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학자금 대출 연체 급증…대출자 14% 상환 불능

학자금 대출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개인 신용점수도 떨어지고 있다.     15일 뉴욕 연방준비은행(이하 뉴욕 연은)과 CNBC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학자금 대출 잔액 중 90일 이상 연체액의 비율이 8%에 달했다. 지난해 말의 연체율(1% 미만)과 비교하면 급격하게 상승한 것이다.     뉴욕 연은은 또 “학자금 대출자 중 약 14%, 즉 600만명이 학자금 대출을 90일 이상 갚지 못했거나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태인 것”라고 덧붙였다.     2025년 1분기 학자금 대출 잔액은 160억 달러 증가해 1조6300억 달러로 늘었다.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와 동시에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대출자의 신용점수도 하락하고 있다. CNBC는 지난해 10월 학자금 상환 유예 조치가 만료된 이후 수백만 명의 신용점수가 하락했다고 전했다.     실제 신용평가회사 페어아이작(FICO)은 지난 2월부터 평균 신용점수가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신용점수 하락 주요 원인으로는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가 꼽혔다. 뉴욕 연은 역시 학자금 대출 연체자의 신용점수가 최대 171점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 연은은 “학자금 대출 연체 여파는 심각하다”면서 “수백만 명의 연체자의 신용점수가 급락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차입비용을 증가시키고 모기지 대출이나 자동차 대출과 같은 다른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접근성이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1분기에 가계부채는 전 분기보다 1670억 달러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18조2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학자금 연체율 학자금 상환유예 급증신용점수 하락세 대출금 연체율

2025.05.19. 20:32

썸네일

학자금 대출 연체율 역대 최고치

5일부터 학자금 대출 연체자에 대한 압류 조치가 재개된 가운데, 학자금 대출 연체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신용 정보 회사 ‘트랜스유니온’이 5일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학자금 대출자 20.5%가 90일 이상 연체 상태인 ‘심각한 연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20년 2월 연체율 11.5%에 비해 급증한 수치다.   트랜스유니온은 “5명 중 1명이 심각한 연체 상태라는 분석 결과는 실제보다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아직 상환 프로그램이나 다른 방법을 모색 중이어서 심각한 연체 상태로 보고되지 않은 이들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약 3970만 명이 연방 학자금 대출을 받은 상태이며, 이중 약 2000만 명이 상환 유예 또는 일시 상환 중지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학자금 대출자들은 연체로 인해 신용점수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프라임 연방 대출자(Subprime Federal Borrower·학자금 대출을 받았으나 상환에 어려움을 겪어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은 연체로 인해 신용 점수가 평균 87점, 수퍼프라임 대출자(Super Prime Federal Borrower·신용도가 매우 높은 연방 학자금 대출자)들은 평균 171점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 점수가 낮은 대출자는 연체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서브프라임 대출자의 50.8%가 심각한 연체 상태인 반면 수퍼프라임 대출자의 연체율은 0.9%에 불과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학자금 연체율 학자금 대출자들 수퍼프라임 대출자 서브프라임 대출자

2025.05.06. 21:17

2025, 모기지 상환 쓰나미 몰려온다

        온타리오주 호스슈 밸리의 63세 거주자 알레시아는 2025년 모기지 갱신에 대해 "비용 상승을 어떻게 감당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녀는 "모기지뿐만 아니라 재산세와 모든 비용이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알레시아는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 갱신할 120만 명의 캐나다인 중 하나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대출의 85%는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리가 1% 이하였을 때 체결되었으며, 이는 100만 명 이상의 주택 소유자들이 갱신 시 "상당히 높은 금리"를 맞이할 것임을 의미한다.   지난 달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0.5% 인하했으나, 여전히 높은 금리가 부담이 되고 있다. 알레시아는 현재 100만 달러의 모기지 대출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리 상승에 따른 재정적 어려움을 우려하고 있다. 그녀와 남편은 캐나다 내 생활비 상승에 따른 부담을 느껴 멕시코로 이주할 계획을 세웠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 마리아(61세)는 1.9% 금리로 58만 5천 달러의 모기지를 갚고 있지만, 현재 금리는 3.99% 이상으로 예상되며, 월 700달러 이상의 추가 부담이 예상된다. 그녀는 상환 기간을 연장하고 월별 상환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MHC는 모기지 연체율이 이미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024년 2분기 모기지 연체율은 0.192%로 증가했으며, 토론토에서는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모기지 상환 불이행 및 압류가 대규모로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모기지를 갱신할 캐나다인들에게는 최저 금리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모기지 인상 연체율 중앙은행 금리

