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Alice Doesn’t Live Here Anymore)’는 남성성의 상징적 영화들을 만들어온 현대 미국영화의 거장 마틴 스콜세지의 보기 드문 여성 주연의 로맨스 드라마다. 남성에 의존하면서도 가수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 여주인공 앨리스가 여러 남자들을 거치면서 자아를 발견해 가는 과정을 다룬다. 이 영화는 ‘내 문을 두드리는 자는 누구인가’(1969), ‘비열한 거리’(1973) 등의 독립영화로 비평가들의 관심을 모아오던 스콜세지의첫 번째 스튜디오 영화다. 이후 스타로 떠오른 조디 포스터,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로라 던의 초기 모습을 볼 수 있다. 스콜세지 영화의 단골 배우 하비 카이텔과 다이앤 래드도 모습을 보인다. 1974년 개봉된 대작들 ‘대부2’와 ‘차이나타운’에 밀려 아카데미상에서는 엘렌 버스틴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데 그쳤지만, 영국아카데미상 작품상과 각본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인 스콜세지는 2년 후 로버트 드니로 주연의 불멸의 명작 ‘택시 드라이버’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다. 그는 네 작품 만에 거장의 대열에 이름을 올려놓았다. 그의 나이 34세에 불과했던 시기의 일이다. 35세의 평범한 가정주부인 앨리스(엘렌 버스틴). 12세 아들 토미를 옆에 태우고 뉴멕시코와 애리조나 사막을 달리고 있다.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고 살림을 정리한 후 고향 몬터레이로 가는 중이다. 트럭 운전을 하던 건달 남편은 아들이 앨리스의 이전 남자의 아이라며 토미를 학대했다. 앨리스는 이제 고향으로 돌아가 아들을 새 학교에 입학시키고 자신은 어린 시절부터 꿈꿔왔던 가수의 길을 가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러나 이들의 여정은 두 모자를 그대로 내버려 두지 않는다. 앨리스는 집으로 가는 도중 돈을 벌기 위해 술집 밤무대 가수로 취직하고 술집 주인 벤(하비 카이텔)을 만나 사귀기 시작한다. 그러나 곧 벤이 유부남인 사실이 드러나고 이에 실망한 앨리스는 사이코 기질이 농후한 벤을 피해 목장 마을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면서 연하남 데이비드(크리스 크리스토퍼슨)를 만난다. 그녀는 셔츠 단추도 제대로 끼지 못하는 데이비드의 신사다운 매너와 친절함에 호감을 느낀다. 앨리스에게 ‘완벽한 남자’로 다가온 데이비드와 함께 이제 그녀는 고통스러웠던 지난 삶을 뒤로 하고 새로운 행복을 찾을 수가 있을까. 사회의 모순이나 부정적 현실에 비판적 시각이 강했던 ‘아메리칸 뉴웨이브 시네마’의 성향이 강한 이 영화는 영웅도, 신화도, 꿈도 없는 미국 사회의 실상을 통해 남녀 관계 속에서 억압 받는 여성을 동정적 시각으로 바라본다. 일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영화의 통속적인 결말에 대해 스콜세지가 할리우드와 타협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남편을 잃고 미망인이 된 한 여인의 홀로서기,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녀야 하는 두 모자의 여정을 그린 로드무비 ‘앨리스는 여기 살지 않는다’는 엘렌 버스틴에게 오스카상을 안겨주었다. ‘레퀴엠’, ‘엑소시스트’ 등의 작품으로 당시 ‘여자 잭 니컬슨’으로 평가받던 버스틴은 최고조에 오른 감정 표현 연기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공감의 박수를 받았다. 그녀는 아들 토미 역의 아역 배우를 리드하며 엄마와 아들이 서로에게 짜증을 내는 즉흥적이고 웃픈 장면들을 연출해냈다. 연기파 배우 다이앤 래드의 조연 연기에도 찬사가 이어졌다. 가시가 돋친 말로 앨리스를 골탕 먹이는 동료 웨이트리스 플로렌스를 연기한 그녀는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래드의 딸 로라 던이 영화 속에서 아이스크림 먹는 여자아이 역으로 출연한다. 엘튼 존의 ‘다니엘’, 돌리 파튼의 ‘I Will Always Love You’ 등의 노래들이 앨리스의 지치고 고달픈 인생 여정을 묘사하는 배경음악으로 사용됐다. 1976년 이 영화를 원작으로 한 시트콤 TV 스핀오프가 기획되어 로버트 앨트만 감독의 연출로 9년 동안 CBS를 통해 방영됐다. 김정 영화평론가미국 여인 스콜세지 영화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여주인공 앨리스
