은 주는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16만9,327달러에 그쳤다. 가장 많은 하와이주와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적은 액수다.   이어 미시간주(17만4,440달러), 조지아주(17만6,626달러), 델라웨어주(18만688달러), 미시시피주(18만5,350달러)의 순으로 낮았다. 이밖에 뉴욕주는 14위(22만6,849달러), 캘리포니아주는 16위(22만5,627달러), 텍사스주는 31위(20만7,830달러), 플로리다주는 34위(20만390달러), 일리노이주는 35위(19만8,778달러)였다. 18세까지의 자녀 양육비용에는 대학과 관련된 등록금, 기숙사비 등의 교육비용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녀의 대학졸업까지 드는 비용을 포함시킨다면 부모들의 부담은 몇배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자료에서는 2021년 기준 어린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각 주별 연간 평균 지출액도 비교했는데, 하와이주가 3만506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워싱턴 DC가 3만97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어 워싱턴주(2만8,166달러), 매사추세츠(2만7,535달러), 매릴랜드(2만7,317달러), 뉴욕(2만6,17달러), 캘리포니아(2만5,680달러), 오레곤(2만5,432달러), 뉴 저지(2만5,390달러), 네브라스카(2만5,280달러)의 순으로 톱 10에 들었다.  미전국 평균 연간 양육비는 2만1,681달러로 5년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19.3%나 늘어났다. 콜로라도는 연간 2만5,169달러로 전국 평균 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전국 순위도 11위로 최상위권에 속했다. 콜로라도에서 어린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렌트비(1,356달러), 음식(2,111달러), 차일드 케어(1만5,881달러), 의복(113달러), 교통비(2,130달러), 건강보험(3,578달러) 등이었다. 어린 아이 양육 연간 비용이 제일 적게 드는 주는 미시시피로 1만5,555달러(전국 51위)였고 그 다음은 알라배마(1만6,192달러/50위), 아칸사(1만6,284달러/49위), 사우스 다코타(1만6,395달러/48위), 조지아(1만6,477달러/47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다른 주들의 순위는 일리노이 19위(2만2,310달러), 텍사스 31위(1만9,921달러), 플로리다 39위(1만8,914달러) 등이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양육비 자녀 양육비용 콜로라도 자녀 자녀 1명당

2023.10.24. 14:01

콜로라도, 자녀 1명당 양육비 24만6,589달러

 콜로라도에서 자녀 1명당 출생부터 18세까지 키우는데 드는 비용은 약 25만달러로 51개주(워싱턴DC) 포함) 가운데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 트리’(Lending Tree)가 자녀 1명을 태어나 18세까지 키우는데 필요한 음식, 의복, 교통, 차일드 케어 등 필수비용을 비롯해 렌트, 건강보험, 세금보고 등 여러 항목의 지출을 조사해 각 주별로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51개주 가운데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주는 하와이로 31만4,529달러에 달했다. 이어 2위는 알래스카주 27만930달러, 3위는 매릴랜드주 25만9,149달러, 4위는 워싱턴주 25만7,388달러, 5위는 오레곤주 25만2,558달러의 순이었다. 콜로라도는 24만6,589달러로 6번째로 자녀 양육 부담이 컸다. 7위는 코네티컷주 24만194달러, 8위 버지니아주 23만8,953달러, 9위 네브라스카주 23만8,720달러, 10위는 아이다호주 23만4,172달러였다. 미전국 평균은 23만7,482달러다. 반면, 51개주 중 18세까지 자녀 양육비용이 제일 적은 주는 사우스 캐롤라이나로 16만9,327달러에 그쳤다. 가장 많은 하와이주와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적은 액수다. 이어 미시간주(17만4,440달러), 조지아주(17만6,626달러), 델라웨어주(18만688달러), 미시시피주(18만5,350달러)의 순으로 낮았다.이밖에 뉴욕주는 14위(22만6,849달러), 캘리포니아주는 16위(22만5,627달러), 텍사스주는 31위(20만7,830달러), 플로리다주는 34위(20만390달러), 일리노이주는 35위(19만8,778달러)였다.18세까지의 자녀 양육비용에는 대학과 관련된 등록금, 기숙사비 등의 교육비용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녀의 대학졸업까지 드는 비용을 포함시킨다면 부모들의 부담은 몇배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자료에서는 2021년 기준 어린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각 주별 연간 평균 지출액도 비교했는데, 하와이주가 3만506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워싱턴 DC가 3만97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어 워싱턴주(2만8,166달러), 매사추세츠(2만7,535달러), 매릴랜드(2만7,317달러), 뉴욕(2만6,17달러), 캘리포니아(2만5,680달러), 오레곤(2만5,432달러), 뉴 저지(2만5,390달러), 네브라스카(2만5,280달러)의 순으로 톱 10에 들었다. 미전국 평균 연간 양육비는 2만1,681달러로 5년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19.3%나 늘어났다. 콜로라도는 연간 2만5,169달러로 전국 평균 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전국 순위도 11위로 최상위권에 속했다. 콜로라도에서 어린 아이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렌트비(1,356달러), 음식(2,111달러), 차일드 케어(1만5,881달러), 의복(113달러), 교통비(2,130달러), 건강보험(3,578달러) 등이었다. 어린 아이 양육 연간 비용이 제일 적게 드는 주는 미시시피로 1만5,555달러(전국 51위)였고 그 다음은 알라배마(1만6,192달러/50위), 아칸사(1만6,284달러/49위), 사우스 다코타(1만6,395달러/48위), 조지아(1만6,477달러/47위)의 순이었다. 이밖에 다른 주들의 순위는 일리노이 19위(2만2,310달러), 텍사스 31위(1만9,921달러), 플로리다 39위(1만8,914달러) 등이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양육비 자녀 양육비용 콜로라도 자녀 자녀 1명당