2025.01.14. 13:28

썸네일

오토론 연체율 6%…30년만에 최고

높은 자동차 가격과 치솟는 이자율로 인해 오토론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폭스 비즈니스가 입수한 신용평가회사 피치 레이팅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60일 이상 연체된 오토론 건수 비율이 6.11%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13.3% 오른 것으로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오토론 채무 불이행 건수는 8월 대비 9.8%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7%나 증가했다. 서브프라임 융자 채무 불이행 건수는 8월 대비 11% 감소했지만 지난해 대비 18% 증가했다. 이로 인해, 작년보다 30만 대 늘어난 150만 대의 자동차가 올해 압류될 것으로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연체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고가의 자동차 가격과 높은 대출 이자 비용 때문이라 분석했다.     신차 평균 가격은 4만8000달러로 여전히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고차 평균 가격은 3만5759달러에 달했다. 게다가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파업으로 생산이 막혀 자동차 가격이 더 상승할 것이라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또한, 뱅크레이트에 따르면 9월 신용점수가 501~600점에 해당하는 서브프라임 이자율은 신차 11.72%, 중고차 18.49%였으며 딥서브프라임(300~500점)은 신차 14.18%, 중고차 21.38%에 달했다. 이로 인해, 지난 2분기에 매달 최소 1000달러 이상을 내는 소비자 비율이 17.1%로 나타났다. 신차, 중고차의 평균 월 페이먼트는 각각 770달러와 592달러로 집계됐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오토론 연체율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메디케어 보험 건강식품 건강기구

2023.10.24. 23:09

오토론 연체율 6%선으로 급등

자동차 서브프라임 융자 연체율이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매체 액시오스가 S&P글로벌의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소 60일 이상 월할부금이 연체된 자동차 서브프라임 융자 건수 비율이 지난해 12월 6.05%까지 치솟아 최고치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6%대를 돌파했다.   같은 기간 일반 자동차 융자 60일 이상 연체율도 1.84%로 1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신차 평균 가격은 4만7362달러였다.   4분기 월 납부액은 평균 717달러로 전년 동기 659달러에 비해 8.8%가 늘었으며 1000달러 이상도 15.7%로 전년도 10.5%보다 5.2%p가 증가했다.   일반 융자와 달리 높은 이자율이 적용되는 서브프라임 융자는 일반적으로 신용 점수가 낮은 구매자에게 제공되며 주로 저소득층인 경우가 많다.   지난해 2분기 기준으로 신용점수가 501~600점에 해당하는 서브프라임 이자율은 신차 9.75%, 중고차 16.85%였으며 딥서브프라임(300~500점)은 신차 12.84%, 중고차 20.43%에 달했다.     신용점수가 661~780점인 프라임의 이자율은 신차 4.03%, 중고차 5.53%로 서브프라임과 큰 차이를 보였다.   자동차 융자 연체율 상승세는 가계 재정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고용시장 강세에도 불구하고 현금이 부족한 가정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생활비 증가와 팬데믹 관련 혜택 종료에 따라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년간 소비자물가지수는 14% 이상 뛰었으며 아동세금공제 및 실업수당 확대와 같은 연방 지원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구제지원금으로 상승했던 저축률도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신용카드 이자율이 사상 최고 수준임에도 카드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 따르면 팬데믹 기간 치솟은 중고차값도 신용점수가 낮아 신차보다 중고차를 구매하는 사람들의 융자 활동을 촉진하는데 한몫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브프라임 융자는 약탈적으로 인식되는 관행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 융자업체들이 고객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알면서도 비싼 이자 또는 수수료가 붙는 융자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CFPB와 뉴욕검찰은 지난달 가장 큰 자동차 서브프라임 융자업체 중 하나인 CAC(Credit Acceptance Corp.)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는 CAC가 재정적으로 취약한 수백만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약탈적 대출을 제공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엄청난 이자율이 부과되고 값비싼 추가상품을 구매함으로써 CAC조차 차용인이 종종 갚을 여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부채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재정 압박이 더 많은 소비자들로확산 되면서 연체율이 더 악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오토론 연체율 서브프라임 이자율 서브프라임 융자 자동차 서브프라임

2023.03.06. 19: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