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올겨울 온화하지만 비 많이 올 듯…내년 초 3개월이 엘니뇨 정점

올겨울 엘니뇨 현상으로 예년보다 온화하지만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국립기상청(NWS)은 지역 주민들에게 겨울이 오기 전 보수공사를 마무리하고, 수해 방지시설을 설치할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NWS는 지난 6월 캘리포니아주에 시작된 엘니뇨 현상은 가주 지역에 12월까지 평균 이상의 기온을 보이지만 내년 3월까지 평균 이상의 강수량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22일 발표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으로 해수면의 온도가 섭씨 0.5도 올라가면 지구 온도는 0.2도 상승한다.   UCLA 대니얼 스웨인 기상학자는 “엘니뇨 현상의 정점은 내년 첫 3개월일 것으로 예측된다. 가주 중남부 지역에 많은 강수량을 갖고 와 습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겨울부터 비가 많이 쏟아질 확률은 40~60%”라고 전했다. 특히, 전국적으로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11월 30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엘니뇨가 내년 3월까지 지속할 가능성이 95% 이상이며 수퍼 엘니뇨가 발생할 가능성은 71%라고 밝힌 바 있다. NOAA에 따르면 지난달 남가주에 상륙한 허리케인 힐러리 역시 기후변화와 엘니뇨 현상이 결합해 해수면 온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져 형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올겨울 엘니뇨 올겨울 엘니뇨 엘니뇨 정점 엘니뇨 현상

2023.09.22. 20:46

엘니뇨 현상 시작…또 폭우·폭설 예고

캘리포니아주에 엘니뇨가 시작됐다.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8일 엘니뇨가 형성됐다고 발표하고 주의보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남가주에 올 겨울에도 또다시 폭설과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대한 준비에 착수했다.   특히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겨울 폭풍으로 폭설이 내리면서 수백 명에 달하는 지역 주민들이 고립돼 비상사태까지 발동했던 샌버나디노 카운티의 경우 제설작업 등에 필요한 기구 등을 준비하는 등 대비에 나섰다.   국립기상청(NWS) 에릭 볼드 공보관은 “역사적으로 엘니뇨 현상은 남가주에 많은 강우량을 야기시켰다”며 “또 한 번의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고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전했다.   NOAA 엘니뇨·라니냐 예보 담당자에 따르면 올해 엘니뇨 현상은 평균보다 두 달가량 일찍 형성됐다. NOAA는 “올해 엘니뇨가 더 커질 가능성은 56% 정 도이나 수퍼 엘니뇨가 될 가능성은 25%”라고 예상했다.   한편 스패니시로 ‘작은 남자아이’라는 뜻의 엘니뇨는 적도 부근 동태평양과 중앙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높은 상태로 수개월 이상 지속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해수면이 평년 대비 섭씨 0.5도 높아져 표면 온도가 따뜻해지면서 태평양에 허리케인 활동이 증가하는데 약 7년에 한 번씩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엘니뇨는 12월~2월 사이에 가장 큰 피해를 주며, 이 기간 가주에는 예년보다 높은 강우량을 기록한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엘니뇨 현상 엘니뇨 현상 수퍼 엘니뇨 올해 엘니뇨

2023.06.09. 21:08

엘니뇨 영향, 올 겨울도 많은 비 예상

    엘니뇨 현상이 공식적으로 시작됐다.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8일 엘니뇨 현상이 도착했다고 발표하면서 엘니뇨 주의보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남가주는 올해 겨울 또 많은 강우량을 기록할 전망이다.   국립기상청(NWS) 관계자는 "역사적으로 보면 엘니뇨 현상이 나타날 때마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남가주에 상당한 양의 비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엘니뇨는 자연 현상의 하나로 태평양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경우에 따라 더워지는 것을 말한다. 이 영향으로 전 세계에 걸쳐 기후 패턴에 변화가 발생한다.   샌버나디노 카운티 공공사업국 측은 엘니뇨 현상이 몰고올 폭우와 겨울폭풍에 대비해 이미 각종 장비 확보와 대비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엘니뇨는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2월 사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겨울 폭풍 경로를 적도까지 훨씬 남쪽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는 기간에 미국 대륙의 절반이나 전체 남부 지역의 3분의 1 정도는 예년보다 더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캘리포니아는 그동안 10년에 걸친 극심한 가뭄을 겪으면서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길 고대했지만 지난 겨울 동안 지속적인 대기의 강이 몰려오며 엄청난 양의 비와 눈을 내렸기 때문에 더 많은 비나 눈이 필요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김병일 기자엘니뇨 영향 엘니뇨 영향 엘니뇨 현상 엘니뇨 주의보

2023.06.09. 15:20

썸네일

"가주, 올여름 더 덥다"…8월 평균 90도 예상

올여름 캘리포니아는 평년보다 더운 여름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23일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오는 6~8월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더욱 더울 것이라며 캘리포니아는 8월 평균 기온이 화씨 90도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올여름 강수량도 평년 대비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LA, 샌디에이고, 샌프란시스코 등의 8월 평균 강수량은 0.1인치인데 이보다 적어 보다 무더울 것이란 설명이다.     NOAA의 기상학자들은 더운 날씨의 원인으로 엘니뇨 현상을 꼽았다. 5월과 7월 사이에 엘니뇨가 일어날 가능성은 80%로 나타났다. 엘니뇨는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으로 이때 수온은 섭씨 0.5도 오르고 대륙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셸 루뢰 기상학자는 “엘니뇨 현상은 대부분 여름보다는 겨울에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며 “여름에는 허리케인 생성에 영향을 미쳐 6월 이후 허리케인 발생이 더욱 잦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겨울 폭풍으로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린 가주는 현재까지 주 전체의 6%만이 가뭄을 겪고 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올여름 예상 올여름 캘리포니아 올여름 강수량 엘니뇨 현상

2023.05.23. 21: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