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에어프레미아, 창사 이래 첫 연간 순이익

대한민국 대표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대표이사 김재현, 유명섭)가 2024년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창사 첫 연간 순이익을 달성했다.   에어프레미아는 별도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4916억원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409억원, 당기순이익은 59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매출액은 2023년 3751억원보다 31.1% 증가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86억원보다 119.9% 증가한 409억원을 달성하며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8.3%를 나타냈다.   급격한 환율 상승에 따라 환차손이 대폭 반영되었음에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당기순이익 5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목표했던 이익 실현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에어프레미아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요인으로 ▶수익성 높은 장거리 중심의 여객사업 ▶밸리카고를 이용한 안정적인 화물사업 ▶고정비용의 효율적 분산과 부가 사업운영 등을 꼽았다. 미주 등 수익성이 높은 장거리 노선에선 전체 여객의 56%인 42만8600명을 수송했고, 장거리 여객매출이 전체의 80%에 달한다.   박광은 에어프레미아 재무실장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유가, 환율 급등 등 다양한 변수들을 극복하고 운항개시 4년만에 연간 순이익을 달성했다"며 "올해 항공기 추가도입과 노선 다변화로 매출 7500억원 이상을 달성해 글로벌 항공사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순이익 연간 연간 순이익 당기순이익 59억원 창사 이래

2025.02.18. 17:51

CBB뱅크 4분기 순익 571만불…직전 분기 대비 2.5% 증가

CBB뱅크의 순이익이 증가했다.   은행의 지주사 CBB뱅콥은 30일 2024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571만 달러(주당 54센트)의 순이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의 557만 달러(주당 53센트)에서 2.5% 증가했다. 다만 전년 동기의 700만 달러(주당 66센트)와 비교했을 땐 18.5% 낮았다. 연간 순이익 규모는 2243만 달러로 2023년의 2886만 달러보다 22.3% 줄었다. 은행의 총자산은 직전 분기의 17억7055만 달러에서 2.5% 증가한 18억1564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의 17억6041만 달러와 비교해도 3.1% 많았다.     12억3956만 달러인 대출은 2024년 3분기의 12억2287만 달러 대비 1.4%, 2023년 4분기의 12억401만 달러 대비 3.0% 늘었다.     지난 3분기 14억4759만 달러였던 총예금은 14억8057만 달러로 2.3% 증가했다. 전년 동기의 14억5359만 달러보다는 1.9% 많았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27%로 직전 분기 대비 0.04%포인트 내렸다. 순이자마진(NIM)은 전 분기 대비 0.16%포인트 하락한 3.55%로 집계됐다.   이날 은행 이사회는 주당 10센트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대상은 2월 14일자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로 2월 28일 지급된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뱅크 순익 전년 동기 연간 순이익 주당 10센트

2025.01.31. 0:27

썸네일

CBB뱅크 순이익 증가…700만불로 4.9% 늘어

CBB뱅크의 순이익이 증가했다.   은행의 지주사 CBB뱅콥은 26일 2023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700만 달러(주당 66센트)의 순이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의 667만 달러(주당 63센트)에서 4.9% 증가했다. 다만 전년 동기의 733만 달러와 비교했을 땐 4.5% 낮았다. 연간 순이익 규모는 2886만 달러로 2022년의 2792만 달러보다 3.4% 늘었다.   은행의 총자산은 직전 분기의 18억5931만 달러에서 5.3% 감소한 17억6041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의 18억1249만 달러와 비교해도 2.9% 줄었다. 12억401만 달러인 대출은 2023년 3분기의 12억123만 달러에서 0.2% 소폭 증가했지만, 2022년 4분기의 12억8528만 달러보단 6.3% 낮았다. 지난 3분기 15억4929만 달러였던 총예금은 14억5359만 달러로 6.2% 감소했다. 전년 동기의 15억3825만 달러보다도 5.5% 적었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54%로 직전 분기 대비 0.08%포인트 상향됐다. 순이자마진(NIM)은 전 분기 대비 0.15%포인트 하락한 3.86%로 집계됐다.   이날 은행 이사회는 주당 8센트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대상은 2월 9일자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로 2월 23일 지급된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뱅크 순익 전년 동기 연간 순이익 이날 은행

