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스와니 로버츠 초교 ‘올해의 교사’ 이테레사…귀넷 141개 공립학교 중 유일 한인 후보

조지아주 스와니 시 로버츠 초등학교의 이테레사(41) 교사가 귀넷 카운티 교육청이 선정하는 ‘올해의 교사'(Teacher of The Year) 후보에 유일한 한인으로 올랐다. 그는 지난해부터 ESOL(외국인을 위한 영어) 수업을 맡고 있다.   23일 귀넷 카운티 교육청은 관내 141개 공립학교별 2027년 올해의 교사 후보자를 발표했다. 각 학교는 동료 교사 투표를 통해 1명의 대표 후보자를 선발했다. 이들 중 내년 1월 카운티 대표로 뽑힌 사람이 조지아주 전체 올해의 교사 상 후보로 나서게 된다.   이테레사 교사는 교직 19년차 한인 2세로, 조지아주립대(GSU)와 케네소주립대에서 교육학 학석사를 취득하고 서울에서 교환 실습을 거쳤다. 릴번 초등학교에서 1학년 교사로 교편을 잡은 뒤 2019년 학교 대표 올해의 교사로 처음 선정된 바 있다. 그는 “5학년 담임을 오래했다. ESOL 수업은 맡기 꺼렸다”며 “150명의 전교생을 혼자 가르쳐야 해 부담과 책임감이 상당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지만 지난해 로버츠 초등학교의 ESOL 교사가 전근을 가면서 이 학교 첫 한인 ESOL 교사가 됐다.   로버츠 초등학교는 작년 처음 백인 다수의 인종비율이 역전되면서 아시안이 전체 학생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기업 주재원 가정의 자녀가 많이 다닌다. 이 교사는 선생과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 양국 문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영어가 서툰 학생은 입학 후 언어장벽 때문에 성격이 소극적으로 바뀌고 말수가 급격히 줄어든다”며 “수줍고 창피하니까 비교적 쉬운 수학 문제도 못 푸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어 소통이 가능한 선생님을 만나고 내 편을 얻은 것처럼 활발해질 때 뿌듯함을 느낀다”고 했다. 그 역시 맞벌이 부부였던 부모님 대신 할머니 손에 자라 영어 습득이 늦었기에 ESOL 학생들의 어려움에 더욱 공감할 수 있다고.   이 교사는 “이민자로서 정체성 갈등을 성인기 이후까지 겪지 않으려면 어렸을 때 안전한 공간인 교실에서 나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부분이 한국적이고 또 미국적인지 탐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모국어와 영어 중 하나만 선택하기보단 다양한 언어를 자랑스럽게 구사하는 이민자 학생들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영어수업 esol 교사

2025.09.24. 14:44

썸네일

불체 단속 여파...가주 ESL<이민자를 위한 영어수업>'흔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불법체류자(서류미비자) 단속과 추방에 나서면서 가주 커뮤니티 칼리지 무료 영어수업(ESL)이 존립 위기에 직면했다. 각 지역 커뮤니티 칼리지 관계자들은 ESL을 듣던 이민자 수강생들이 대면 수업을 피하고, 일부는 수업 자체를 포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20일 비영리 온라인매체 캘매터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체류자 단속과 추방, 유학생비자 취소 등 강경 이민정책으로 ESL 수강생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ESL 수강생의 대면 수업 기피 및 포기 여파로 가주 정부 차원의 이민자 영어교육과 현지 적응지원 정책까지 흔들리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LA 등 각 지역 커뮤니티 칼리지는 이민자를 위한 무료 ESL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비학점 과정으로 신분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영어를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가주 전역 커뮤니티 칼리지에서는 29만 명 이상이 ESL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들어서면서 ESL 수강생은 급감하는 분위기다. 이민세관단속국(ICE)이 학교에서도 단속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이민자들이 크게 위축됐다고 한다.     실제 샌퍼난도밸리 한 커뮤니티 칼리지는 이번 학기 ESL 등록생이 15%나 감소했다고 한다. 샌마르코스 커뮤니티 칼리지는 수강생의 대면 수업 기피로 ESL을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커뮤니티 칼리지 측은 ESL 수강생에게 ICE 등 연방 정부의 이민자 단속에 협조하지 않는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수강생 상당수는 ICE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 대면 수업 기피 및 수강 취소를 했다고 한다.     가주 커뮤니티 칼리지 시스템 총장실은 연방 정부의 불법체류자 단속 및 유학생 비자 취소 위협이 이민자의 현지적응을 방해하고, 경제시스템마저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총장실 측은 캘매터스에 보낸 성명에서 이민자 ESL 교육은 단순한 영어교육이 아닌 지역사회 경제활동 기반 구축을 위한 중요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커뮤니티 칼리지 ESL 등록률 반등이 시작된 시점에서 연방 정부 이민정책이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USC 경제사회연구소(Equity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가주 불법체류자 대학생은 약 10만 명으로 추산됐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영어수업 이민자 이민자 단속 이민자 esl 이민자 수강생들

2025.05.20. 22:3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