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대학신입생 기숙사 입주 계획] 가능하면 룸메이트와 미리 연락, 분담해야

미국에서 타지로 대학생활을 시작하러 집을 떠는 것은 사실상 분가다. 아직 결혼도 하지 않고 혼자 가서 살게 되지만 분가다. 자녀가 대학생이 되면서 집을 떠나면 대부분 돌아오지 않는다. 이런 상황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 입학은 새로운 세대를 만드는 과정이다. 그래서 대학 신입생 기숙사 입주는 여러가지 필요한 것이 많다.   미국 대학 기숙사에 입주하게 됐지만 막상 캠퍼스 탐방을 통해서 살펴본 캠퍼스 주변을 기억해 내는게 쉽지가 않다. 특히 침대 사이즈, 기숙사, 냉난방 시스템 등은 대학 웹사이트를 통해서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요즘은 이런 것이 잘 돼 있어서 예전처럼 정보를 얻기 위해서 고민할 필요가 없다.   한 번도 기숙사 내부를 볼 기회가 없었다면 어렵겠지만 대략 가늠해 가지고 이삿짐의 규모를 정할 수 있다. 물론 요즘에는 캠퍼스에 대부분의 생활용품이 준비돼 있기 때문에 고민거리가 많지 않다. 대학에서도 신입생이나 학부모를 위해 기숙사에 입주할 때에 필요한 물품을 자세히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준비했다가 공개한다.     또한 기숙사 입주자에 대해 자율권도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집에서 가져온 커튼을 칠 수 있는 지, 페인트를 칠할 수 있는지, 컴퓨터나 TV 등 전자제품을 설치할만한 기구가 구비돼 있는 지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 가장 고민해야 할 것중 하나가 자녀가 모두 알아서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부모의 간섭이나 관여는 가급적 줄이자 혼자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다.      ▶룸메이트와 사전 연락   아울러 기숙사 짐을 꾸리기 전에 대학에서 정해준 룸메이트와 한 번 이상 연락을 취해 보는 것이 좋다. 룸메이트는 어떤 물품을 가져올 계획인지 알아보면 TV, 소형 냉장고 등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분담해서 가져가도 된다.     전문가들은 신입생이 너무 많은 짐을 싸가지고 오는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집에서 가지고 있던 모든 물건을 기숙사로 가지고 갈 필요가 없다. 가볍게 그리고 꼭 필요한 것만 챙겨가게 하라. 물론 원거리일때는 전략을 좀 다르게 짜야 한다.     최근에는 대학 측에서 SNS로 기숙사 한 동에 있는 학생이 가입된 단체방을 만들어 주기도 한다. 기숙사에 입주하기 훨씬 전부터 북쩍북쩍 되는 모습이 예전과 크게 다르다.    ▶계절별 옷   챙기지 못한 물건이 있다면 나중에 집에 들러서 가지고 가도 되고 가족이 보내줘도 된다. 가을 학기 후 기온이 떨어져 집에 올 계획이면 여름 옷과 겨울 옷을 그때 챙겨도 좋다. 가을 옷과 겨울이 시작될 때 필요한 옷만 준비해도 된다. 갖고 있는 옷을 모두 가지고 가지 않는 것이 맞다. 하지만 집으로 자주 오는 것이 불가능한 원거리라면 가지고 있는 옷을 모두 가지고 대학으로 가야 한다면, 진공 포장지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진공 포장지는 원하는 물건을 포장지에 넣은 후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아주 작은 사이즈로 축소할 수 있는 특수 포장지로 스웨터 코트 또는 침구류 등을 포장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런 포장지는 다시 오픈할 때까지 축소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옷장이나 침대 밑에 저장하기에 좋으며 학생이 사용하기로 할때까지 원래 상태로 깨끗이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활용품   플라스틱 그릇, 컵, 커피 컵, 포크, 나이프, 수저 등을 챙겨야 한다. 또 캔 오프너와 병따개도 준비하면 좋다. 또 침대시트, 베갯잇, 수건, 베개, 이불, 빨래 광주리, 빨래 비누, 옷걸이, 세탁장에서 필요한 25센트 동전도 필요할 것이다. 바느질 세트도 필요하다. 옷이 터지거나 단추가 떨어졌을 때 혼자서 해결해야 한다. 각종 학용품도 준비한다. 물건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박스까지 마련하면 작은 물건이 바닥에 돌아다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숙사에는 스탠드, 램프, 자명종, 선풍기 등도 필요할 수 있다.     ▶현실적일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꼼꼼히 챙기다가 평상시 다림질을 한번도 하지 않는 학생이 다리미와 기다란 다리미 판까지 사가지고 옷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할 필요는 없다. 현실에 맞춰야 한다. 또한 기숙사 짐은 미리 준비해야 한다.   요령은 체크리스트를 준비한 후 하나씩 체크해 나가자. 기숙사 입주일을 며칠 앞두고 부모와 가지고 갈 물건을 놓고 언쟁을 벌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기숙사로 떠나는 자녀는 결국 분가하는 것과 그리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감정적으로나 살림이나 실제로는 분가다. 장병희 기자대학신입생 기숙사 입주 계획 룸메이트 연락 대학 기숙사 기숙사 입주자 진공 포장지

