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연방정부, 하버드대 보조금 4억5000만불 추가 삭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에 대한 연방 지원금 4억5000만 달러를 추가 삭감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13일 트럼프 행정부 반유대주의 태스크포스(TF)는 “하버드대는 캠퍼스에 만연한 인종 차별과 반유대주의적 괴롭힘을 해결하지 않았다”며 “하버드대에 대한 연방 지원금 4억5000만 달러를 추가 삭감한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등을 이유로 하버드대에 교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지만, 하버드대는 “해당 요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거부했다.     연방정부는 “연방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입학·채용 과정에서 다양성 우대 조치를 중단하고, 반이스라엘 성향 학생의 입학을 막기 위해 유학생 제도를 개편하는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으나 이에 반기를 든 것이다.   이에 연방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한 22억 달러 연방 보조금을 즉시 동결했으며, 10억 달러 규모의 연구 지원금 철회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위협에 나섰다. 뿐만 아니라 국세청(IRS)은 정부 요구에 반기를 든 하버드대의 ‘세금 면제 지위’ 박탈을 추진 중이라고 경고했다.     이후 하버드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지원금 중단 조치가 위법이라며 이를 멈춰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최근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에 보낸 서한에 “하버드대는 더 이상 연방정부의 보조금을 신청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지원도 제공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명시했다.       이에 12일 가버 총장은 교육부에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와 기타 차별을 종식시키는 것의 중요성은 우리도 알고 있다”며 “다만 연방정부는 대학의 헌법적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윤지혜 기자연방정부 하버드대 연방정부 하버드대 하버드대 총장 이후 하버드대

2025-05-13

연방정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 민권법 위반 조사 착수

백인과 부유층의 특혜라는 비판을 받아온 동문자녀 입학 우대정책, 즉 ‘레거시(Legacy) 입학’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제도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레거시 입학이 1964년 제정된 연방 민권법(Civil Rights Act)을 위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사다.     25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교육부 산하 민권국(OCR)은 레거시 입학 반대 의사를 밝히며 조사를 촉구해 온 비영리단체 ‘민권을 위한 변호사’에 연방 차원의 조사가 시작됐다고 통보했다. 이외에도 흑인단체인 치카 프로젝트(CHIKA Project), 라티노 단체 그레이터보스턴라티노네트워크(GBLN) 등 레거시 입학에 반대한 단체들에 민권 조사 시작 사실을 알렸다.   교육부는 성명에서 “민권법 타이틀6, 인종·피부색깔 또는 국적(언어)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는 내용에 따라 공개 조사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레거시 입학에 대한 비판은 꾸준히 이어졌지만, 지난달 말 연방대법원이 어퍼머티브 액션에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다시 한번 불이 붙었다.     연방대법원 판결에 반대하는 이들은 “오히려 동문이나 기부자 자녀 등을 대학입학에서 우대하는 ‘레거시 입학’이 사라져야 평등해질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민권을 위한 변호사’에 따르면, 하버드대 동문 관련 지원자가 입학할 가능성은 동문이 아닌 경우보다 6배나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하버드대 동문이나 기부자 관련 지원자의 70%가 백인으로, 유색인종 지원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이 단체는 설명했다. 전날 발표된 하버드대 경제학자그룹 ‘교육기회연구’(Opportunity Insights) 조사에서도 지원자 조건이 같으면 경제력 상위 1% 가정의 수험생은 다른 수험생들보다 합격 가능성이 3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문대 학생 6명 중 1명은 상위 1% 가정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정부 하버드대 하버드대 레거시 연방정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

2023-07-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