2024.01.28. 17:01

한미은행 순이익 1863만 달러…4분기 월가 전망치 상회

한미은행이 월가 전망치를 웃도는 영업 실적을 거뒀다.   은행의 지주사인 한미파이낸셜콥은 지난 23일 2023년 4분기 순이익이 1863만 달러(주당 61센트)라고 밝혔다. 월가 전망치인 주당 60센트를 상회하는 실적이다. 다만 직전분기의 1880만 달러(주당 62센트)와 전년 동기의 2848만 달러(주당 93센트)보단 적은 수치다.   연간 순이익 규모는 8004만 달러(주당 2달러 62센트)였으며 전년의 1억139만 달러(주당 3달러 32센트)에서 21.1% 감소했다.     총자산 규모는 직전 분기보다 3.0% 늘어난 75억7034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 대비 2.6% 많았다. 대출은 61억8243만 달러로 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3.6% 늘어났다. 62억8057만 달러인 예금고는 2023년 3분기보다 0.3%, 2022년 4분기보단 1.8% 증가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99%로 전 분기의 1.00%에서 1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 1bp=0.01%포인트) 내렸다. 전년 동기의 1.56%와 비교해선 57베이시스포인트 낮아졌다. 순이자마진(NIM)은 2.92%로 직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베이시스포인트, 75베이시스포인트 하락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한미은행 순이익 한미은행 순이익 월가 전망치 연간 순이익

2024.01.23. 22:21

CBB 순이익 732만불 28%↑…자산과 예금 성장은 잰걸음

은행의 지주사 CBB뱅콥은 27일 2022년 4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732만 달러(주당 70센트)의 순이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의 572만 달러(주당 54센트)에서 28.0% 증가했다. 다만 전년 동기의 801만 달러(77센트)와 비교했을 땐 8.5% 낮았다. 연간 순이익 규모는 2792만 달러로 2021년의 2753만 달러보다 1.4% 소폭 상승했다.   은행의 총자산은 직전 분기 대비 0.7% 늘어난 18억1248만 달러였다. 12억8527만 달러인 대출은 2022년 3분기의 12억6059만 달러에서 2.0% 성장했다. 지난 3분기 대비 0.3% 증가한 총예금은 15억3825만 달러였다.   이에 따라 CBB뱅크의 예대율은 83.6%로 계산됐다. 은행은 예금 조달에 여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64%로 직전 분기 대비 0.37%포인트 상승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0.04%포인트 하락했다.     순이자마진(NIM)은 직전 분기와 작년 동기 대비 각각 0.31%포인트, 1.10%포인트 개선된 4.59%로 집계됐다.   한편 은행 이사회는 이날 주당 8센트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대상은 2월 10일 자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로 2월 24일에 지급된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순이익 잰걸음 예금 성장 연간 순이익 예금 조달

2023.01.27. 22:27

한미은행 순이익 2847만불 호실적…4분기 월가 전망치 상회

한미은행이 월가 전망치를 웃도는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   한미의 지주사인 한미파이낸셜뱅콥은 24일 2022년 4분기 순이익이 2847만 달러(주당 93센트)라고 발표했다. 직전 분기의 2716만 달러(주당 89센트)보다 4.8% 늘어난 것이다.  또 월가 전망치(주당 85센트)를 웃도는 실적이다. 하지만 전년 동기의 3333만 달러(주당 1달러 9센트)보단 적은 수치다.   한미은행의 연간 순이익 규모는 1억139만 달러(주당 3달러 32센트)였으며 전년 기록인 9867만 달러(주당 3달러 22센트)에서 2.8% 증가했다.   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직전 분기보다 3.5% 늘어난 73억7826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 대비 7.6% 성장했다. 대출은 59억6713만 달러로 지난해 3분기와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각각 2.9%, 15.8% 늘어났다. 61억6807만 달러인 예금고는 2022년 3분기(62억137만 달러)에서 0.5% 줄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6.6% 늘어난 셈이다. 4분기 예대율은 96.7%였다. 직전 분기의 예대율은 93.5%에서 악화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56%로 전 분기의 1.52%에서 4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 1bp=0.01%포인트) 상향됐다. 전년 동기의 1.93%보단 37베이시스포인트 낮아졌다. 순이자마진(NIM)은 3.67%로 직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베이시스포인트, 71베이시스포인트 상향했다. 우훈식 기자한미은행 순이익 한미은행 순이익 월가 전망치 연간 순이익

