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조지아 '심장 박동법'의 불편한 진실

지난해 7월부터 조지아에서 임신 6주차부터는 낙태를 금지하는 이른바 '심장박동법'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오직 9%의 임신부만이 조지아에서 합법적으로 낙태 수술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6일 미국 의학 협회 저널에 실린 이 연구의 주 저자는 사라 레드 에모리대학교 공중보건학 교수다. 그는 이 통계가 조지아 의료계의 현실이 현재 위험한 상황에 처해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낙태 논쟁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조지아 낙태금지법이 채택되기 전인 2007~2017년까지 수행된 낙태 36만 972건을 바탕으로 현행법이 환자들에게 어떻게 적용했을지 예측했다. 이 결과 전체 환자의 약 9%만이 새로운 법 아래에도 낙태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해당 연구에 따르면 현행법에 의해 흑인 및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의 임신부들이 특히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낙태 부적격 비율은 특히 십대, 흑인, 고졸 미만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백인 임신부의 83.8%가 부적격하지만, 그보다 높은 흑인 환자의 90.4%가, 20세 미만 환자의 90.1%가, 고졸 미만 환자의 90.8%가 현행법상 낙태를 받을 수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레드 교수는 연구를 설명하며 "낙태를 제공하는 의료계 종사자들에게 물어본 결과, 이 연구가 현실을 반영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레드 교수는 이어 "낙태를 받지 못하는 인구가 산부인과가 거의 없는 곳에 거주하는 등 여성 건강 및 임신과 관련한 다른 의료 서비스를 평생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며 "제한적인 낙태 정책이 실제로 산모와 유아 사망률 증가 등으로 이어짐을 보여주는 문헌도 많다"고 덧붙였다.     조지아의 낙태금지법이 심장박동법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흔히 임신 6주차부터 배아의 심장박동이 초음파기계를 통해 들리는데, 이때부터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낙태를 금지하기 때문이다. 조지아 주의회는 이 법안을 2019년에 통과시켰으나 연방 대법원이'로 대 웨이드' 판결을 뒤집기 전까지 효력이 발생하지 않았다. 윤지아 기자낙태금지법 연구결과 조지아 낙태금지법 합법 낙태 조지아 의료계

2023.03.07. 14:33

치매치료제 개발 카사바 연구결과 조작 의혹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구 결과 조작 의혹이 나온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업체 카사바사이언스를 조사하고 있다고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이번 의혹은 지난 8월 카사바의 임상시험 중단을 요청하는 청원이 식품의약국(FDA)에 제기되면서 불거졌다.   청원을 제기한 이들은 데이비드 브렛 전 존슨앤드존슨 신경과학 연구 책임자와 제프리 피트 웨일 코넬 의대 교수 2명이다. 이들은 과학 저널 다수에 실린 카사바의 실험 이미지가 포토샵과 같은 소프트웨어로 조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들 청원자는 투자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알게 되면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보고 이 업체 주식을 공매도했다고 밝혔다.   카사바는 지난 15일 구체적인 기관 이름을 밝히지 않았지만 제기된 의혹을 두고 정부의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조사가 위법행위가 드러난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레미 바르비에 카사바 최고경영자(CEO)는 또 2015년부터 해당 치료제 개발을 위해 카사바 및 산학협력 단체에 2000만 달러를 지원한 국립보건원(NIH) 역시 이번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공매도를 한 이들이 FDA 청원 절차를 악용하고 있다"며 "나를 포함한 누구도 기이한 사기행각에 관여했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치매치료제 연구결과 치매치료제 개발 연구결과 조작 업체 카사바사이언스

2021.11.18. 14:52

화이자 백신, 아동에게 91% 효과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5~11세 어린이에게도 높은 보호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자 측은 22일 5~11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자사의 코로나19 백신이 이들 어린이들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90.7%의 효과를 보였다는 데이터를 공개했다. 회사 측은 이 데이터를 연방 식품의약청(FDA)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에 따르면, 임상시험에 참여한 총 2268명 중 백신 접종 어린이 3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된 반면, 플라시보 투여군에서는 16명의 감염자가 발생했다.       임상시험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성인용량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10마이크로그램의 백신을 투여받았다. 이 용량이 2회차 주사된 후에 임상시험 대상 어린이에게 나타난 면역수준은 16~25세와 거의 비슷했다.       심근염이나 심낭염 등의 심장 관련 부작용 사례도 나타나지 않았다.     어린이 백신 승인을 권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FDA 자문위원회 회의는 오는 26일 열린다.     FDA에 이어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이르면 11월 초부터 5~11세 어린이들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로셸 윌렌스키 CDC 국장은 21일 밤 CDC 자문위원회 권고를 수용해 모더나·얀센 백신의 부스터샷 접종 시행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22일부터 미 전역에서 모더나·얀센 부스터샷 접종이 시작됐다. 부스터샷 접종 대상자는 모더나 3900만명, 얀센 1300만명이다.  장은주 기자연구결과 부스터샷 어린이 백신 부스터샷 접종 백신 접종

2021.10.22. 16:5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