2024.07.14. 19:16

썸네일

[노동법] 직원의 연락 거부권

현재 가주 의회에서 고려 중인 법안 중 앞으로 고용주와 직원들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안이 있다. AB 2751 법안은 ‘근무 시간 외에 고용주와의 연락을 거부할 권리’를 거의 모든 직원에게 부여하는 광범위한 법안이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가주는 전국 최초로 ‘연락 거부 권리’ 법을 시행하는 주가 된다.     갈수록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 즉 ‘워라벨’을 중요시하고 있지만, IT 기술 발전은 그와 정반대의 삶을 가능하게 했다. 즉, 직원들이 어디 있든 거의 주 7일 24시간 연락 및 추적이 가능해졌다. 간혹 휴가 중이거나 저녁 늦은 시간에 이메일이나 카톡 등으로 직원에게 연락하게 되고, 이에 따른 고용주와 직원들 간의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많은 고용주의 운영 방식과 연락 방식이 달라져야 할 것 같다.   법안은 어떻게 보면 심플하지만, 그에 따른 복잡한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크다. 먼저, 법안의 골자는 정해진 근무 시간 외에 대부분의 고용주 소통을 무시할 권리를 직원에게 부여하는 것이다. 고용주는 이러한 지침서를 만들어 제공하고 시행해야 한다. 단, 예외가 있다. 첫 번째, 긴급 상황, 즉 회사의 작업 중단이나 환경 피해를 유발하거나 고객, 직원, 또는 대중에게 위협이 되는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정의되는 경우, 근무 시간 외에 직원에게 연락할 수 있다. 두 번째, 회사나 일에 앞으로 24시간 안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 변경에 대해서는 근무 시간 외 직원에게 연락할 수 있다.     이 법안이 파문을 일으킬 것 같은 이유는 시간제 근무 직원들뿐 아니라 관리직 및 오버타임 제외 대상자 모두에게 적용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회사가 시간제로 근무하는 직원들이 정해진 시간 외 근무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며, 만약 시간 외 업무가 발생할 경우 그에 따른 시급이나 오버타임 등을 지급해주면 현재는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특히, 오버타임 제외 대상자들은 정해진 연봉을 받고 시간제한 없이 일하기 때문에, 물론 하루에 잠깐만 일해도 급여를 지급해야 하지만, 시간 외 근무나 주말 등 일한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급여 지급 의무가 없다.     하지만 이제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시간제 직원은 물론 오버타임 제외 대상자들도 정해진 근무 시간 외에 연락을 받지 않아도 되며, 이를 어길 경우 고용주에게 벌금까지 부여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근무 시간 외 고용주의 소통이 3 건 이상이 되었다는 것을 직원이 문서화된 사례로 입증할 경우, 고용주에게 ‘100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고용주의 연락이나 소통 방식 등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에 있는 모기업이나 비지니스 파트너들과의 소통을 이유로 직원들에게 늦은 저녁이나 밤 시간 연락하거나 화상 미팅 시간을 잡는 것이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면, 그러한 연락들이 앞서 말한 예외에 해당되는지, 꼭 필요한 것인지 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예상되는 이 법안의 또 다른 영향은, 고용주들이 연봉을 지급하는 오버타임 제외 대상자 직책에 대해 재고 및 재검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기존에 오버타임 제외 대상자 및 관리직 직책들이 높은 연봉을 받는 이유가 정해진 근무시간이나 일하는 시간과 관계없이 일을 맡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는데, 이러한 장점이 제외된다면 업무 유연성이 떨어져 연봉 책정이나 직책 변경 등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문의:(213)700-9927 박수영 변호사노동법 거부권 연락 연락 거부권 시간제 직원 시간제 근무

