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러턴 힐크레스트 공원의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 미군용사 기념비(이하 참전비)가 ‘한미동맹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21년 미국의 베테런스 데이이며, 한국의 6·25 유엔 참전용사 국제 추모의 날인 11월 11일 준공식 및 제막식이 열린 지 1년 반 만의 성과다. LA총영사관은 올해 6·25 기념 행사를 이례적으로 참전비 앞에서 진행했다. 오전에 열린 이 행사엔 UN참전국 외교단, 연방하원의원, 가주의회 의원, 시장 및 시의원 등 정치인과 한국과 미국의 참전용사 등 각계 인사 300여 명이 참석했다.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미 남서부지회(회장 박굉정), OC한인회(회장 조봉남) 등 OC의 한인단체도 기념 행사에 참여했다. OC해병전우회(회장 정재동) 기수단은 미 육군 제300군악대의 연주 속에 입장,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총영사관 측은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태극무공훈장을 받은 ‘영원한 탑건’ 로이스 윌리엄스 예비역 대령이 기념사를 했고, 이날 기념식이 개최된 풀러턴과 자매결연을 맺은 경기도 성남시 신상진 시장도 참석해 한미동맹의 가치를 지방정부 간 교류 확대로 계승, 발전시켰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오후엔 같은 장소에서 민주평통 오렌지샌디에이고협의회(회장 김동수)와 OC해병전우회가 함께 마련한 6·25 문화행사가 이어졌다. OC해병전우회는 지난해 참전비 앞에서 참전용사를 추모하고 감사를 표하는 행사를 열었지만, 올해는 다른 기관, 단체 행사의 조연을 자처해 더 많은 이가 참전비를 방문하도록 기여했다. 주최 측은 약 300명이 참석하는 성황을 이뤘다며 만족해했다. 이날 하루 약 600명이 참전비를 방문한 셈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참전비를 주목하는 시선이 느는 데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한국전에서 희생한 미군 3만6591명 전원의 이름을 비석에 새겨 기린다는 점이다. 이런 형태의 기념물은 전국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둘째, 남가주를 방문하는 한국 정부 인사, 정치인 등의 발길이 잦아졌다. 지난 1년 반 사이,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 공무원, 여야 정치인 등이 참전비를 방문해 헌화하고 참배했다. 이 과정에서 참전비의 존재가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졌다. 참전비 방문은 점차 자매도시 학생을 포함한 민간 방문객 사이에서도 확산하고 있다. 셋째, 한인은 물론 미군 참전용사의 가족, 후손, 지인과 공원을 방문하는 타인종 주민에게도 매우 뜻깊은 기념물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이다. 참전비는 풀러턴 시의 적극적인 지원 덕분에 공원에 설립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공원을 찾는 타인종도 자연스럽게 한미동맹의 역사를 알게 되고, 한인, 한국에 대한 호감을 갖게 된다. 넷째, 정부 기관 또는 독지가 몇 명의 지원이 아니라, 이름을 밝히지 않은 이를 포함해 500명이 넘는 기부자에 의해 오랜 세월에 걸쳐 완성됐다는 매력적인 스토리다. 모금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됐다.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11년 동안 OC와 전국 각지, 멀리 한국의 기부자와 한국 정부까지 힘을 모은 덕분에 오늘날의 참전비가 건립될 수 있었다는 설명을 들은 이들은 깊은 인상을 받곤 한다. 참전비가 OC의 명소이자 한미동맹의 상징으로 부각되는 것은 분명 고무적인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더 많은 이가 한국전쟁을 잊지 않고,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다. 참전용사기념비위원회(회장 노명수)는 올해 처음으로 참전용사 후손 대상 장학금 전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70여 년 전, 잘 알지도 못하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미군 덕분에 오늘날 미국에 뿌리내리고 사는 한인들이 미군 후손들을 돕는 것은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전개다. 한미동맹의 상징이 된 참전비를 매개로 또 어떤 스토리가 탄생할지 기대된다. 임상환 / OC취재담당·국장중앙칼럼 한미동맹 참전비 지난해 참전비 이하 참전비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2023.06.27. 20:21
제73주년 6·25 한국전쟁 기념식이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 기념비에서 열린다. LA총영사관(총영사 김영완)은 오는 25일(일) 오전 10시 OC한국전 참전 기념비(1360 N. Brea Blvd., Fullerton)에서 UN 참전국 외교단, 정치인, 참전용사, 향군단체, 한인 동포를 초청한 한국전쟁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LA총영사관은 총영사관저에서 한국전쟁 기념식을 열어왔지만, 올해는 행사장을 OC한국전 참전 기념비로 옮겼다. 총영사관 측은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참전용사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비에서 기념식을 개최하게 돼 의미가 배가 될 것"이라며 "특히 열린 공간에서 열리는 기념식에 지역주민과 동포 등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기념식에서는 미육군 40사단 군악대가 행사를 지원한다. 총영사관 측은 참전용사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도 전수한다. 이번 행사는 재향군인회 미서부지회(회장 위재국), 미남서부지회(회장 박광정), OC한인회(회장 조봉남)가 공동 주최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게시판 참전기념비 한국전 한국전쟁 기념식 한국전 참전기념비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2023.06.13. 15:11
LA총영사관과 풀러턴 시, 한인단체 관계자들이 한국전 정전협정 조인 69주년이었던 지난 27일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 미군용사 기념비(이하 참전용사비) 앞에서 한국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가졌다. 김영완 총영사, 프레드 정 시장, 헤수스 실바 시의원, 섀런 쿼크-실바 가주 하원의원과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미 남서부지회(회장 이승해), OC해병대전우회(회장 정재동) 관계자들은 이날 풀러턴 힐크레스트 공원의 참전용사비 앞에 모여 헌화하고 전사한 장병을 위해 묵념을 했다. 김 총영사는 추모식 이후 가든그로브로 이동, 중식당 ‘북경’에서 OC한인회 권석대 회장을 비롯한 한인단체장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정전협정 한국전 한국전 정전협정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2022.07.28. 11:37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참전 미군 용사 기념비(이하 기념비)가 풀러턴 힐크레스트 공원에 설치됐다. 기념비 건립위원회(이하 건립위, 회장 노명수)는 지난 2일 오각별 기둥 모양으로 제작된 기념비 5개를 콘크리트 받침대에 얹는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기념비 5개엔 미군 전사자 3만6591명 전원의 이름이 새겨진 명판이 부착됐다. 건립위는 태극기, 성조기, 가주기를 게양할 깃대 3개와 브레아 불러바드를 향한 콘크리트 기념비 표지판도 설치했다. 표지판 앞쪽엔 ‘코리안 워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이란 영문과 함께 미 육군, 해병대, 해군, 공군, 해안경비대 문장이 새겨졌다. 뒤쪽엔 풀러턴 시의원과 건립위 위원, 기부자 등의 이름이 들어갔다. 건립위는 오는 11일 오후 1시에 열릴 준공식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노명수 건립위 회장은 “기념비로 향하는 길에 콘크리트를 깔고 나무와 잔디를 심는 작업만 남았다”고 밝혔다. 한편, 문항업 전 FMH사 대표는 최근 기념비 건립 기금 2만 달러를 건립위에 기부했다. 문 전 대표는 “낯선 한국에 와 목숨을 바친 미군 장병을 머리 숙여 추모한다”고 말했다. 항공우주부품 사업을 하다가 은퇴한 문 전 대표는 스탠턴의 한미가정상담소를 위해 봉사하고 있다. 참전용사비 건립위원회 기념비 건립위원회 한국전 참전용사비 오렌지카운티 한국전
2021.11.03. 1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