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신 영웅전] 에이브러햄 링컨

아마도 에이브러햄 링컨(1809~1865)은 역사가 자기를 잘못 평가하고 있다고 구천에서 투덜거릴 것이다. 링컨이라면 노예 해방부터 떠올리지만, 역사의 평가는 다르다. 노예 해방의 가치를 인정하지만, 역사가들은 그가 전쟁이 끝난 뒤 적의(敵意)에 가까운 남북을 통합해 대제국을 건설한 ‘건국의 중부(仲父)’라는 데 더 큰 의미를 둔다.   켄터키의 촌뜨기로 태어난 링컨은 일리노이 주 스프링필드에 정착해 겨우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지만, 인자한 계모의 사랑을 받으며 성실하게 공부했다. 역사상 처음 고졸 출신으로 대통령 자리에까지 올랐으나 상류 사회의 푸대접을 많이 받았다.   광대뼈가 튀어나오고 볼이 움푹 팬 링컨은 추남이었다. 대선에 출마하자 선전 포스터를 찍으려던 사진사가 그 얼굴을 보고 절망했다. 그때 베델이라는 소녀가 편지로 “아저씨는 수염을 기르면 못생긴 얼굴을 좀 가릴 것 같다”고 아이디어를 줬다.   듣고 보니 그럴듯해 그때부터 수염을 기르니 ‘송장 같던 얼굴’이 우아하게 보였다. 물론 수염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그 덕을 톡톡히 봤는지 대통령에 당선됐다. 링컨 때부터 미국 대통령은 수염을 기르는 것이 관례가 됐다.   남북전쟁이 끝날 무렵이던 1863년 11월 19일 그는 격전지 게티즈버그에서 전몰장병 추모 연설을 했다. 본디 연사는 하버드대 총장 에드워드 에버렛이었다. 그는 2시간에 걸쳐 사자처럼 열변을 토했다. 주최 측에서 오신 김에 한 말씀 해달라는 부탁이 있어 링컨은 쪽지에 몇 마디 적어뒀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다.   대신 그 전 일요일 교회에서 들은 목사님 설교가 머리에 떠올라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국민의 정치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끝맺고 내려왔다. 267단어다. 연설이 너무 짧아 마그네슘 플래시를 장착하던 사진사가 꾸물거리다가 사진 찍을 여유도 없었다.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 노예 해방 대통령 자리

2024.09.02. 18:00

에이브러햄 가주 하원 출마

최석호 전 가주하원의원의 선거 캠페인 매니저를 지낸 이란계 여성 헨가메 헤니 에이브러햄(36·공화·사진)이 가주 73지구 하원의원 선거에 도전한다.   에이브러햄의 출마가 눈길을 모으는 것은 그가 도전장을 낸 73지구의 현직 코티 페트리-노리스 가주 하원의원이 지난해 최 전 의원을 상대로 승리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옛 보스에게 패배를 안긴 페트리-노리스에게 에이브러햄이 승리할 경우, 최 전 의원을 대신해 설욕하는 셈이 된다. 에이브러햄은 최 전 의원 캠프 활동에 관해 “멋진 경험이었고 가주 선거에 관해 많은 것을 배웠다”라며 당시 경험이 주하원 선거 출마의 동기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에이브러햄은 이란에서 태어나 14살 때 미국에 왔다. 코스타메사에 살며 스몰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73지구엔 어바인, 코스타메사, 터스틴 등지가 속한다.에이브러햄 하원 헤니 에이브러햄 하원 출마 73지구 하원의원

2023.04.11. 17:10

썸네일

한미우호협회 '평생 업적상'에 에이브러햄 김 CKA 사무총장

한미 관계 증진 단체인 한미우호협회(회장 박선근)는 올해의 ‘평생 업적상(Lifetime Achievement)’ 수상자로 미주한인위원회(CKA)의 에이브러햄 김(사진) 사무총장을 선정했다.     한미우호협회는 최근 “이사회(이사장 프랭크 블레이크)가 2023년 평생 업적상 수상자 에이브러햄 김 박사를 만장일치로 선택했다”고 발표했다.     협회 측은 김 박사가 CKA의 대표로서 한인들의 위상을 높이고 한인사회의 의견을 잘 대변했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김 박사의 공로로 미국 내 한인 2세들이 집결하고 한인 이민자들이 미국 발전에 더 기여하고 있음에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김 사무총장은 보스턴대학(BU) 졸업 후 하버드대에서 석사를, 컬럼비아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김 사무총장은 몬태나대학 부설 연구소 소장, 한미경제연구소(KEI) 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미국의 아시아의 정책 연구에 앞장서 왔다.       김 사무총장은 CKA의 설립 멤버(2011~2013)이기도 하다. CKA는 한국계 미국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전국각지 다양한 분야의 한인들이 모일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시상식은 내달 3일 오후 6시 애틀랜타의 벅헤드 체로키 타운 클럽에서 이미 발표된 ‘이민자 영웅상’ 시상식과 같이 개최된다. 올해 이민자 영웅상은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가 선정됐다.     윤지아 기자한미우호협회 에이브러햄 한미우호협회 평생 평생 업적상 소장 한미경제연구소

2023.02.10. 21:5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