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 18일 올해 두 번째 동해 상으로 탄도미사일 4발을 발사했다. 북한 언론은 김정은이 같은 날, 남한 전역을 타격권으로 하는 초대형 방사포 사격훈련을 지도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정권은 남한을 ‘제1의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주민들의 궁핍과 절망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무력시위에 올인하고 있다. 올해는 한국 총선과 미국 대선이 있다. 김정은이 이것을 빌미로 무력시위의 강도를 높인다면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 대선에서 누가 승리하느냐에 따라 남북한은 물론 전 세계의 총체적 안보가 요동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안보정책은 세계 안보 질서의 향방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특히 한반도의 안보가 그렇다. 미국의 안보정책은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 바이든 정부의 안보정책은 윤석열 정부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한미일 안보정책도 한반도 평화를 유지하려는 강력한 힘이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안보정책은 확연히 다르다. 트럼프 재집권 시 국방장관 후보 1순위로 꼽히는 크리스토퍼 밀러 전 국방장관 대행은 모 일간지와 인터뷰에서 ‘한미 간 더 평등한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주한미군 2만8500명이 여전히 필요한지, 아니면 변화가 필요한지 서로 솔직히 얘기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조금 확대 해석하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밀러 전 대행의 발언들을 종합해 보면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에 전면적인 변화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집권 당시 언급했던 주한미군 분담금 대폭 증액 요구를 다시 실행에 옮기겠다는 생각도 있는 것 같다. 트럼프가 김정은과 좋은 관계라고 강조하는 것에는 여러 의미가 있지만, 바이든의 안보정책 전반을 뒤집겠다는 트럼프의 의지가 엿보인다. 트럼프 행정부 당시 대혼란을 경험한 국제사회가 트럼프 복귀 가능성에 바짝 긴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니겠는가.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트럼프의 북한 핵 정책이다. 북핵을 인정하고 핵 확장을 억제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만일 북핵을 인정한다면 핵을 머리에 이고 살아야 하는 남한은 어떻게 되겠는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렇다면 남한도 핵무장을 하는 것이 옳다. 한반도의 평화가 자칫 풍전등화에 놓이는 것은 아닌지 불안한 이유다. 미국의 대선도 대선이지만 4월의 한국 총선도 문제다. 총선 결과가 남북관계에 큰 영향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념으로 분단된 남북은 여전히 군사적으로 대치 중이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인권이 보장되고, 세계 10위 권의 경제 선진국으로 도약했다. 반면, 3대 세습 독재 체제인 북한은 참담한 인권 상황은 물론 식량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성황인데도 아직 남한에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는 세력이 있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번 총선에서도 친북·반미 성향 인사가 야당의 비례대표 당선권에 배치됐다가 스스로 사임하는 일도 있었다. 비례대표는 지역구 선거를 통해 국회에 진출하기 어려운 여러 직능 대표나 사회적 약자 등 다양한 분야를 대변할 의원들을 선출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그런데 이런 비례대표 제도가 친북·반미 성향 인물의 국회 진출 통로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국회는 지역 민의를 대변하고 대한민국을 바로 세워가는 곳이다. 따라서 극단적인 친북·반미 성향의 이념을 가진 인물이 국회에 진출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 대한민국은 언제나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 모든 국민이 보편적 가치를 최대한 누리는 나라가 되기를 기원해본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총선 염려 한국 총선도 한미일 안보정책 트럼프 행정부
2024.03.24. 14:22
큰 걱정이 작은 근심을 덮는다. 큰 일이 터지면 작은 근심은 사라진다. 사는 게 아무리 힘들어도 죽고 사는 일에는 밀린다. 근심의 근원은 소유와 욕망, 죽음에 대한 공포다. 욕망은 끝이 없다. 먼지처럼 몸에 달라붙은 욕망의 찌꺼기들은 세월이 갈수록 두터운 겨울 코트처럼 무거워진다. 내려 놓으려 해도 근심의 무게는 가벼워지지 않는다. 걱정, 근심도 순서가 있다. 죽고 사는 일이 생기면 작은 염려가 헛수고다. 선배 한 분이 생을 마감했다. 모진 병으로 허망하게 떠났다. 불치의 병을 선고 받고 고통으로 투병하며 사는 게 얼마나 무서웠을까. 자상하고 이웃 섬기고 하나님 믿고 의지하며 무엇보다 건강을 살뜰하게 챙기던 분이다. 어머니 담근 김치 맛있다며 몸에 안 좋은 흰밥 대신 물 마시며 먹고 삶은 계란도 흰자만 드셨다. ‘내일 일은 내일이 염려할 것이요. 한 날의 괴로움은 그 날로 족하니라.' 마태복음을 묵상하면서도 지난 일들은 괴로워하고 마주할 오늘을 근심하며 아직 일어나지도 않는 내일을 미리 염려한다. 내 근심과 걱정은 과거집착형이고 현재진행형이며 미래지속형이다. 하루도 걱정 근심 내려 놓고 산 적이 없다. ‘풍경이 풍경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곰팡이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여름이 여름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속도가 속도를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졸렬과 수치가/ 그들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바람은 딴 데에서 오고/ 구원은 예기치 않은 순간에 오고/ 절망은 끝까지 그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다.’ 김수영의 시 ‘절망’ 중에서. 구원과 평강을 꿈꾸지만 후회도 반성도 없이 근심 걱정에 매달려 허덕이며 산다. 새벽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 이승인지 저승인지 꿈인지 생시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환상처럼 스쳐가는, 의식과 무의식이 엇갈리는, 몇 초의 희미한 이미지가 나의 하루를 지배한다. 환상과 기쁨도 있지만 걱정과 근심 거리가 대부분이다. 안반낙도(安貧樂道)로 근심 걱정 없이 사는 무수옹(無愁翁)의 길은 요원하다. 탐심을 버리면 피곤한 삶이 덜 고단해진다. 버릴 수 없는 것들은 버리면 사는 게 가벼워진다. 버티려고 발버둥칠수록 삶의 실타래는 더 꼬인다. 무수옹으로 걱정 근심에서 벗어나는 길은 사유와 집착의 욕망에서 해방 되는 길이다. 욕망의 눈을 감으며 고단함이 덜어진다. 잘 늙는다는 것은 근심 걱정에서 해방되는 자유를 얻는 것이다. 하늘이 내려 준 복과 고통을 인간이 어쩌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일이다. 품위 있게 산다는 것은 한탄과 넋두리, 근심 걱정 대신 처지와 분수를 아는 일이다. 불가에서는 탐심, 진심, 치심의 삼독심(三毒心)을 경계한다. 세상의 모든 것, 좋아하는 것을 다 가지려는 것은 탐심이다. 진심(嗔心)은 욕망이 채워지지 않을 때 생기는 원망과 불만, 노여움을 말한다. 치심(癡心)은 어리석음이다. 착각에서 나오는 자만과 오만 나태함이 묻어난 의심이다. 삼독심은 분별의 눈을 멀게 하고 물욕과 애착으로 마음을 병들게 해 걱정 근심의 늪에 빠지게 한다. 천복(天福)을 내리는 것은 하늘이지만 받는 자는 인간이다. 이기희 / Q7 파인아트 대표·작가
2021.10.1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