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사설] 건물주·업주도 고객 안전 책임있다

LA 한인타운 식당 주차장에서 한인 고객들이 권총 강도를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피해자들은 저녁 식사를 마치고 본인 차로 향하다 봉변을 당했다. 범인은 어두운 주차장에 숨어있다 이들에게 총을 겨눴다. 피해자들은 금품만 빼앗긴 것이 아니라 범인으로부터 폭행까지 당해 심한 상처도 입었다. 70대 시니어인 피해자는 거구의 범인이 휘두른 주먹에 맞아 자칫 위험한 사태로 이어질뻔 했다.   인구 밀집도가 높고 유동인구도 많은 한인타운은 각종 범죄가 많은 지역이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감소세를 보였던 범죄가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특히 각종 절도와 폭력, 강도 사건 등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범행 수법도 갈수록 대담해져 주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이번 주차장 강도 사건도 이런 실상을 보여주는 예다. 범인은 대담하게도 식당 주차장에서 범행 대상을 물색했다. 아무리 저녁 시간이라도 식당 주차장은 고객 출입이 빈번한 곳이다. 그런데도 범인이 범행 장소로 선택했다는 것은 사전 답사를 했다는 의미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주차장에는 시큐리티가드는 물론 방범등 같은 기본적인 방범 시설조차 없었다.     이 주차장에서는 몇 달 전에도 차량 내 절도사건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일을 겪고도 건물주나 업주는 아무런 후속 조치도 하지 않았던 셈이다. 고객의 안전은 생각하지 않는 건물주나 업주의 안전불감증이 문제다. ‘설마’ 했다가 비슷한 일이 또 벌어진 것이다.      고객이 편하고 안전하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서비스다. 고객 편의는 무시한 채 수익에만 신경을 쓴다면 고객들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다.      곧 연말 모임 시즌이 시작된다. 건물주나 업주들은 경찰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도 고객 안전을 위한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사설 건물주 업주도 업주도 고객 고객 안전 한인 고객들

2023.11.01. 18:12

특식 제공하고, 추수감사절 보너스 2배

#. 플러싱에서 ‘김차열 명품갈비’를 운영하는 김차열 사장은 최근 직원들에게 특식을 자주 제공한다. 일할 사람을 찾기 어려운 요즘, 한 명이라도 그만두면 타격이 만만치 않아서다. 고민 끝에 결정한 특식 메뉴는 회덮밥과 삼겹살 구이. 그는 “한 번에 160~200달러 가량 쓰지만 직원이 안 그만두는 것이 더 중요하고, 다행히 직원들도 만족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 박광민 뉴욕한인식품협회 회장은 자신이 운영하는 델리의 직원들에게 올해 추수감사절 보너스를 예년의 두 배로 줬다. “어려운 시기에 함께 일해줘 고맙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샌드위치 등을 잘 만드는 핵심 직원이 갑자기 그만두면 큰 문제”라며 “직업소개소를 통하면 좋은 직원도 찾기 어렵다”고 전했다.   뉴욕 한인 업체들도 팬데믹이 유발한 노동력 부족사태를 피해갈 수 없었다. 1일 관계자들에 따르면, 연말 모임에서도 인력부족과 물가가 주된 화두다. 업주들은 “직원 눈치를 보며 어르고 달래는 분위기”라며 “오미크론 변이도 좋을 게 없는 뉴스”라고 입을 모았다.   맨해튼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날이 추워질수록 야외식당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그만둘까 걱정이다. 겨울인데도 야외에서 식사하는 손님들은 백신을 안 맞은 경우도 많고, 서비스 속도에 대한 컴플레인도 많기 때문이다. 그는 “야외식당 당번을 정해서 돌려야 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네일업계는 인력을 신중히 구하고 있다. 사업체 규모가 10명에서 5~6명 정도로 쪼그라들다 보니 되도록 기술자를 잡으려 노력하는 데 쉽지는 않다. 이상호 뉴욕한인네일협회장은 “기술자를 구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팬데믹이라도 좋은 기술자가 있으면 손님이 찾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인 자영업자들은 인력난의 배경으로 ▶타민족 인력부족 ▶‘일’에 대한 인식변화를 꼽았다. 타민족 인력들은 최근 대면위험이 적은 하우스키핑 업계로 대거 이동하기도 했다. 김영환 먹자골목상인번영회 회장은 “조금 일하고 적게 벌겠다는 분위기도 커진 것 같다”고 전했다. 또다른 식당 사장은 “예전 직원에게 ‘이제 일할 때 되지 않았냐’며 연락했는데, 아직 모아둔 돈을 쓰며 쉬겠다는 답이 돌아왔다”며 놀라워했다.     노동력 부족은 통계로도 확인된다. 상시인구조사(CPS)에 따르면 고등학교 중퇴학력 노동자 퇴사율은 올해 2.8%로, 2019년(2.1%) 대비 크게 올랐다. 뉴저지경제산업협회에 따르면 사업운영자 73%는 직원찾기가 어렵다고 답했고, 72%는 직원을 구하려 임금을 올렸다. 응답자들은 “감당할 수 있는 수준보다 높게 임금을 올렸다”며 “‘숙련된 노동력’ 구하기가 가장 어렵다”고 언급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업주도 인력난 이상호 뉴욕한인네일협회장 박광민 뉴욕한인식품협회 추수감사절 보너스

2021.11.30. 17:3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