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창립 20주년 오픈뱅크 주총] 15년 동반 협업 '선한 리더십'이 성장 원동력

15년간 함께 오픈뱅크를 이끈 최화섭 이사장과 민 김 행장이 각자 새로운 역할을 맡아 은행이 또 다른 전환점을 맞이했다.   2010년, 자산 1억2500만 달러에 불과하고 감독당국 제재까지 받고 있던 FS제일은행. 이 은행은 이름을 오픈뱅크로 바꾸고 15년 만에 자산 20억 달러를 넘긴 나스닥 상장까지 일궈냈다. 한인은행권에서 종종 ‘기적’이라고 불리는 성장의 한가운데에는 두 리더가 있었다. 최 이사장과 김 행장이다.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은 오픈뱅크의 역사에서 최 이사장과 김 행장은 15년을 함께했다. 두 사람의 관계는 단순한 협업을 넘어, 커뮤니티와 함께 성장해온 은행의 철학을 함께 일궈낸 동반자였다. 최 이사장은 순익의 10%를 기부하는 등 ‘선한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한 성장 방향을 제시했고, 김 행장은 특유의 실행력으로 이를 실현해냈다.     2010년 초심으로 돌아가 은행을 새로 창립하겠다는 각오로 시작된 이들의 ‘아름다운 동행’은 이제 두 사람이 내달 1일부터 각각 오픈청지기재단 이사장과 오픈뱅크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새로운 챕터를 맞이한다. 최고크레딧책임자(CCO)였던 오상교 전무는 행장직에 오른다. 외형적 변화는 있지만, 이사회와 경영진의 ‘연속성’이 중심에 놓여 있다.     세 사람은 모두, 앞으로도 조직의 핵심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최대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흔히 경영진 교체는 어려움을 불러오기도 하지만, 오픈뱅크의 이번 변화는 뿌리 깊은 문화와 철학을 이어가는 ‘연속된 리더십’의 한 사례로 해석된다.   최 이사장과 김 행장은 지난 26일 열린 2025 정기주주총회(주총)에서 소회를 밝혔다. 이날 회의는 최 이사장과 민 김 행장이 함께 주최한 마지막 주총으로, 두 사람은 진행을 하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최 이사장은 “퇴임에 아쉬움은 없다”며 “은행이 향후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고, 커뮤니티와 동행하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철학이 뿌리내렸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사회에서 언성을 높인 적 없이 화합을 중시해왔다”며 앞으로도 이런 전통이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민 김 행장은 “최 이사장과의 파트너십이 지난 15년간 은행이 순조롭게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며, “이사장직을 맡게 되면 최 이사장이 해왔듯 따뜻하게 지켜봐주고 지원하는 방식 그대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조언도 받겠다”며, 향후에도 기업문화를 유지하기 위해 조직을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오픈뱅크 주총은 지난 26일 LA 본사에서 열렸다. 회의에서는 최 이사장과 정수헌 이사의 퇴임, 윤기원 전무와 오상교 전무의 이사회 신규 합류 안건이 승인됐으며, 경영진 보상안과 외부 회계법인 선임 등 주요 안건도 통과됐다. 조원희 기자창립 20주년 오픈뱅크 주총 리더십 원동력 성장 원동력 오픈뱅크 이사장 오픈청지기재단 이사장

2025.06.26. 23:29

썸네일

한인은행 이사들 보수 ‘10만~15만 달러’

지난해 한인은행 이사들에게 지급된 급여는 총 5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오픈뱅크, CBB뱅크, US메트로뱅크 등 남가주에 본점을 둔 한인은행 6곳의 이사들이 받은 급여를 집계한 결과, 51명의 이사가 2022년 받은 총 급여는 498만5773달러에 달했다. 〈표 참조〉     2022년 한인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급여를 받은 이사는 뱅크오브호프의 데이비드 멀론 이사로 20만 달러가 넘는 24만9851달러의 급여를 받았다. 51명의 이사 중 20만 달러가 넘는 급여를 받은 이는 멀론 이사가 유일했다. 그가 보유한 뱅크오브호프의 주식은 11만6539주였다.   이사 수가 12명으로 가장 많은 뱅크오브호프의 이사들은 급여도 12~13만 달러로 높은 편에 속했다. 이중 스캇 황 이사는 20만 달러에 근접한 19만4994달러로 전체에서 두 번째로 많은 급여를 받았다.     한미은행 이사 모두 급여가 10만 달러가 넘었다. 한미은행에서 작년 보수가 가장 많은 이사는 존 안 이사장으로 12만5501달러가 지급됐다. 데이비드 로젠블럼 이사는 11만9001달러, 마이클 양 이사는 11만5251달러, 크리스티 추 이사는 11만4001달러를 각각 급여로 받았다. 토마스 윌리엄스 이사와 해리 정 이사도 지난해 지급된 급여가 각각 11만2501달러와 11만1달러였다.     PCB뱅크에서 가장 많은 급여를 받은 이사는 조혜영 이사로 14만8000달러였지만 컨설팅 수수료를 제하면 8만 달러 선이었다. 이상영 이사장의 급여는 10만 달러였다. 오픈뱅크의 브라이언 최 이사장은 지난해 12만6004달러를 급여로 받았다. 올해 이사회에서 은퇴한 오픈뱅크의 김옥희, 박명자 전 이사를 포함한 오픈뱅크의 5명의 이사의 급여는 9만 달러 수준이다.   CBB뱅크의 경우엔 박순한 이사장의 작년 급여는 9만7921달러였다. 정원숙 이사는 7만1500달러가 지급됐다.   US메트로뱅크의 경우 민 유 이사는 지난해 11만8821달러, 오스틴 박 이사장은 11만2076달러를 받았다. 파에즈 에나베 이사는 8만8076달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올해 주주총회 모집 서류(프록시)를 토대로 집계한 수치이며, 당연직인 각 은행 행장들의 급여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사 급여에는 이사비(retainer fee)와 스톡옵션, 출장비, 건강보험료 등이 포함됐다. 지난해 이사회를 떠났거나 올해 합류한 이사 역시 제외됐다. 다만 CBB뱅크의 앨빈 강 전 이사는 2022년 12월 31일에 사임해서 집계한 보수에 포함됐다.     이런 이사들의 급여를 두고 옹호하는 입장과 비판적인 시각으로 갈린다. 일각에서는 폴타임으로 일하지 않는 한인은행 이사들의 급여가 10만 달러를 넘는 것에 대해서 급여가 너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반면 한인 은행권에서는 “이사들의 전문 지식과 폭넓은 네트워크가 은행 운영 전반에 큰 도움이 된다”며 “규모가 비슷한 중국계 은행들과 비교하면 많은 편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우훈식 기자한인은행 이사 오픈뱅크 이사장 한인은행 이사들 이상영 이사장

2023.09.27. 20:2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