2024.04.23. 22:34

퇴근 후 업무연락 금지법 발의…가주 하원서 전국 최초 추진

업무시간 외에는 직장 상사나 고용주의 전화를 무시해도 되는 권리를 보장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새크라멘토 지역방송 키온46은 캘리포니아주 하원에서 매트 하네이 의원(17지구)이 직장인의 업무시간 외 권리보장법안(AB 2751)을 발의했다고 보도했다.   이 법안은 노동자가 업무시간 외에는 상사나 고용주의 전화를 받지 않아도 되는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을 담았다. 법안 통과 시 고용주 등은 업무시간 외에 일과 관련한 연락이나 대화를 노동자에게 요구할 수 없다.   고용주 측에서 법안 내용을 3번 위반할 경우 벌금 100달러도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응급상황 관련이나 일정조율을 위한 연락은 예외다. 가주에서 50개 주 중 처음으로 관련 법안이 발의됐다. 하네이 하원의원은 “셀폰은 24시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며 “우리가 언제 업무를 수행할 것인지,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지를 명확하게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 등 전 세계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시간을 가리지 않는 업무 관련 연락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미 프랑스는 비슷한 내용의 법안을 시행하고 있다. 호주도 올해 관련 법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업무시간 연락 연락 금지 법안 통과 법안 내용

2024.04.03. 21:04

[오늘의 생활영어] be in touch with (someone) ; ~와 연락을 유지하다, 연락이 닿다

(Dan is talking to his friend Marty … )   (댄이 친구 마티와 얘기한다 …)   Dan: Did you hear what happened to Alex?   댄: 알렉스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 들었어?   Marty: No I haven’t been in touch with him for a few days.   마티: 아니 며칠동안 알렉스하고 연락하지 않고 지냈거든.   Dan: He broke his leg playing softball.   댄: 소프트볼을 하다가 다리가 부러졌어.   Marty: Oh that’s terrible.   마티: 이런 세상에.   Dan: Now he has to put up with a cast on his leg for a few weeks.   댄: 몇 주동안 다리에 깁스를 하고 지내야 돼.   Marty: Maybe he’s a little old to play softball.   마티: 소프트볼 하기에는 좀 나이가 들은 건가.   Dan: It’s too late to worry about that.   댄: 그런 걱정 하기에 너무 늦은 것 같은데.   Marty: How did it come about?   마티: 어떻게하다 그런 거야?   Dan: He slid into second base and collided with the second baseman.   댄: 2루에 미끄러졌는데 2루수하고 부딪혔대.   Marty: Thanks for letting me know. I’ll call him tonight.   마티: 알려줘서 고마워. 오늘 저녁 알렉스한테 전화할게.     ━   기억할만한 표현     * put up with: ~를 견디다 참고 지내다     "It's difficult putting up with loud noise when you're trying to study." (공부할 때는 시끄런 소리를 참기가 힘든 법이죠.)   * came about: ~가 생기다 ~일이 나다     "His desire to learn English came about in high school." (그가 영어를 배우려는 마음은 고등학교 시절 생겼답니다.)   * let (someone) know: ~에게 알리다     "I'll let you know when I'm ready to leave." (떠날 준비가 되면 제가 알려드릴게요.)오늘의 생활영어 연락 touch in touch leg playing play softball

