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영사관’ 사칭 전화 지금도 걸려온다

애틀랜타에 거주하는 50대 한인 여성은 최근 영사관에서 걸려온 전화를 두 번이나 받았다. 첫 번째는 영사관 대표번호가 아니었지만 영사관이라고 주장했고, 두 번째는 영사관 번호로 걸려왔다.     제보자에 따르면 전화 속 남성은 30대 목소리로, 말투가 밝고 점잖았다. 발신자는 “한국에서 정말 중요한 서류가 와서 본인 확인이 필요하다. 이름을 확인해달라”고 했고, 여성은 ‘시민권자라 한국영사관에서 연락을 받을 일이 없다’고 여기며 “그냥 버리시라”라며 전화를 끊었다. 두 번의 전화 모두 ‘스캠’이었다.     애틀랜타 총영사관은 몇 달 전부터 총영사관 대표번호(404-522-1611)로 본인을 영사 또는 (김선일) 사무관이라고 소개하며 접근하는 사례가 다수 접수되고 있다며 한인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영사관은 “총영사관 또는 대사관에서 걸려온 전화는 일단 의심하라”며 “이런 전화를 받고 진짜일까 걱정되면 일단 전화를 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신번호를 조작해 전화를 거는 사기 수법은 ‘스푸핑’(Spoofing)이라고 한다. 재외공관 외에도 금융감독원, 대검찰청, 법원 등이라고 사칭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영사관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서류가 왔는데 급하게 확인이 필요하다 하고 방문이 불가하다면 링크를 보내주겠다며 링크 접속을 요구하거나 ▶한국에서 근무한 적 있지 않냐, 검찰청 또는 경찰인데 빠진 정보가 있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본인 또는 가족이 마약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소장이 발급됐으니(범죄자 취급하며) 당장 공관을 방문하라거나 ▶한국 검찰청 또는 법원 웹사이트에 접속할 것을 요구하거나 ▶문장을 따라 읽으면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하겠다며 목소리를 녹음하는 등의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피해를 입은 사람은 총영사관 긴급전화 번호(470-880-1986)으로 연락해달라고 영사관 측은 당부했다. 사칭 전화로 의심되는 전화를 받았다면 영사관 대표 이메일([email protected]) 또는 대표번호(404-522-1611~3)로 문의할 수 있다. 윤지아 기자보이스피싱 영사관 총영사관 대표번호 영사관 사칭 애틀랜타 총영사관

2025.10.22. 14:19

썸네일

“김선일 사무관입니다” 사기 전화 주의

애틀랜타 총영사관을 사칭하는 전화가 최근 급증하고 있어 한인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영사관은 18일 “김선일 사무관이라며 총영사관을 사칭하는 전화를 받았다는 신고를 하루에만 60~70건 받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영사관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문서 확인 등을 위해 총영사관 방문을 요청하고, 수신자가 ‘방문이 어렵다’고 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한다. 현재까지 ▶전화로 서류 내용을 읽어줄 테니 맞는지 확인해달라 ▶문장을 따라 읽으면 동의한 것으로 간주할 테니 목소리를 녹음하겠다 ▶문자로 링크를 보내줄 테니 들어가서 확인해라 등의 내용이 파악됐다.     사기범들은 한인들에게 이렇게 접근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고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 따라서 총영사관이라고 밝힌 전화라면 우선 끊고, 영사관으로 직접 전화를 걸어야 한다고 영사관은 당부했다.     올초부터 영사관이나 대사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발신번호를 조작해 애틀랜타 총영사관 대표번호(404-522-1611)로 전화를 걸어 자신을 ‘ㅇㅇㅇ 영사’라고 소개하는 사례가 다수 접수되기도 했다. 한국 출입국, 법무부, 외교부 등을 사칭하는 전화도 파악됐는데, 한국 정부는 전화나 문자(카톡, 텔레그램 포함)로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내용이 의심스러울 경우 대응하지 말고 바로 전화를 끊어야 한다. 윤지아 기자김선일 사무관 영사관 사칭 애틀랜타 총영사관 총영사관 방문

2025.09.18. 14:39

썸네일

영사관 사칭 '보이스 피싱' 주의

금융정보 캐거나 송금 유도   주미한국대사관에 이어 애틀랜타 총영사관을 사칭하는 금융사기 보이스 피싱과 이메일 피싱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한인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애틀랜타 총영사관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대사관 또는 영사관 직원이나 영사를 사칭하며 한국 검찰이나 경찰에 '수배됐다,'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는 등의 말을 전한다. 직접 전달할 사항이 있는 것처럼 속이면서 본인 확인을 위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수법이다.   또 전화 수신인으로 하여금 실제 정부기관 사이트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가짜사이트’로 접속하게 한 뒤 금융정보를 탈취하거나 해외 송금을 유도하는 사례도 파악됐다.   이때 사기범들은 발신번호를 조작하여 수신자를 속인다. 애틀랜타 영사관과 미대사관 외에도 뉴욕총영사관, 시애틀총영사관, LA총영사관 등 미주 지역의 한국 공관들의 대표번호로 위장하고 있어 번호로만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영사관 측은 “한국뿐 아니라 미국 공공기관 등에서는 전화나 온라인으로 직접 개인정보를 확인하거나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기범들의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영사관을 사칭하는 전화를 받을 경우 일단 전화를 끊고, 대한민국 외교부 영사콜센터(+82-2-3210-0404) 또는 외교부 영사콜센터 카카오톡 상담 등을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사기 피해를 당했으면 즉시 거주 지역의 관할 경찰서나 연방통신위원회(FCC) 등에 이를 신고하고 주변 지인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알려 추가 피해 예방에 협조해달라고 영사관 측은 당부했다. 윤지아 기자보이스피싱 영사관 영사관 사칭 뉴욕총영사관 시애틀총영사관 영사관 직원

2025.03.13. 15: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