2023.10.20. 12:51

양육비 지원 프로그램 내년부터 영구화 추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자녀 양육수당 명목으로 매달 현금으로 선지급됐던 자녀세금크레딧(Child Tax Credit)이 내년 재도입되고 영구 제도로 정착이 추진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9일 발표한 6조9000억 달러 규모의 20204회계연도(2023년 10월~2024년 9월) 예산안에 자녀세금크레딧을 매달 현금으로 선지급하는 ‘미국인 구제안’을 되살려 영구적으로 시행하는 항목을 포함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이 프로그램을 통해 팬데믹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과 중산층 가정에 자녀 양육수당 명목으로 매달 현금을 지원했다. 당시 연 소득 15만 달러 미만의 부부는 6세 미만 자녀의 양육수당으로 월 300달러씩 총 3600달러를 지원받았으며, 6~17세 자녀의 경우 월 250달러씩 총 3000달러를 받았다.   연방센서스국 통계에 따르면 당시 이 제도를 통해 약 290만 명의 아동이 빈곤 상태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공화당과 보수 민주당 상원의원의 반대로 1년 만에 종료됐고 바이든 대통령은 이 제도를 부활시켜 미국 가정들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종종 밝혀왔다.   또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발표한 예산안에는 기업과 부자 증세를 통해 향후 10년간 총 2조9000억 달러에 달하는 연방정부 적자를 줄이고, 메디케어 기금을 확대해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상위 0.01%의 자산가들에게 최소 25%의 세율을 적용한다. 특히 연 소득 40만 달러가 넘는 개인의 소득세 최고 세율을 현행 37%에서 39.6%로 올리고 메디케어 세율도 3.8%에서 5%로 인상해 시니어 의료 서비스 기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법인세율도 21%에서 28%로 늘린다. 대신 40만 달러 이하 연 소득자에겐 세금을 추가로 올리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하원 다수당인 공화당이 증세안을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원안이 통과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나는 증세가 답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의회 관계자들은 예산안이 원안대로 통과되기 어렵지만, 내년 재선 도전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에 지지력을 결집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공화당이 서민과 중산층에 대한 복지를 줄이고 세금을 늘리면서도 부자에 대한 증세를 반대해 왔다며 강하게 비판해 왔다.   이 밖에 바이든 대통령의 예산안에는 향후 25년 이내에 암 사망률을 절반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연구자금으로 28억 달러가 포함됐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프로그램 양육비 영구화 추진 양육비 지원 내년 재선

2023.03.09. 21:28

자녀 1명 양육비, 17세까지 31만불

자녀 양육에 30만 달러 이상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자녀를 17세까지 양육하는데 드는 비용은 31만607달러다. 연평균 1만8271달러가 든다는 의미다.     연구소 측은 연방농부무(USDA)가 지난 2017년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5년생이 17세가 되는 2032년까지의 예상 양육비(인플레이션 반영)를 산출했다. 더욱이 산출 기초 자료인 농무부의 수치가 전국 평균임을 고려하면 물가가 비싼 가주에서 자녀를 키우는 비용은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7년 조사치인 23만3610달러와 비교하면 5년 만에 7만 달러(33%) 이상 증가한 셈이다.     브루킹스 시니어 펠로우이자벨소힐은 “부담스러운 양육비 때문에 둘째 또는 자녀 계획을 아예 포기하는 가정도 있다”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자녀 양육비에 비중이 큰 식료품비가 작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데다 백투스쿨 쇼핑 비용은 물론 자녀 통학 시의 개스값까지 오르지 않은 걸 찾기 어려울 정도이기 때문이다. 특히 데이케어와 애프터스쿨 비용도 올라 부모들의 재정 부담은 더 늘었다.   이명섭  UC샌디에이고 경제학과 교수는 “렌트비를 포함한 주거 비용이 치솟으면서 한인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더 많이 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수연 기자양육비 작성 자녀 양육비 자년 양육비 브루킹스 시니어

2022.08.21. 19:16

LA 자녀 양육비, 주거비용 추월

LA카운티 거주민들의 양육비용 부담이 주택비용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연구옹호단체 인사이트 센터에 따르면 LA카운티에 거주하는 미취학 및 취한 자녀를 둔 4인 가족의 월평균 양육비가 2450달러로 주택비용 2058달러를 뛰어넘었다고 LA타임스가 보도했다.   양육비가 지난 2014년 이래 45%가 증가한 것으로 샌프란시스코의 경우는 증가 폭이 81%로 LA의 두배에 육박했다.   대다수의 가정이 이 같은 양육비 부담을 감당하기 힘든 상황으로 주 정부가 중간소득 미만인 가구에 대해 양육비 일부 또는 전체를 차등 지원하고 있으나 자격이 되는 영유아의 14%만을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이다.   중간소득 이상 가정이라 할지라도 종종 자녀들을 위한 케어 프로그램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전부터 부족했던 가주내 보육시설이 팬데믹 이후 등록 감소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전체 프로그램의 약 4분의 1일 일시 또는 영구 폐쇄됐기 때문이다.   한편, 레디내이션의 2019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3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가 이용할 수 있는 저렴한 보육시설 부족으로 가주에서 소득, 생산성, 세수 손실이 매년 최소 68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낙희 기자주거비용 양육비 양육비용 부담 월평균 양육비 NAKI 박낙희

2022.01.17. 20: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