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2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인상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등의 파산 사태로 금융 불안이 계속되자, 한 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 대신 ‘베이비스텝’을 밟은 것이다. 올해 한 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전망되며, 연내 금리인하는 없다고 못박았다.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날 기준금리를 현재보다 0.25%포인트 높은 4.75~5.00%로 올렸다. 기준금리는 5.00%에 진입했고, 2007년 이후 다시 최고 수준을 기록하게 됐다. 연준은 “지출과 생산은 완만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고, 일자리는 최근 몇 달간 늘어 견조한 속도”라며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높은 상태”라고 밝혔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인 점도표(dot plot)상 올해 말 금리 예상치(중간값)는 5.1%였다. 금리를 올해 한 차례 더 0.25%포인트 올린 뒤 금리인상을 멈출 것이란 뜻으로 해석된다. 최근 시장에선 물가를 확실히 잡기 위해 연준이 다시 금리인상폭을 높일 것이란 관측도 나왔었지만, SVB·시그니처은행 파산 등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상황이 변했다. 일각에선 금리 인하 필요성까지 제기됐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지만 금리인하는 현재 우리 머릿속엔 없다”고 잘라 말했다. 뉴욕증시는 이 발언 직후 하락 전환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530.49포인트(1.63%) 떨어진 3만2030.11, S&P 500 지수는 65.90포인트(1.65%) 내린 3936.97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190.15포인트(1.60%) 내린 1만1669.96으로 마감했다. 파월 의장은 금융 불안에 대해선 “은행 시스템은 강력한 자본과 유동성으로 건전하고 탄력적”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또 “은행 시스템을 감시하고 필요한 모든 도구를 사용할 준비가 돼 있다”며 안심시키기에 나섰다. 연준이 예상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0.4%로, 0.1%포인트 낮아졌다.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3.3%로 직전 전망치(3.1%)보다 올랐다. 김은별 기자파월 연준 연방준비제도 금리인상 기준금리 금리 FOMC 인플레이션 SVB
2023.03.22. 17:55
연방준비제도(Fed)가 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올렸다. 물가를 잡기 위한 고강도 금리인상 정책에선 벗어났지만,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며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이날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4.25~4.5%인 연방기금금리를 4.50~4.75%로 0.25%포인트 올린다고 발표했다. 이는 금융위기 전이었던 2007년 이후 약 15년만의 최고 수준이다. 연준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며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40년 만에 최악 수준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이어 왔다. 특히 지난해 6·7·9·11월 4차례에 걸쳐 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씩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물가상승률이 조금씩 둔화하는 조짐을 보이자, 지난해 마지막 FOMC 정례회의에선 금리 인상폭을 0.50%포인트로 낮추며 속도조절에 들어갔다. 이미 시장에선 이달 연준이 금리인상폭을 0.25%포인트로 낮추는 ‘베이비 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을 예측했다. 물가가 잡히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 데다, 지나친 통화긴축이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기 때문이다. 다만 연준은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는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최근 완화됐지만, 여전히 너무 높다”며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못박았다. 상품가격 물가상승률은 둔화하고 있지만, 주택시장과 서비스업 물가는 여전히 높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앞서 FOMC 위원들은 올해 말에 적절한 금리 수준으로 5.00~5.25%를 제시한 바 있다. 앞으로 0.25%포인트씩 두 번만 금리를 더 올리면 이 수준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는 연준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과 금리인상 지속 예고에도 파월 의장의 통화정책 변경 가능성에 대한 암시와 기업들의 호실적에 주목하며 일제히 상승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6.92포인트(0.02%) 오른 3만4092.96으로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42.61포인트(1.05%) 상승한 4119.21, 나스닥 지수는 231.77포인트(2.00%) 상승한 1만1816.32로 거래를 마쳤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연방준비제도 연준 금리 금리인상
2023.02.01. 19:18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연준은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기준금리를 현행 3.00~3.25%에서 3.75~4.00%로 0.75%포인트 올린다고 발표했다. 가파른 금리 인상에도 물가 상승세가 멈추지 않자, 이번에도 고강도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상단은 4.00%까지 오르게 돼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아졌다. 한국과의 금리 차도 1.00%포인트로 확대돼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 연준은 성명에서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물가에 추가 상승 압박을 가하고 있다”며 추가 금리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시장에선 이미 금리인상을 예견했었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8.2% 올라 물가상승세가 여전했고, 이날 발표된 ADP 민간고용은 지난달 23만9000개 늘며 강한 노동시장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금리인상 중단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아직까지 (물가 안정을 위해) 가야 할 길이 있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초반에는 “누적된 긴축이 경제·물가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고, 긴축 속도를 언젠가는 늦출 것”이라며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을 이어갔다. 기자회견 내내 등락을 반복하던 뉴욕증시는 결국 급락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505.44포인트(1.55%) 하락한 3만2147.76에, S&P 500 지수는 96.41포인트(2.50%) 내린 3759.69로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366.05포인트(3.36%) 떨어진 1만524.80으로 거래를 마쳤다. 다만 파월 의장의 강경 발언에도, 시장은 다음달 연준이 금리인상 폭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미 동부시간 오후 4시23분 현재 다음달 연준이 금리를 0.50%포인트 올릴 확률은 56.8%, 0.75%포인트 올릴 확률은 43.2%로 집계됐다. 김은별 기자연방준비제도 연준 Fed FOMC 제롬파월 파월 기준금리 금리인상 미국 인플레이션 물가
