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 입양아 예일대 입양아 행사 성황리
2025.04.08. 18:06
아이비리그 명문 예일대가 한국어와 문화 연구 확대에 나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예일대 학보 예일뉴스는 ‘한류에 올라타다 - 예일대 한국어 및 문화 연구 확장(Riding a‘Wave’: Yale’s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studies)’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새로운 강좌를 도입하고 교수진도 확충했다고 전했다. 예일뉴스는 우선 한류로 불리는 세계적인 열풍이 예일대에도 퍼졌다고 보도했다. 한국 음악·영화·문학·한식을 접한 학생들이 한국을 더 깊이 이해하려고 관련 강의를 찾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예일대 동아시아연구소는 지난해 11월 14~15일 ‘K팝 생산과 소비’를 주제로 콘퍼런스를 진행했다. 당시 수많은 참석자가 K팝의 현주소와 세계적 인기 비결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같은 기간 예일대 국제교류처는 대학 최초로 ‘예일-한국 주간행사’를 개최했으며, 수백 명의 참석자가 한국의 문화와 디아스포라 등에 관해 이해를 넓혔다. 동아시아 언어 및 문학부 학과장 애론 게로우 교수는 한국에 관한 연구와 프로그램이 중국학, 일본학과 대등한 위치에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현재 예일대는 한국학 연구 확대를 위해 한국 경희대 어경희 교수를 초빙하고, 역사학 교수, 대중음악 및 종교 교수, 한국학 도서관 사서까지 채용했다. 한국어 강의 수강생도 급증세다. 한국어와 한국 문학을 가르치는 해당 강의 수강생은 2017년 연간 100명 수준이었던 반면,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300명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특히 지난해 한국 작가 최초로 한강이 노벨상을 수상하며 학생들의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고 한다. 한편, 예일뉴스는 한국학 관련 예산 확보가 대학 측의 적극적인 지원과 한국발 기부로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한국 불교 대표 종파인 조계종이 이 대학에 100만 달러를 기부하기도 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한국문화 예일대 예일대 한국어 예일대 동아시아연구소 한국학 연구
2025.01.28. 23:03
예일대 한인학생회(KASY)가 창립 40주년을 맞아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개최해 눈길을 끌었다. 1984년 한국과 한인 사회의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관심을 증진하기 위한 취지로 재학생들이 결성한 이 모임은 매년 한국 문화를 알리는 행사를 개최해왔다. 하지만 올해는 나흘 동안 각종 문화공연과 토론, 한식 즐기기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한국 문화와 전통을 기념했다. 16일자 예일뉴스에 따르면 행사 첫날인 11일 오후 ‘서울 한 밤의 꿈’이라는 주제로 한 40주년 기념행사를 시작으로, 12일에는 학생들이 준비한 다양한 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공연을 개최했다. 이날 공연에는 KASY 이사회를 주제로 만든 콩트부터 태권도 공연과 전통무용 등이 소개됐다. 콩트는 셀린 송의 ‘패스트라이브즈’를 바탕으로 예일대 학생들의 사랑, 저항, 정체성을 탐색하는 내용을 담아 예일대생의 환호를 받기도 했다. 사흘째인 13일에는 대한민국의 역사에 대해 배우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마지막 날인 14일은 한국에서 연인이 없는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한 비공식 기념일 ‘블랙데이’로 꾸며 싱글 학생들이 함께 짜장면을 먹거나 코리안 BBQ 치킨 등 다른 한식 별미를 즐기며 모든 행사를 마무리 지었다. 이번 KASY 40주년 행사에는 한인 학생들뿐만 아니라 한국에 관심 있는 학생들까지 수백 명이 참석해 학교에서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마크 리 KASY 공동대표는 “한국의 디아스포라적인 정체성을 기리기 위해 올해 처음 태극기와 한반도기를 함께 게양했다”며 “무엇보다 세계적인 탈식민화와 해방에 대한 희망을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편 예일뉴스에 따르면 캠퍼스내 한인학생 단체들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KASY 외에도 한국 전통 북 연주팀인 예일 유니티가 올해부터 다시 활동을 시작했으며, 한뿌리(Hanppuri), 한가락(Hangarak), 바람(Baram), 무브먼트 등도 한국 문화를 홍보하고 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한인학생회 예일대 예일대 한인학생회 한식 행사 토론 한식
2024.04.16. 21:51
김의환 주뉴욕총영사는 예일대 경영대학원 초청을 받아 22일 예일대에서 한국 경제성장의 역사와 배경에 대해 강연했다. 강연 이후 김 총영사는 커윈 찰스(Kerwin K. Charles) 예일대 경영대학원 학장과 만찬을 갖고, 예일대와 한국 기업들이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주뉴욕총영사관] 김의환 주뉴욕총영사관 예일대 뉴욕총영사
