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도난차량 10위 중 현대·기아차 6개…엘란트라·소나타·옵티마 1~3위

현대차와 기아가 만든 자동차가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도난당한 차량 모델 상위 10개 중 6개를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차량절도범 사이 유행처럼 번진 ‘현대·기아 절도 챌린지’ 유행이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지난 29일 비영리단체 전국보험범죄국(NICB)은 ‘2023년 가장 많이 도난당한 차량’ 보고서를 통해 현대차와 기아 모델이 도난차량 상위 10개 중 6개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우선 지난해 전국에서는 차량 총 102만729대가 도난당했다. 이는 전년 100만8756대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캘리포니아주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20만8668대가 도난당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이 도난당한 차량 모델은 현대 엘란트라로 4만8445대로 집계됐다. 〈표 참조〉 이어 현대 소나타가 4만2813대, 기아 옵티마 3만204대 순이다.     또한 기아 소울은 2만1001대로 5위, 기아 포르테는 1만6209대로 8위, 기아 스포티지는 1만5749대로 10위를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제조사 모델 차종에는 셰보레 실버라도1500은 2만3721대로 4위, 혼다 어코드 2만895대로 6위, 혼다 시빅 1만9858대로 7위, 포드 F150은 1만5852대로 9위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현대·기아 절도 챌린지는 지난 2022년 8월부터 소셜미디어를 통해 유행처럼 번졌다. 절도범들은 차량 버튼형 시동장치와 내부에 ‘엔진 이모빌라이저’가 장착되지 않은 보급형 모델을 주로 노렸고, 현대차와 기아가 제조한 기본 트림 모델이 주요 타깃이 됐다.   한편 NICB는 차량절도 예방법으로 ▶주차 시 창문과 차문잠금 확인 ▶차 안에 눈에 띄는 귀중품 놓지 않기 ▶도난대비 위치추적장치 설치 ▶차량 전자키(key fobs) 복제 주의 ▶소프트웨어 정기 업데이트 등을 강조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도난차량 엘란트라 현대 엘란트라 도난차량 상위 현대 소나타

2024.07.30. 19:33

썸네일

[차량 리콜 2제] 엘란트라 등 1만3000대, 툰드라·렉서스 10만2천대 리콜

  ━   엘란트라 등 1만3000대, 배기가스 장치 밸브 이상     현대가 차량 1만3000여대에 대한 리콜을 단행한다.     리콜 대상 차량은 2024년형 엘란트라, 코나(사진), 베뉴다. 도로교통안전국(NHTSA) 측은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밸브에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차량이 갑작스레 동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견됐다고 전했다. NHTSA 측은 차량이 갑자기 느려지거나 멈추면 사고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번 리콜 조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대 측은 리콜 대상 차량 1만3511대에 대해서 밸브를 무료로 교환해 줄 예정이다. 대상 고객은 6월 28일까지 무료 교환에 대한 내용을 담은 우편을 받게 된다.     ━   툰드라·렉서스 10만2천대, V6 엔진 시동장치에 문제       도요타가 엔진 결함이 발견된 차량 10만 2000여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한다.   리콜 대상 차량은 2022년과 2023년형 툰드라와 렉서스 LX(사진) 모델이다. 도로교통안전국(NHTSA) 측은 두 차량에 쓰인 V6 엔진에서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리콜 이유를 설명했다. 생산과정에서 생긴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엔진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툰드라나 LX를 소유하고 있다면 도요타 웹사이트나 NHTSA 웹사이트에 차량고유번호(VIN)를 입력해 리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요타 측은 어떤 조치를 취해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는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조원희 기자차량 리콜 2제 엘란트라 툰드라 렉서스 10만2천대 이번 리콜 리콜 이유