2022.11.02. 19:29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또 0.75%포인트 올렸다.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이다. 기준금리를 1%포인트 올릴 것이란 전망도 있었지만, 시장충격 등을 감안해 결국 0.75%포인트 인상을 택했다. 연준은 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9월 정례회의 직후 2.25~2.50% 수준인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려 3.00~3.25%로 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아졌다. FOMC는 올해 3월부터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FOMC는 이날 공개한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금리 중간값은 4.4%로 예상했다. 지난 6월 예상(3.4%)보다 1%포인트나 높아진 것으로, 금리를 더 공격적으로 올릴 것으로 전망한 셈이다. 내년 말 금리 전망치는 기존 3.8%에서 4.6%로 상향했다.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7%에서 0.2%로 대폭 낮춰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7%에서 1.2%로 하향 조정했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5.2%에서 5.4%로, 내년은 2.6%에서 2.8%로 올렸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물가상승률이 2%를 향해 내려간다고 확신하기 전에는 금리인하를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이날 내내 출렁이던 뉴욕증시는 결국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522.45포인트(1.70%) 떨어진 3만183.78에, S&P 500 지수는 66.00포인트(1.71%) 내린 3789.83에 거래를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204.86포인트(1.79%) 하락한 1만1220.19로 장을 마쳤다. 김은별 기자연준 금리인상 파월 연방준비제도 제롬파월 증시 뉴욕 뉴욕증시
2022.09.21. 17:20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것)을 밟은 것이다. 40여년만에 최악으로 치달은 물가상승률을 잡기 위해 고강도 금리인상을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시장이 강력하기 때문에 경기침체 상황은 아니라고도 풀이했다. 다만 연준이 경기침체 신호가 나타날 경우 9월부터 금리인상 속도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내비치자, 주식시장은 환호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기존 1.50~1.75%에서 2.25~2.50% 수준으로 올랐다. 지난달에도 연준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려 28년 만에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는데, 이번달에도 이례적으로 금리를 0.75%포인트 올렸다. 폭등한 물가를 잡기 위해 고강도 긴축을 단행하고 있는 것이다. 급격한 금리인상이 경기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고용시장이 매우 강력해 경기침체는 말이 되지 않는 얘기”라고 밝혔다. 다만 경기침체 신호가 나타난다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밝히자 주식시장은 급등했다. 파월 의장은 “누적되는 정책조정(긴축)이 경제와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평가하면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할 것 같다”고 말했다. 금리 동향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06%(469.85포인트) 폭등한 1만2032.42에 거래를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2.62%(102.56포인트) 오른 4023.61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1.37%(436.05포인트) 상승한 3만2197.59로 장을 마쳤다. 한편 이날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2년 반만에 역전, 원·달러 환율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높아졌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 외화자금이 한국에서 빠져나갈 수 있고, 달러가치는 더 높아질 수 있어서다. 27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07.6원) 보다 5.7원 오른 1313.3원에 마감했다. 김은별 기자연방준비제도 연준 파월
2022.07.27. 18:46
41년만에 최악으로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초강수를 뒀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것은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이다. 연준은 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종전 0.75~1.00% 수준에서 1.50~1.75% 수준으로 올랐다. 연준은 앞서 지난 3월 0.25%포인트, 5월 0.50%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그럼에도 물가가 잡히지 않자 이번엔 한 번에 0.75%포인트나 올린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직후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봉쇄조치가 물가를 추가로 끌어올릴 수 있다"며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음 회의에서도 0.50%포인트 혹은 0.7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에서도 올해 말 금리 수준은 3.4%에 육박해 세 달 전보다 1.5%포인트 올랐다. 9조 달러에 육박하는 대차대조표 축소는 계획대로 진행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월 전망치(2.8%)보다 낮은 1.7%로 하향 조정했고,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4.3%에서 5.2%로 높여잡았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금리를 올려도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 경기침체를 유발할 정도는 아니다"며 "개인소비지출도 좋은 수준"이라고 긍정 평가했다. 실업률은 2024년 4.1%까지 오르겠지만 버틸 만한 수준이라고 해석했다. 모기지 금리가 올라도 부동산 시장의 수요공급은 여전히 타이트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연준의 '인플레 파이터' 의지를 확인한 후 월가는 환호했다. 뉴욕증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303.70포인트(1.00%) 오른 3만668.53, S&P 500은 54.51포인트(1.46%) 오른 3789.99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는 270.81포인트(2.5%) 상승한 1만1099.16에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3.62달러(3.04%) 하락한 배럴당 115.31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김은별 기자연방준비제도 연준 FED 기준금리 금리인상 자이언트스텝 모기지 부동산 증권 주식
2022.06.15.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