2023.09.21. 21:01

썸네일

[오늘의 생활영어] be in touch with (someone) ; ~와 연락을 유지하다, 연락이 닿다

Dan is talking to his friend Marty …     (댄이 친구 마티와 얘기한다 …)   Dan: Did you hear what happened to Alex?   댄: 알렉스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 들었어?   Marty: No I haven't been in touch with him for a few days.   마티: 아니 며칠동안 알렉스하고 연락하지 않고 지냈거든.   Dan: He broke his leg playing softball.   댄: 소프트볼을 하다가 다리가 부러졌어.   Marty: Oh that's terrible.   마티: 이런 세상에.   Dan: Now he has to put up with a cast on his leg for a few weeks.   댄: 몇 주동안 다리에 깁스를 하고 지내야 돼.   Marty: Maybe he's a little old to play softball.   마티: 소프트볼 하기에는 좀 나이가 들은 건가.   Dan: It's too late to worry about that.   댄: 그런 걱정 하기에은 너무 늦은 것 같은데.   Marty: How did it come about?   마티: 어떡하다 그런 거야?   Dan: He slid into second base and collided with the second baseman.   댄: 2루에 미끄러졌는데 2루수하고 부딪혔대.   Marty: Thanks for letting me know. I'll call him tonight.   마티: 알려줘서 고마워. 오늘 저녁 알렉스한테 전화할게.     ━   기억할만한 표현     * put up with: ~를 견디다 참고 지내다     “It’s difficult putting up with loud noise when you‘re trying to study.” (공부할 때는 시끄런 소리를 참기가 힘든 법이죠.)   * came about: ~가 생기다 ~일이 나다     “His desire to learn English came about in high school.” (그가 영어를 배우려는 마음은 고등학교 시절 생겼답니다.)   * let (someone) know: ~에게 알리다     “I’ll let you know when I‘m ready to leave.” (떠날 준비가 되면 제가 알려드릴게요.)오늘의 생활영어 연락 touch in touch leg playing play softball

2023.06.22. 18:56

썸네일

[룩킹포맘-뉴욕주 문정현씨] "엄마가 원할 때 만나 뵐게요"

“통영 분들은 저에겐 천사 같은 분들입니다.”     동부 나이아가라 폭포 인근인 뉴욕주 타나완다에 사는 문정현(새라 셀미넌·37·사진)씨는 장애학생들을 돌보는 특수교사 출신이다.     1984년 11월 24일 경남 통영(당시 충무) 일신 조산원에서 태어난 그는 어머니 ‘문정숙’씨를 찾고 있다. 어머니 정숙씨는 정현씨를 낳을 때 22세였다는 정식 기록이 있어 올해 60세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중학교를 졸업하고 통영 인근 공장에서 일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정현씨는 한 살이 되기 전인 1985년 동방사회복지회를 거쳐 뉴욕의 한 가정에 입양돼 자랐다.   2019년에 이어 올해 3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은 문씨는 통영과 거제에서 많은 친구, 이웃과 어른들을 만나 도움을 받았다.     “문씨 성을 가진 분들이 많이 사는 곳, 졸업한 학교 등을 찾아보면서 많은 분이 도와주셨어요. 이 과정에서 재워주고, 먹여준 ‘삼촌’ ‘이모’ ‘아저씨’분들도 많았고요. 어머니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방문한 관공서에서도 매우 친절하게 도움을 주셨어요. 감사할 따름이죠.”     그는 이미 거제 인근에 있는 어머니가 자신의 존재를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지금 연락을 하거나 만날 수 없는 상황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영상으로 제 모습을 본다면 마음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요”라며 간절한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37년 평생을 새라(Sarah)로 살아오다 이제 ‘문정현’으로 돌아가겠다고 한 그는 어머니에게 조그만 카드를 썼다며 본지에 보내왔다.     “저는 괜찮습니다. 어머니가 원하는 데로 기다릴 수 있어요. 문화도 다르고 생각도 다를 수 있으니까요. 충분히 이해합니다. 언제든지 준비되면 알려주세요. 제가 한국으로 갈게요. 사랑합니다.”     ‘룩킹포맘 투게더’는 미주중앙일보와 한국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이 공동 제작하고 있으며 ‘농심 아메리카’가 후원한다.   최인성 기자룩킹포맘-뉴욕주 문정현씨 엄마 연락 어머니 정숙씨 통영과 거제 통영 인근

2022.11.29. 22:0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