2024.06.03. 19:36

썸네일

엘란트라 하이브리드 급가속 위험 리콜…2021~2023년형 3만7997대

현대차의 소형 세단 엘란트라 하이브리드가 의도치 않은 가속 위험으로 리콜됐다.   컨수머리포트에 따르면 현대차는 엘란트라 하이브리드의 모터 콘트롤 유닛(MCU)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2021~2023년형 모델로 3만7997대를 리콜했다.   고속도로교통안전협회(NHTSA)에 제출된 문서에 따르면 해당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뗄 때 예상 못 한 가속으로 인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 6월 16일을 포함해 총 24건의 리콜 관련 현상이 보고됐으며 확인된 사고나 부상 등은 없다.    리콜된 차량은 2020년 12월 15일부터 2023년 7월 29일 사이에 한국서 생산됐으며 차량고유번호(VIN)가 모두 K로 시작된다.   리콜 통지는 늦어도 10월 17일부터 우편물로 배송되며 각 딜러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리콜 문의는 전화(855-371-9460)로 하거나 NHTSA 웹사이트(nhtsa.gov/recalls)에서 17자리 차량고유번호로 확인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하이브리드 엘란트라 엘란트라 하이브리드 급가속 위험 리콜 통지 현대차 Auto News 리콜

2023.08.22. 21:11

썸네일

신차 가격 급등에 소형차 불티나게 팔린다

신차 가격 및 오토론 이자율 급등에 월할부금 부담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저렴한 모델들이 딜러에서 무섭게 팔려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전문매체 오토비스킷은 차값 인플레이션으로 최근 수년간 SUV와 크로스오버에 밀려 고전하던 소형차들의 판매가 급신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차의 소형 세단 엘란트라는 지난해 비해 판매량이 53% 증가했으며 6월에만 전달보다 60%가 늘어난 1만3424대가 판매됐다.   닛산에서 가장 소형인 버사도 올해 현재까지 판매량이 전년 대비 96%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달에만 121%의 신장을 기록했다. 또 다른 소형차 센트라 역시 5월과 6월 사이 판매량이 107% 늘어나는 등 닛산의 소형세단 판매가 전년보다 29.5%가 증가했다.   마쓰다 모델 가운데 최소형인 마쓰다 3도 지난달 판매량이 전월 대비 217% 급등했으며 혼다의 시빅 역시 전년보다 33.5%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켈리블루북은 인플레이션이 소비자들을 압박하고 있으며 고이자율이 차값 상승과 함께 구매자들에게 경제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3년 리스 기간이 끝난 운전자들이 같은 가격에 동급 신차 모델을 찾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저렴한 모델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LA한인타운 에덴자동차의 제이 장 부사장은 “요즘 각 브랜드 차종별 가장 저렴한 베이스 모델에 고객들이 몰리고 있는데 인벤토리 찾기가 너무 힘들다. 예를 들어 현대 엘란트라 SE나 기아 포르테 LXS 등은 인기가 좋아 금방 동이 나버릴 정도다. 딜러 서너 군데 뒤져서 엘란트라 SE모델 한대 찾을까 말까 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가의 기본형 모델 찾기가 어려운 이유는 수요 증가도 있지만 팬데믹 이후 업체들의 생산 전략 변화도 한몫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푸엔테힐스 현대의 찰리 정 플릿매니저는 “고객들은 당연히 저렴한 모델을 찾고 있지만, 아직도 전기차가 많이 입고되고 개스차는 줄여가는 추세인 데다가 기본형보다 마진율이 좋은 고급 옵션 트림이나 가주에선 그다지 필요 없는 사륜구동(AWD) 모델 위주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고차 도매가격도 최근 수 주간에 걸친 소매 인벤토리 개선에 힘입어 지난달 팬데믹 이후 최대폭으로 급락하면서 올 하반기에는 가격 변동성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콕스 오토모티브가 지난 10일 발표한 만하임 중고차 가치지수(MUVVI)에 따르면 지난달 215.1로 전달보다 4.2%가 떨어졌다. 3개월 연속 하락으로 역대 월간 최대폭 하락 중 하나로 기록됐다.   중고차 소매가격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나 지난달 전년 대비 6%가 하락했으며 이번 도매가 급락이 향후 소매가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콕스는 당초 올해 말 중고차 도매가격이 지난해 12월보다 4.3%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었으나 가격과 수요가 연초 예상했던 것보다 탄력적으로 나타나면서 1.1% 하락으로 하향 조정했다.   콕스는 중고차 도매시장 가격이 오는 2028년까지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느리고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소형차 신차 엘란트라 포르테 깡통차 기본형 중고차 차값 자동차 Auto News

