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셧다운 강제휴직 직원들 보상 장담 못 해"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영향에 강제로 일을 못 하게 된 연방정부 직원들에 대해 셧다운 사태가 해소돼도 정부가 보상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7일 악시오스(Axios)가 백악관 내부에서 입수한 메모 초안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정부가 폐쇄된 동안 일을 못 한 연방정부 직원들에게 셧다운이 끝난 후에도 임금 소급적용을 안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되면 최대 75만명의 연방정부 직원이 영향을 받게 된다.     악시오스는 "연방정부 직원들에게 보상해 주지 않는 것은 '정부 직원 공정 대우법'(GEFTA)을 따르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예산관리국(OMB)은 새 메모에서 "GEFTA를 셧다운 이후에 무조건 직원 보상을 해 주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일부 직원들은 연방정부 보호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연방정부 직원을 대거 해고하고, 심지어 셧다운 기간 일을 못 하게 된 직원들에 대해 보상도 하지 않겠다는 것은 정부 폐쇄로 인한 고통을 극대화하려는 조치"라고 해석했다. 또 셧다운 타격을 극대화한 뒤 민주당이 협조하지 않은 탓으로 돌리려는 것이라고도 전했다.   한편 연방의회는 6일 임시예산안(CR)을 처리하려 했지만, 최소 득표(60표)에 실패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강제휴직 셧다운 셧다운 강제휴직 연방정부 셧다운 연방정부 직원들

2025.10.07. 21:22

연방정부 직원 최저임금 인상

조 바이든 행정부가 연방정부 직원들의 최저임금을 시간당 15달러로 인상한다.   연방인사관리처(OPM)는 21일 각 연방기관에 이러한 지침을 내렸다고 밝혔다.   새 지침의 대상이 되는 연방정부 직원은 7만 명에 달하며 대부분 국방부와 농무부, 보훈부 소속이고 특히 국방부가 5만6000명으로 가장 많다.   OPM은 새 지침을 1월 30일까지 적용하라고 지시했다. OPM의 감독을 받지 않는 연방우정국(USPS)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조치에 톰 빌색 농무장관은 “농무부 직원들은 국가를 위해 수행하는 중요한 일과 (국가에 내놓는) 재능에 대해 공정하게 보상받을 자격이 있다”고 환영했다.   OPM은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연방정부 직원들의 보수현황에 대한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했는데 연방정부 직원의 대다수인 220만 명은 시간당 15달러 이상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연방정부와 계약을 맺고 일하는 근로자들의 최저임금을 시간당 15달러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근로자의 권익 향상을 중시하면서 임금인상을 통한 미국의 중산층 강화에 집중해왔다.     심종민 기자연방정부 최저임금 연방정부 직원들 지난해 연방정부 농무부 직원들

2022.01.21. 20:1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