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영혼의 오지' 무의식 탐구 높이 평가

칼 융은 프로이트의 심리학이 마음의 더 깊은 영역, 영혼의 오지인 '무의식 영역'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그러나 1900년, 꿈에 대한 최초의 심리학적 설명을 의사협회에서 제시했을 때, 조롱거리가 되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호혜(Alfred Hoche) 교수는 정신분석 운동을 의사들의 정신적 일탈행위로 묘사했다. 혹독한 비판이었다. 정신분석의 중요 치료 분야는 신경증이다. 그중에서도 히스테리다. 히스테리 증후군은 해부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례로 가득하다. 히스테리 증세의 기원을 정신적 외상(그 효과가 무의식 속에서 계속 보존되는)에서 찾는 '트라우마 이론'으로까지 발전되었다. 이것을 발견한 사람은 프로이트였다.     프로이트는 히스테리 증상들이 난데없이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과거의 심리적 경험에 의한 것이라 했다. 융은 의식영역이 표면적 욕구에 장악당하는 동안, 진정한 성애적 관계는 어둠 속에 남아있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그는 신경증 환자에게 병의 원인이 적어도 하나는 무의식적이라고 했다. 그러나 환자는 병의 원인이 되는 무의식적 갈등이 존재할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갈등이 성애적 갈등이란 사실에는 분명히 저항할 것으로 생각했다. 그 이유는 어린 시절부터 성 문제를 터부시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융은 프로이트가 주장한 리비도(Libido, 성적본능, 성충동)가 성욕이라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성욕이 내재하여 무의식 속에 잔류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즉, 현대의 도덕이 성애적 갈등을 이겨낼 정도로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이고, 이것이 신경증을 유발한다고 프로이트와 같은 주장을 한다. 그는 신경증은 내적 자아의 분열을 특징으로 하고 기존 도덕적 이상을 고수하는 의식 분야에서 무의식이 비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다가 거부당할 때 발발한다고 프로이트와 같은 주장을 한다.     무의식의 방법을 치료에 활용한 것은 최면이 최초이고, 단어연상법, 자유 연상에 의한 꿈의 해석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융은 꿈이란 무의식적 자아가 의식에게 감추려는 비밀들을 드러내 주며, 그 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한다고 한다. 가령, 우리가 기억하는 꿈의 내용들은 알맹이를 감싼 껍질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꿈꾼 사람에게 꿈의 세부 사항을 말하도록 하면 그의 자유 연상 내용이 특정 방향으로 나아가 어떤 특정 주제 주위를 맴돌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고 한다. 그 주제들과 꿈의 표면적 내용 사이에는 긴밀하고 미묘한 상징적 연관성이 존재한다고 한다. 즉, 고통스럽고 받아들일 수 없는 정신의 내용물이 그런 식으로 은폐되거나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프로이트나 자크 라캉은 은유나 압축, 치환, 환유라고 했다.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은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라 했다. 그것은 개인적 비밀의 심층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심리치료자와 내방자에게 더없이 귀중한 도구라고 한다.     융은 성적 갈등에 대해서 프로이트와 상당 부분이 같다. 많은 수의 환자는 자신에게 성적인 갈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자랑까지 한다고 한다. 또한 자기는 성에 아무 관심도 없다고 주장한다. 이런 사람들은 히스테리성 변덕, 주변 사람과 자신을 고통스럽게 하는 속임수, 신경성 위장 염증, 신체 통증, 이유 없는 짜증 등이 자신의 행로를 방해하고 있으며, 이 모든 문제는 그들 내면에 성적 갈등이 있다는 증상이라는 것이다.     융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속의 성적 억압이 신경증을 유발한다는 것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한다. 가령, 프로이트의 논리라면 비도덕적인 방탕한 사람들은 무의식적 성적 억압이 없으니, 신경증에 걸려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일상의 경험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 사람 역시 다른 사람들만큼이나 신경증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다른 이유로도 신경증을 유발할 요인은 많은데도 프로이트는 너무 성욕 관점에 치우친다는 비판이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무의식 영혼 오지인 무의식 무의식적 갈등 무의식적 자아

2025.11.17. 18:21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