2023.07.11. 23:50

썸네일

사회초년생, 차 사기도 힘들다…졸업시즌 맞아 수요 증가

졸업시즌을 맞아 사회초년생인 자녀들을 위한 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인기 모델은 가격은 둘째치고 구하기조차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LA지역 한인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한인 부모들이 연비가 좋고 가격도 저렴한 데다가 자녀가 선호하는 디자인의 소형 세단이나 SUV를 찾고 있다는 것.     문제는 유명 자동차 매체들에서 자녀용으로 추천하는 모델 대부분이 인벤토리가 부족해 원하는 사양, 색상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 중고차 가격까지 뛰고 있어 부모들의 차 쇼핑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자동차 전문매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한인들이 선호하는 도요타, 기아, 혼다, 스바루, 현대 등이 인벤토리 상황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젊은층이 가장 좋아하는 혼다 시빅, 기아 포르테, 도요타 코롤라 등의 인벤토리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푸엔테힐스 현대의 찰리 정 플릿매니저는 “공장에서 싼 모델들은 마진율이 적어서 그런지 잘 안 만들고 비싼 모델이나 전기차, 그리고 고급 옵션만 생산한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현재 저렴한 모델들은 인벤토리가 하나도 없고 앞으로 들어올 차량도 대부분 이미 예약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인타운에 위치한 조이모터스의 한 관계자도 “젊은층에 인기가 있는 코롤라, 시빅, 엘란트라, 포르테 등 소형 세단과 콤팩트 크로스오버 및 SUV 모델은 인벤토리 찾기가 매우 힘들다. 이들 모델 가운데 상태 좋은 중고차는 캠리, 어코드 등 중형 중고차보다 가격이 더 비싼 경우가 있을 정도”라고 밝혔다.   신차 가격도 급등해 혼다 시빅 LX 기본형의 경우 MSRP가 배송비까지 포함해 2019년형은 2만350달러부터 시작했지만 2023년형은 2만4845달러부터 시작해 22.1%가 인상됐다.     도요타 코롤라 LE 기본형도 1만9135달러에서 2만2795달러로 19%가 올랐으며 현대 엘란트라 SE 기본형은 1만7985달러에서 2만2065달러로 22.7%, 기아 쏘울 LX 기본형은 1만9185달러에서 2만1215달러로 10.6% 올랐다.   타운의 한 자동차 브로커는 “아들이 졸업이라 소형차를 찾고 있는데 쉽지 않다. 각 딜러 웹사이트를 방문해봐도 보유 인벤토리가 적은 데다가 가격은 문의하라고 나오는 경우가 태반이다. 신차 가격도 올라 중고 매물이 들어오면 구매할까 싶은데 그마저 입고되는 매물이 거의 없다. 갈수록 차 장만 하기가 어려워지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한편, 켈리블루북(KBB)은 10대들을 위한 신차로 도요타 코롤라, 혼다 시빅·HR-V, 현대 엘란트라·코나, 마쓰다3, 스바루 크로스트렉, 기아 셀토스·쏘울, 닛산 센트라 등을 추천했다.     2만 달러 미만 추천 중고차는 2017 도요타 RAV4, 2018 마쓰다 CX-5, 2017 혼다 CR-V, 2020 도요타 코롤라, 2019 마쓰다3, 2017 혼다 어코드, 2017 도요타 프리우스, 2018 기아 스포티지, 2018 혼다 시빅, 2019 셰볼레 이퀴녹스 등이다.   1만5000달러 미만 중고차로는 2018 기아 쏘울, 2017 도요타 코롤라, 2018 마쓰다3, 2015 혼다 CR-V, 2016 마쓰다 CX-5, 2015 도요타 프리우스 등이 추천됐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사회초년생 졸업시즌 도요타 코롤라 소형차 시빅 엘란트라 포르테 쏘울 신차 중고차 인벤토리 MSRP Auto News