2024.09.04. 18:51
한말의 정객 김옥균(1851~1894)은 명문가 출신으로 인물 좋고 온갖 재주도 타고났다. 서예는 망명지에서 글씨를 팔아 생활할 정도로 뛰어났다. 1886~1887년 태평양의 절해고도 오가사와라(小笠原) 섬 유배 시절 일본의 바둑 최고수 본인방(本因坊) 슈에이(秀榮·1852~1907)가 바둑판을 메고 방문해 네 점을 두고 대국했을 정도로 바둑에도 능했다. 그는 대인관계도 폭이 넓었으나 훌륭한 참모를 만날 인연은 없었다. 김옥균이 1884년 갑신정변에 실패하고 일본에서 낭인으로 생활할 때 일본이 보기엔 이미 용도 폐기된 인물이었다. 고종이 자객을 네 명이나 보냈고, 김옥균을 위시한 개화파의 정적 리훙장이 절치부심하고 있었으니 그의 죽음은 시간문제였다. 그렇다고 일본은 당시 우익적 분위기에서 그를 죽일 수도 없어 1888~1890년엔 홋카이도로 유배 보냈다. 그때 김옥균에게 다마(玉)라는 한 여인이 있었다. 절세미인도 아니었고 명문가의 딸도 아니었다. 야망을 품었거나 무슨 계산을 하지도 않은 평범한 여인이었다. 숭모하는 사이라 해서 살을 대는 깊은 관계도 아니었다. 그저 곁에서 김옥균을 도왔다. 홋카이도로 유배되자 다마도 따라가 그림자처럼 김옥균을 돌봤다. 그런데 김옥균은 눈치채지 못했지만, 한 자객이 따라붙고 있었다. 대단한 야심이나 이념 없이 그저 공명심에 들뜬 무명의 낭인(浪人)이었다. 다마는 김옥균을 죽일 기회를 엿보던 낭인에게 접근해 몸을 허락했다. 다마는 어느 날 잠자리에서 그 자객을 죽이고 사라진 뒤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 김옥균은 아무런 영문도 몰랐으나 이 이야기는 이후 낭인의 죽음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만약 김옥균이 재기했더라면 이 사건은 큰 이야깃거리가 됐겠지만, 김옥균은 6년이 지나 상하이에서 자객 홍종우에게 피살돼 기구한 삶을 마쳤다. 살면서 이런 연정을 만난 적 있으신지. 신복룡 / 전 건국대 석좌교수신 영웅전 김옥균 여인 정객 김옥균 그때 김옥균 자객 홍종우
2024.01.28. 17:00
어느 여름날캐츠킬 여인이 개울에 발을 담그고 냇물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었다 저러다가 어지러워 떠내려가지는 않을까 염려가 되어 차를 세우고 지켜봤다 여인은 머리카락이 하나도 없었다 항암 치료를 받고 있을까? 검은 구름을 헤치고 해가 나왔다 햇볕은 보약이다 개울이 엎드려 신성한 물로 그녀의 발을 씻어 주고 나무들이 위로의 춤을 추었다 바람이 자비로운 손길로 연약한 여인을 어루만져 주었다 냇물이 속삭였다 하나님이 치유의 역사를 일으켜 착한 당신을 구해 주실 것입니다 잠시 후 여인은 밝게 웃으며 힘차게 일어났다 최복림 / 시인·롱아일랜드글마당 개울 여인 항암 치료
2023.08.11. 17:49
하늘 쳐다보는 모습 아름다운 여인 다소곳 시선을 아래로 던지면 단아한 여인 하이힐 신은 것 보다 맨발이 더 이쁜 여인 낚싯대 멘 모습 멋진 여인 배낭과 등산모가 어울리는 여인 짙은 화장 보다 민낯이 매력인 여인 처녀 보다 할머니가 더 고운 여인 속마음이 가을바람 같은 여인 이강민 / 뉴저지글마당 가을 여인 가을 여인 배낭과 등산모
2022.11.11. 16:33
현관 앞 배달된 네모 상자 이토록 가벼운 것 무엇이지 아 그랬었지 악몽은 없어 춤추는 생선 지느러미, 푸른 꿈이 있을 뿐이지 매일, 꿈을 만지고 싶어 꿈은, 동그랄까, 아님, 육각형? 꿈의 냄새를 맡고 싶어 고무 탄 냄새, 파도 냄새? 꿈을 씹어보고 싶어 딱딱할까 혀에서 녹을까? 꿈에 입맞춤을 하면 어떨까 떨릴까, 눈물이 날까 아니, 그 무엇보다 빗살 속에 춤추는 실타래를 짜는 부지런한 여인의 손길을 매일 쓰다듬고 싶었지 박스를 여니 흰 새털을 털며 일어서는 드림캐처(Dreamcatcher) 침대 위 천장에 높게 곽애리 / 시인·뉴저지글마당 거미 여인 거미 여인 생선 지느러미 네모 상자
2022.01.28.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