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사설] 한인 연방상원의원 한 걸음 남았다

앤디 김 연방하원의원이 11월5일 선거의 뉴저지 주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후보로 결정됐다. 김 의원은 4일 치러진 예선에서 당 내 경쟁자들을 압도적 격차로 누르고 승리했다. 뉴저지 주는 민주당 강세 지역이어서 한인 최초의 연방상원의원 탄생 가능성이 높다.       김 의원의 승리는 한인 이민역사에 또 하나의 획을 긋는 쾌거다. 한인 연방상원의원 배출이라는 목표에 바짝 다가섰기 때문이다. 연방상원은 외교와 국방, 주요 공직자 임명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관이다. 그만큼 상원의원의 정치적 위상도 높다. 그동안 일본,중국,인도 등 다른 아시아계 상원의원은 있었지만 한인은 없다.     김 의원은 개혁적 정치인의 모습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관행이나 기득권 등을 거부하며 시민 정치를 표방한다. 특히 2021년 1·6 의회 폭동 사태 당시 하원의원 신분으로 묵묵히 의사당 내 쓰레기를 치우던 그의 모습은 전국적인 화제를 모았다.  그는 이번 승리도 “풀뿌리 선거운동의 성과”라고 평가하며 “변화를 위한 운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게는 아직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다. 11월 본선에서의 승리다. 당선의 최대 변수는 밥 메넨데스 현 의원이다.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그는 무죄를 주장하며 11월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그는 민주당 소속으로 2006년부터 20년 가까이 상원의원을 역임한 거물이다. 지역에 상당한 지지 기반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만약 그의 발표대로 선거에 나선다면 민주당 내지 민주당 성향 유권자의 표를 잠식할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 강세 지역이라고는 하지만 표가 분산될 경우 공화당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는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다.        뉴저지뿐 아니라 전국 한인 사회의 김 의원 지원과 지지가 필요하다. 김 의원의 당선은 또 하나의 유리 천장을 부수는 일이다.사설 연방상원의원 한인 한인 연방상원의원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연방상원의원 탄생

2024.06.05. 17:47

“뉴저지주지사 부인 태미 머피도 상원 도전”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의 부인 태미 머피(사진)가 곧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에 도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가장 강력한 후보인 앤디 김(민주·뉴저지 3선거구) 연방하원의원과 맞붙게 된다.   지역매체 뉴저지글로브는 지난달 30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태미 머피가 곧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후보로 등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로버트 메넨데즈(민주) 의원이 지키고 있는 자리로 내년 6월 예비선거가 예정됐다.   태미 머피는 지난 9월 메넨데즈 의원이 기소된 뒤 유력한 민주당 후보로 거론됐다. 남편 머피 주지사를 비롯해 민주당의 수많은 인사를 위해 후원을 이끌어낸 것으로 잘 알려졌다.   ▶높은 인지도 ▶성공적인 기금 모금 이력 ▶막대한 개인 재산 ▶뉴저지주 정치권과 탄탄한 관계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뉴저지주가 아직 여성 연방상원의원을 배출한 적이 없다는 점 또한 그에게 유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데비 월시 럿거스대학 교수는 지역매체 고다미스트에 “뉴저지주는 선출직에서 여성이 과소 대표되는 문제가 있다”며 “태미 머피는 높은 인지도를 통해 강력한 후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태미 머피가 출마할 경우 같은 자리에 도전하는 앤디 김 의원에 위협이 될 수 있다. 김 의원은 지금까지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후보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다.   한편 민주당 예비선거에서의 승리는 사실상 의원 당선으로 통한다.  이하은 기자뉴저지주지사 부인 머피 뉴저지주지사 뉴저지주지사 부인 연방상원의원 민주당

2023.10.31. 21:4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