2023.05.18. 23:38

썸네일

"배기음 기준 초과" 엘란트라 N 벌금 논란

현대차의 고성능 세단 엘란트라N 운전자가 배기음이 가주 기준을 초과했다는 이유로 경찰 티켓과 등록 정지 처분을 받아 논란이 되고 있다.   자동차 전문매체 더 드라이브는 지난 1월 2022년형 엘란트라 N을 구매한 운전자(레딧ID: OkCandidate103)가 지난 8월 29일 N모드로 도로 주행 중에 리버사이드 경찰국 소속 경관으로부터 배기음 문제로 티켓을 발부받았다고 보도했다.   N모드는 차량 출력을 증폭시켜 트랙 주행 등에서 고성능 드라이빙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된 N 트림의 기본 사양으로 폭발적인 배기음을 내면서 마니아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유튜브 채널 ENtense에 올라온 블랙박스 영상에 따르면 경관은 차의 연식을 묻고 머플러 소음(backfiring)이 심하다며 가주차량검사국의 검사 지시 티켓을 발부했다. 이어 트랙 모드(N모드)로 공도에서 주행할 수 없기 때문에 딜러에서 제거해야 한다며 비용이 4000~7000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전자는 기본 사양으로 튜닝하지 않았다며 N 모드로 공도 주행을 못 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답했다. 이에 경관은 배기음 기준 위반으로 등록이 정지될 것이라며 딜러에 수리를 요청하고 트랙 모드로 공도 주행을 못 한다는 사실을 이야기해주지 않았다면 소송을 제기하라고 말했다.   며칠 후 운전자는 소음 테스트를 위해 차량검사국을 찾았다. 검사관은 배기음이 가장 큰 스포츠 모드로 소음 검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가주소음 기준인 95dB을 상회하는 98dB을 기록해 수리가 완료돼 재검사를 통과할 때까지 차량 등록이 정지됐다.   운전자는 지난 14일 딜러를 찾아 이 같은 사실을 알리고 수리를 요청했으나 딜러에서는 차량 출시 당시 기본 사양으로 수리할 것이 없다는 서류를 발부하며 검사 통과를 위해 일시적으로 소음기를 장착해 보라는 조언밖에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결국 수리한 것이 없어 재검사도 못 하게 된 운전자는 차량 등록 정지로 주행도 할 수 없게 되자 현대차에 도와줄 것과 해당 차를 다시 구매해달라고 케이스 매니저에게 요청했으나 거부 답변을 들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동영상 조회 수가 100만회에 육박하는 등 이슈화되자 현대 측의 새로운 케이스 매니저가 재구매할 수 없다는 이전 매니저의 답변이 잘못됐다며 연락을 취해왔다. 하지만 새 매니저도 연락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연락이 되더라도 “해결책을 찾고 있다”는 답변만 받았다.     운전자는 3주 안에 재검사를 받지 않으면 당국으로부터 벌금을 부과받게 되는 상황이다.   누리꾼들은 기본 장착 사양이라는 운전자의 말을 무시하고 딜러에 소송을 제기하라고 말한 경찰의 태도와 검사관의 잘못된 검사 방식을 지적하며 현대차 자체의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자동차공학학회의 문서(J1492)에 따르면 경자동차 배기 시스템 소음 수준 테스트는 시동이 걸린 후 기준 모드로 테스트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엘란트라 N은 시동 후 일반 주행 모드로 설정된다.     하지만 현대차의 소극적 대응에는 아쉬움을 표했다. 유튜브 ID Etoothy는 “현대차의 지원이 부족해 엘란트라 N 구매를 다시 생각해 봐야겠다. 자사 제품을 보증하고 고객을 도울 수 있는 이메일조차 보내주지 않아 고객이 큰 곤경에 빠졌다”고 비난했다.     한편 현대차 미국법인의 기업 및 마케팅 PR 수석그룹매니저 아이라 가브리엘은 성명을 통해 “판매된 현대 N 차량은 연방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며 미국의 모든 주에서 판매 및 도로 주행이 합법이다. 현대는 이 사건을 인지하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고객과 직접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낙희 기자엘란트라 배기음 배기음 기준 배기음 문제 엘란트라 n

