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아름다운 우리말] 몸짓언어와 언어 접촉

장 자크 루소의 ‘인간 언어 기원론’을 보면 ‘고대인은 무엇이든지 가장 생생한 방법으로 말했다. 그들은 언어로 표현하지 않았고, 기호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사물에 대해 말하지 않고, 보여주었다. (이봉일 역)’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는 ‘생생하다’는 표현에 마음이 갔습니다. 바로 몸짓과 그림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몸짓언어는 생생합니다. 상형문자는 생생합니다. 논리적이고 문법적인 언어는 구체적인 듯하나 생생하지는 않습니다. 느낌이 그대로 전달되지는 않는 겁니다. 상형문자의 생생함도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문자의 발달로 인해서 몸짓언어와 상형문자의 생생함을 잃어버렸습니다. 지금은 상형문자는 해석하기도 어렵습니다.   저는 언어 접촉에서 빠뜨려서는 안 되는 게 몸짓언어라고 생각합니다. 몸짓은 그야말로 몸이 하는 말입니다. 말은 근본적으로 입이라는 신체기관을 통해서 나오는 소리이므로 몸이 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몸의 움직임으로 말이 보여주는 느낌보다 깊은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므로 몸짓은 생생한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눈은 그대로 언어입니다. 바라보는 눈빛은 수많은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손은 어떻습니까. 손짓을 한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손도 그대로 언어입니다. 말없이 손만으로도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때로는 더 강력한 의미를 담습니다.   눈이나 손은 말 이상의 위력을 보여줍니다. 소리를 내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더 큰 힘이 있습니다. 그윽하게 바라보고, 말없이 쳐다보고, 노려보고, 째려보고, 훑어보고, 깔보고, 올려다봅니다. 손으로는 오라고, 가라고, 싫다고, 아니라고, 응원한다고 다양한 행위를 합니다. 손사래를 치거나, 박수를 치고, 잡아당기기도 하고, 밀어내기도 합니다. 어떤 말보다 강력한 의사전달입니다. 손짓발짓이라는 표현은 있는데, 우리는 보통 발짓은 잘 안 합니다. 오히려 발길질을 하죠. 여기에서 ‘짓과 질’은 행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몸짓언어는 본능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지극히 문화적이기도 합니다. 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습관이고 버릇이 굳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에 따라, 문화에 따라 행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접촉의 현장에서 몸짓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몸짓을 본능으로 받아들이면 수많은 오해가 발생합니다. 물론 문화마다 비슷한 몸짓도 많습니다. 대부분의 문화에서 화가 나면 주먹을 쥐고, 눈을 부라리며, 가슴을 펴고, 씩씩댑니다. 하지만 어디서나 비슷할 것 같았던 행위가 다르게 해석되면 당황스럽습니다. 오라는 손짓이 문화마다 다릅니다. 어떤 문화에서는 손짓 자체가 무례한 행위입니다. 아마 너무 직접적이어서 그럴 수 있겠습니다.   같은 문화권 사람끼리 살 때는 말도, 몸짓언어도 그렇고 크게 문제될 일이 없습니다. 이런 문화적 배경을 ‘고맥락’이라고 합니다. 고맥락 문화는 상황이 중요합니다. 서로 상황에 대한 이해가 근본이 됩니다. 반면에 저맥락은 상황을 배제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말이나 글이 중요합니다. 정확하게 말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사회는 저맥락한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이 복잡해질수록, 이동이 많을수록, 다른 문화권과 접촉이 많아질수록 세상은 저맥락한 문화로 바뀝니다.   고맥락한 사회에서는 서로 상황을 이해하기에 ‘척하면 척’입니다. 부정확하게 말해도 이해하고, 눈빛만 봐도 무슨 뜻인지 알아차립니다. 그야말로 ‘말이 필요 없습니다.’ 말하지 않아도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겁니다. 말로 표현하는 것은 더 자세히 설명하려고 할 때입니다. 감정의 전달은 몸짓으로 충분합니다. 그런데 다른 문화의 사람이 섞여서 살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눈빛이나 눈짓은 오해를 사기 딱 좋습니다. 많은 행위가 잘못 전해집니다. 몸짓언어가 언어 접촉에서 중요한 이유입니다.   몸짓언어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접촉이고, 소통입니다. 당연히 귀한 행위입니다. 따라서 서로의 몸짓언어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있어야 합니다. 가깝게는 가족이나 친구부터, 멀리는 다른 언어 사용자나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말입니다. 몸짓언어가 생생하다는 것은 우리의 감정을 가장 잘 전달한다는 의미도 됩니다. 말을 하더라도, 글을 쓰더라도 몸짓언어는 필수적입니다. 몸짓언어의 접촉이 언어 접촉 이해의 시작이기 바랍니다. 몸짓이 오해의 언어가 아니라 이해와 배려의 언어이기 바랍니다.아름다운 우리말 몸짓언어 언어 언어 접촉 문법적인 언어 언어 사용자

2025.10.26. 17: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