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상징인 의회에서 대통령 연설중 "거짓말이야"라는 고함이 터져 나오고 대통령이 연설 중인 행사장 주변에선 시위대가 보란 듯 총을 소지한 채 항의시위를 벌인다.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이라지만 이쯤 되면 너무 지나친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의료보험 개혁을 추진 중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극렬한 반발이 뿌리깊은 인종 문제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AP 통신이 15일 보도했다. 즉 노예의 후손인 흑인이 미국을 이끌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일부 백인의 불만에서 비롯된 인종 문제가 안티-오바마 정서의 근본 원인이라는 것. 워싱턴 포스트(WP)의 칼럼니스트 콜버트 킹은 "미국의 첫 흑인 대통령인 오바마를 향한 증오와 추악함이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NYT)의 칼럼니스트 모린 다우드는 오바마 대통령이 "정신이상 극단주의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정통성에 도전받고 있는 흑인"이라며 인권 문제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궁극적 인물이라고 분석했다. 민주당의 찰스 랭글 의원도 의료보험 개혁의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열렸던 타운홀 미팅에서 표출된 백인들의 분노의 원인으로 인종주의를 꼽았다. 랭글 의원은 이달 초 "몇몇 미국인들은 오바마가 대통령이라는 사실을 아직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본토가 아닌 하와이에서 출생한 케냐 혈통의 오바마가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대통령이 될 자격이 전혀 없다"는 음모론도 여전히 횡행하고 있다. 민주당은 현재 흑인 의원들 주도로 오바마 대통령에게 "거짓말이야"라고 고함친 공화당의 조 윌슨 하원의원에 대한 비난결의안을 추진 중이다. 대표적 흑인 정치인 클라이번 의원은 "그들이 백인 대통령에게도 그렇게 할지는 모르겠지만 이제껏 이런 경우를 결코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2009.09.15. 19:28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종식시킬 능력이 없다고 비난하는 내용의 국제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육성이 담긴 비디오가 14일 공개됐다. 미국에 본부를 둔 정보기관 인텔센터는 11분 분량의 비디오에 빈 라덴의 스틸사진을 배경으로 녹음된 그의 육성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밝혔다. 이 비디오는 알-카에다의 미디어기구 아스-사하브를 통해 공개됐다. 비디오의 내용을 분석한 테러 감시단체 SITE의 번역에 따르면 빈 라덴은 이 메시지 발표의 목적이 "미국인들에게 9ㆍ11테러의 원인을 상기시켜주기 위한 것"이며 "그 원인은 팔레스타인 영토를 차지한 이스라엘과 그 우방국을 지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오바마가 취임 당시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 같은 부시 전 행정부 시절의 고위급 군 관계자 및 지휘관을 상당수 재기용한 사실을 지적하며 이성적인 사람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전쟁을 끝내지 못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빈라덴은 오바마가 약속했던 대로 아프간전을 끝내지 않는다면 가능한 모든 무력수단을 동원해 장기간의 소모전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2009.09.14. 20:17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의료보험 개혁에 이어 금융개혁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14일 뉴욕 월가의 중심인 페더럴홀을 방문한 자리에서 리먼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대형 금융기관 감독과 규제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의회에 조속한 관련입법 처리를 촉구했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은 "새로운 법과 규칙을 통한 금융개혁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금융가가 경제회복 추세에 만족하지 않고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1년 전 발생한 일은 단순한 규제나 입법 감독의 실패가 아니라 워싱턴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무시되는 결과를 초래한 '책임의 실패'였다고 단정짓고 "기꺼이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를 되살리는 게 우리가 해야 할 일 가운데 가장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불행히도 리먼브라더스 사태에서 교훈을 배우려고 하지 않고 이를 애써 모른 체하려는 금융기관들이 일부 있다"면서 "이는 자신들뿐 아니라 국가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부문과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상식에 입각한 규제의 부재가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필요하게 만든 것이라면서 "이런 규제는 창의와 기업정신을 막지 않아야 하지만 위기를 초래한 옛 방식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 역사는 반복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월가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월가 구제는 한시적이며 앞으로 긴급한 구제조치들을 점차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1년 전 규제의 부재가 금융 시스템에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부와 고용의 감소가 경제나 국민에게 좋았다고 생각하느냐"며 "은행이 크다고 해서 파산하지 않는 일은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 6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거시감독권 부여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소비자금융감독청 신설 ▷저축은행 제도 폐지 등을 골자로 한 금융개혁 청사진을 발표하고 의회에 입법 처리를 요청했다.
2009.09.14. 19:23
“책임감의 결여가 위기를 불렀다. 과거의 무모하고 방만한 투자로 돌아가서는 안된다.” 버락 오바마(사진) 대통령이 14일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리먼브러더스 붕괴 1주년을 맞아 맨해튼 월스트릿 페더럴홀에서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과 함께 연내 금융개혁 완수 의지를 천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불행히도 일부 금융기관들이 리먼 사태에서 교훈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며 “이는 자신들뿐 아니라 국가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연설에서 새로운 금융정책이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금융개혁안의 조기 통과를 촉구했다. 이중구 기자 [email protected]
2009.09.14.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