2022.10.13. 23:16

썸네일

뛰어난 가속력과 코너링 운전의 재미 만끽…현대차 N 브랜드 시승회

현대차가 고성능 N 브랜드의 주행 성능 체험 행사를 통해 뛰어난 퍼포먼스를 과시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지난 7~8일 주말 이틀간 중가주의 살리나스에 있는 웨더테크 라구나 세카 레이스웨이에서 ‘현대 N 퍼포먼스 아카데미’ 행사를 개최했다.     서부지역 최초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선착순 응모로 참가한 190여명이 4개 그룹으로 나뉘어 벨로스터N과 엘란트라N에 탑승 오토크로스 및 트랙 주행을 통해 고성능 N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었다. 아시안 미디어로는 본지와 중국계 월드저널 두 곳이 참가했다.   이번 행사가 진행된 라구나 세카레이스웨이는 지난 1957년에 건설된 경주 트랙으로 총 2.238마일 구간 중 11번의 급커브로 구성돼 국내외 유명 모터 경주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특히 450피트 길이의 8-8A 구간은 59피트의 낙차가 있는 S자 커브로 ‘코르크 스크류’로 불리며 자동차 성능과 드라이빙 기술을 시험해 볼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안전 운전 교육을 이수한 참가자들은 숏코스 레이싱 경기인 오토크로스와 트랙 주행에 나섰다.     특히 다수의 챔피언십 경력을 소유한 프로 레이서 마이클 루이스와 메이슨 필리피 선수가 운전하는 엘란트라N 두대가 펼친 시속 100마일 전후의 실전 레이싱 체험은 N 모델의 고성능 주행 본능이 십분 발휘되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박진감을 선사했다.   이날 행사에 회원들과 함께 참여한 북가주 한인자동차 동호회 ‘실리콘밸리 카페인’의 윤득권 회장은 “현대차의 성장 과정을 지켜보며 뿌듯함을 느끼고 있다. N 브랜드는 합리적인 가격에 뛰어난 성능으로 경쟁력을 갖췄다. 업계를 리드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N 브랜드는 현대차가 모터 스포츠 분야 진출과 기술 역량을 보여주기 위해 지난 2015년 론칭한 고성능 서브 브랜드로 현재 벨로스터N.엘란트라N.코나N을 비롯해 일부 차종에 N-Line 트림을 출시하고 있다.   엘란트라N과 벨로스터N은 각종 레이싱 대회에서 챔피언십 등 수차례 포디엄에 오르는 등 두각을 나타내며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     2.0L 터보엔진을 장착한 엘란트라N과 벨로스터N은 각각 276마력, 275마력의 최고 출력을 자랑하며 6단 수동 변속기가 기본 장착된다. 8단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및 패들 시프터도 선택할 수 있다.     트랙 주행에 최적화되는 N모드를 포함한 5개 주행모드와  DCT 모델의 경우 20초간 출력을 최대로 발산하는 N 그린 시프트 기능이 장착된다.   가변 배기 밸브 시스템을 탑재해 N 브랜드 특유의 폭발적인 배기음은 물론 주행 상황 또는 개인 선호에 따른 조정이 가능하다.     벨로스터N 선도차의 인도로 트랙에 진입해 가속페달을 밟자 폭발하는 배기음과 함께 트랙을 치고 나갔다. 정지에서 시속 60마일까지 5초대를 자랑하는 가속 능력이 돋보이는 순간이었다.    코너링에서는 접지력을 극대화시켜 차체 밀림을 감소시켜주는 전자식 N 코너 카빙 디퍼렌셜(eLSD)과 14.2인치 로터가 장착된 고성능 브레이크의 장점을 체험할 수 있었다.    드리프팅이 예상되는 속도로 코너를 진입했음에도 차체 흔들림 없이 트랙을 감싸 돌아 바로 풀가속이 가능했다. 핸들링 응답성도 뛰어났으며 전자 제어 서스펜션으로 노면 상황에 따라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었다.     제한된 시간으로 아쉬운 트랙 주행이었지만 주류 자동차매체와 전문가들이 호평하는 이유를 알 수 있었던 시승이었다.   현대차 N 브랜드 모터 스포츠의 로스 로젠버스 마케팅 매니저는 “뛰어난 코너 돌파 능력을 갖춘 N 모델은 일상 운전은 물론 트랙 주행에 최적화된 ‘에브리데이 스포츠카’로 운전의 재미를 만끽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이 같은 행사를 통해 소비자들과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박낙희 기자현대차 N 브랜드 N-Line 벨로스터 엘란트라 N 퍼포먼스 아카데미 N 모터 스포츠 라구나 세카 트랙 Auto News NAKI 박낙희 리뷰 시승

2022.05.09. 18:3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