2023.02.24. 21:18
올해도 콜로라도 한인 커뮤니티에서 아이비리그 명문인 예일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이 배출됐다. 주인공은 똘튼의 스타게이트 차터스쿨에 재학 중인 정노아(Noah Jung, 사진) 군이다. 정군은 톨톤의 한인 북부장로교회의 정유성(51) 담임목사와 정혜승(48) 사모의 장남으로, 이번에 기숙사 비까지 모두 제공되는 4년 전액장학금 혜택을 받으며 예일대에 진학하게 됐다.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정군은 6학년까지 어바인에서 학교를 다니다가 목회활동을 하는 아버지를 따라 콜로라도로 이주해왔다. 정군이 현재 재학 중인 스타게이트 차터스쿨은 원래 중학교까지 밖에 없었으나 7년 전에 고등학교가 새로 생겼다. 그렇다 보니 졸업생도 아직까지 3회가 고작이라 선생님들도 대학입시에 관해 정보가 많이 없어 정군의 어머니가 오히려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친하게 지냈던 다른 학부모들로부터 열심히 정보를 찾아서 정군의 입시를 돕기 위해 동분서주했다.정군은 인문학 쪽으로 공부를 해서 법대를 졸업해 변호사가 되는 것을 1차적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입시준비를 하면서도 인문학쪽, 특히 북한의 인권운동, 탈북자 인권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부각시켰다. 매년 여름마다 KCC 북한인권 인턴쉽 프로그램을 통해 1 주일 정도 워싱턴 DC 의 의사당을 방문해 상하원의원들과 만나고, 의사당 앞 잔디밭에서 스피치를 하며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리서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북한의 인권문제의 현주소를 알리는 리서치 연구자료를 작성했으며, 고등학생들의 유엔 모의회담에서 부회장으로 활동하면서 모의정상회담을 통해 다양한 국제문제에 대한 토론을 이끌기도 했다. 정군은 국제관계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 포커스를 맞추어 활동을 했고, 모의 UN 부회장, 내셔널 아너 소사이어티 회장, 트라이엠 아너스 뮤직 소사이어티 회장, 지미니 위켓츠 공동회장 등 다양한 단체에서도 탁월한 리더쉽을 발휘했다. 정군의 이번 예일대 합격은 퀘스트브리지 내셔널 칼리지 매치(QuestBridge National College Match)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우수한 성적의 고등학교 시니어들 가운데 저소득층 가정 출신들이 명문대학교에 4년 전액장학금으로 진학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으로, 4인가구 소득 65,000달러 미만의 학생들이 신청할 수 있다. 정군의 아버지인 정유성 목사는 “퀘스트브리지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 12개 학교까지 지원을 할 수 있는데, 노아는 3개의 학교에 지원했다. 지원학교마다 에세이를 써서 제출해야 하고, 지원과정도 상당히 까다롭지만, 명문대 입학에 전액장학금 지원이라는 조건 때문에 전국에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앞다투어 지원해 매우 경쟁이 치열하다. 올해만 해도 16,000명 가량이 지원해 최종 후보가 6,000명 정도로 추려졌고, 명문대 입학이 확정된 학생은 최종적으로 1,674명이었다. 이중 예일대에는 총 80명이 합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정군은 AP 과목 13개, 포스트 AP는 3과목을 이수했으며, GPA는 4.65, SAT 점수는 1570점, ACT 점수는 36점을 받았다. 정군은 대학지원서와 함께 제출한 에세이에 “내가 가장 가까이 두고 아끼는 악기가 두개가 있는데 바로 첼로와 기타이다. 두 악기 모두 금이 가고 갈라졌지만 테이프와 본드를 붙여가며 오랫동안 연주했고, 그 악기로 대회에 나가고 교회에서 찬양을 인도하는 등 나의 좋은 동반자로서 내 옆에 있어왔다. 쪼개지고 온전치 못한 상태의 악기를 가지고도 최선의 소리와 음악을 만들 수 있듯이, 나도 아직은 부족하지만 그 안에 숨어있는 잠재성을 최고치로 끌어내는 인생을 살고 싶다. 그와 동시에 앞으로의 삶도 약하고 갈라지고 상처입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삶이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이 에세이를 읽은 예일대 입학 사정관께서 손편지로 내 가족을 향한 마음과 인생의 꿈이 담긴 글을 감동적으로 잘 읽었다고 답변을 주셨다”고 말했다. 정군의 어머니인 정혜승씨는 “아이가 어릴 때부터 주어진 삶 안에서 해야할 것과 하지말아야할 것의 우선순위를 스스로 정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셀프 컨트롤에 양육의 중점을 두고 키웠다. 예일대를 염두에 두고 지원서를 작성하면서 내셔널급의 상훈이나 잘하는 스포츠가 없어 고민을 했지만, 국제관계에 집중하는 노아의 관심사를 잘 다듬어 에세이와 지원서를 작성했고, 입학사정관께서 그 점을 높이 산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군은 “앞으로 최대한 도움이 되는 삶을 살고 싶다. 내가 받은 것을 되돌려주고 나누어 귀감이 되는 사람이 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하린 기자전액장학금 예일대 전액장학금 혜택 퀘스트브리지 프로그램 이번 예일대
2022.02.22.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