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뉴왁공항 에어트레인 건설 마침내 ‘첫 삽’

뉴저지주 뉴왁 리버티 국제공항의 노후 모노레일 시스템을 교체하는 35억 달러 규모의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마침내 착공했다.     7일 뉴욕뉴저지항만청(NYNJPA)에 따르면, 이날 뉴왁공항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공사에 착수했다. 기존 투입 예정이었던 예산 20억5000만 달러 규모의 약 두 배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됐으며, 예산 조달 지연으로 인해 착공 시점이 계획보다 5년 늦어졌다.   이번 프로젝트는 뉴왁공항의 전면적인 현대화 계획의 핵심 사업으로, 약 30년 가까이 된 기존 모노레일을 교체해 공항 이용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뉴왁공항에 신설될 에어트레인은 승객들의 짐을 포함해 최대 160명까지 수용 가능하며, 이는 현재 모노레일이 수용 가능한 인원의 두 배 이상이다. 뿐만 아니라 편안한 좌석과 새로운 조명, 실시간 안내판 등 현대적 기능이 도입될 예정이다.     랄프 탐부로 항만청 에어트레인 프로젝트 총괄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인프라 교체를 넘어, 모든 승객에게 더 나은 접근성과 기능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가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노후화된 시스템으로 인해 고장이 잦았던 기존 모노레일 교체 작업은 2019년 추진되기 시작됐으나, 예산 상승 및 업체 선정 문제로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이에 항만청은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소규모 계약으로 나눠 진행함으로써 비용 상승과 일정 지연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선택했다. 오스트리아 업체 '도플메이어(Doppelmayr)'가 새로운 철도 시스템과 차량 구축 및 운영을 맡게 됐고, 캐나다 엔지니어링 업체 '스탠텍(Stantec)'이 유지보수 시설 설계와 기존 시스템 철거 계획을 수립했다. 또 지난해 11월 항만청은 에어트레인 선로 구조와 신규 플랫폼 설계 및 건설을 담당할 업체와 핵심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이제서야 본격적인 에어트레인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이다.     항만청은 이번 프로젝트가 뉴왁공항 이용객들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공항 재개발의 중심축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설 에어트레인은 2030년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에어트레인 건설 에어트레인 프로젝트 항만청 에어트레인 이번 프로젝트

2025.10.08. 22:20

썸네일

라과디아 에어트레인 프로젝트 중단

 그간 논란을 빚어온 라과디아공항 에어트레인(LGA·AirTrain) 프로젝트가 중단됐다.     뉴욕·뉴저지항만청은 12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의 요청에 따라 에어트레인 프로젝트의 진행을 일시 중단하고 대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라과디아공항 에어트레인 프로젝트는 공항에서 7번 전철 메츠-윌레츠포인트역까지 1.5마일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총 21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롱아일랜드에서는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를 통해, 미드타운 맨해튼에서는 7번 전철을 이용해 메츠-윌레츠포인트역까지 이동한 후 에어트레인을 통해 공항까지 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최근 빌 드블라지오 뉴욕시장, 도노반 리차드(민주) 퀸즈보로장과 지역 정치인들, 그리고 교통 관련 시민단체들은 공항 이용객의 대부분이 맨해튼 쪽에서 출발하거나 맨해튼 방향으로 향하지만, 에어트레인은 반대 방향인 동쪽의 메츠-윌레츠포인트역과 연결돼 이동경로가 비효율적이라며 프로젝트 진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호컬 주지사에게 촉구해 왔다.   이용객을 고려하지 않은 우회 경로 문제 외에도 과도하게 투입될 예산에 대한 문제도 지적돼 왔다. 즉 프로젝트 초기 검토시 약 4억5000만 달러로 추정됐던 총 예산이 무려 21억 달러로 급증함에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철도노선이 될 것”이라는 비아냥까지 받게 된 것이다.     호컬 주지사의 지시에 따라 프로젝트를 보류한 항만청 측은 관련 단체 및 독립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거쳐 라과디아공항으로 진입하는 다른 대중교통 방안과 경로에 대한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장은주 기자

2021.10.13. 20: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