2023.01.24. 22:08

뱅크오브호프, 전망치 밑도는 실적

뱅크오브호프가 월가 전망치를 밑도는 실적을 내놨다.   은행의 지주사 호프뱅콥은 23일 2022년 4분기 순이익이 직전 분기 대비 4% 감소한 5170만 달러(주당 43센트)라고  밝혔다. 이는 월가 전망치인 주당 45센트보다 2센트 적고 전년 동기의 5162만 달러(주당 43센트)와 거의 동일했다.   지난해 은행의 연간 순이익은 2억1830만 달러로 2021년의 2억460만 달러에서 7% 늘었다.   은행의 자산 규모는 지난 3분기(190억8338만 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191억6449만 달러로 집계됐다.   154억354만 달러인 대출은 3분기의 154억9118만 달러에서 1% 감소했다. 반면, 예금고는 157억3880만 달러로 전 분기의 155억220만 달러보다 2% 늘었다.     예대율은 98%로 여전히 돈 가뭄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의 예금 조달 비용도 지난 3분기 대비 0.83%포인트,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1.39%포인트 대폭 증가했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11%로 직전 분기보다 0.07%포인트, 2021년 4분기보다 0.06%포인트 낮았다. 3.36%인 순이자마진(NIM)은 3분기 대비 0.13%포인트 하락했다.   이날 이사회는 주당 14센트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지급 대상은 2월 2일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이며 지급일은 2월 16일이다.   우훈식 기자전망치 뱅크 월가 전망치 전년 동기 연간 순이익

2023.01.23. 19:57

PCB 1068만불 순이익

PCB(퍼시픽시티뱅크)가 월가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다.   은행의 지주사 PCB뱅콥은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이 1068만 달러(주당 70센트)를 기록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의 579만 달러(38센트)보다 84.5% 더 증가한 액수이며 월가 예상치인 주당 66센트를 상회한 실적이다. 역대 최대치를 거둔 직전 분기보다는 3.1% 적다.   2021년 PCB의  연간 순이익은 전년 대비 147.9% 급증한 401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2020년보다 11.8% 증가한 21억4974만 달러였다. 직전 분기 대비 증가율은 2.1%였다.대출의 경우엔, 전년보다 9.4% 늘어난 17억3221만 달러로 집계됐다. 총예금은 18억6713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7.1% 불어났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2.01%로 2020년 4분기의 1.19%보다 상향됐다. 순이자마진(NIM) 역시 전년 동기의 3.64%보다 0.23%포인트 상승한 3.87%였다.     은행 이사회는 현금 배당액 25% 인상 건도 확정했다. 이에 따라 배당금은 직전 분기의 12센트에서 3센트(25%) 오른 주당 15센트가 됐다. 대상은 2월 11일자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로 2월 18일에 지급된다. 2015년 주당 9센트로 시작한 PCB는 8년 만에 배당금 67% 증액을 실현하게 됐다. 은행 측은 지난해 역대 최대 수준의 좋은 실적에 힘입어서 주주환원을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진성철 기자순이익 전망치 연간 순이익 전년 동기 은행 이사회

2022.01.27. 21:13

뱅크오브호프 순이익 5162만불…5000만불 자사주 매입

뱅크오브호프가 지난해 4분기에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은행의 지주사 호프뱅콥은 24일 2021년 4분기 순이익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5162만 달러(주당 43센트)라고 밝혔다.   이는 월가 전망치의 주당 41센트보다 많은 것이지만 역대 최대 실적이었던 직전 분기의 5550만 달러(주당 45센트)와 비교하면 7%가 감소한 것이다.   지난해 은행의 연간 순이익은 2억 달러를 넘긴 2억457만 달러로 2020년의 1억1152만 달러보다 83% 늘었다. 대손충당금 적립 모델 ‘CECL(현행기대신용손실)’이 경제 회복 등으로 개선됨에 따라 비축한 대손충당금 일부를 순이익으로 환입한 게 영업 실적 증가에 일조했다.   은행의 자산 규모는 179억 달러에 육박한 178억8906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0년 같은 기간의 171억666만 달러보다 5% 증가했다.   139억5274만 달러인 대출은 2020년 4분기와 비교해서 3% 늘었다. 예금고는 150억4045만 달러로 직전 분기와 거의 같았다. 다만, 2020년 4분기보다는 5% 더 많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전년 동기의 0.67%보다 0.49%포인트 상승한 1.16%였다. 3.13%의 순이자마진(NIM)은 2020년 4분기보다 0.11%포인트 상향됐다.   이날 은행 측은 5000만 달러의 5차 자사주 매입도 발표했다. 매입 만료 기한은 정하지 않아 변경 또는 중단 가능성도 있으며 개인과의 거래나 기관투자가에게서 대량 구매하는 블록 트레이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매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호실적에 따른 주주 환원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이사회는 또 주당 14센트의 현금 배당도 결정했다. 대상은 2월 3일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이며 지급일은 2월 17일이다.   진성철 기자순이익 자사주 자사주 매입 순이익 규모 연간 순이익

2022.01.24. 19:5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