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한인회(회장 로버트 안)가 산불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와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지원금 신청을 돕는다.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LA카운티 정부는 자영업자에게 최대 2만5000달러, 근로자에게는 최대 2000달러를 지원한다. 신청서 작성 및 지원금 관련 정보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 ▶LA 한인회 신청서 작성 지원 일정: 2월 13일(목), 14일(금), 오후 1~5시 사이 장소: LA 한인회관 주차: Koreatown Plaza 주차 후 주차 티켓 지참 시 무료 주차 제공 문의: LA 한인회 사무국 ([email protected]ㆍ323-732-0700ㆍ213-999-4932) ▶스몰비즈니스 구호 기금(Small Business Relief Fund) 이 지원금은 산불로 피해를 본 스몰비즈니스와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한다. ◇지원금액: -완전 전소 지역: 2만5000달러 -부분 전소 지역: 2만 달러 -매출 손실: 1만5000달러 -자영업자 및 비영리단체: 매출 감소 + 장비 손실 5000달러/ 매출 감소 2000 달러 ◇지원 자격 -산불 피해 지역, 대피 명령 지역, 대피 준비 지역 내 위치한 사업체 -연 매출 600만 달러 이하, 직원 100명 이하 -LA 카운티 내에서 사업을 지속해야 함 -구비 서류: 최근 세금 보고서 / IRS 941서 (분기별 고용주 세금 신고서) / 신청자 신분증 및 소셜 번호 ▶노동자 구호 기금 (Worker Relief Fund) 이 프로그램은 산불 피해 지역에서 근무하던 개인 및 자영업자를 지원하며, 선정될 경우 최대 2000달러를 받을 수 있다. ◇지원 자격: -산불 피해 지역 내 사업장에서 근무했던 직원 또는 자영업자 -LA 카운티 거주 18세 이상 -산불로 인한 소득 감소 (직장 폐쇄, 근무 시간 단축 등) -신분 제한 없음 ◇구비 서류: -정부 발행 신분증 -LA 카운티 거주 증명 (유틸리티 빌, 리스 계약서 등) -근무 증명서류 (급여 명세서, 인보이스 등) -회사 운영 중단 증명 (FEMA 편지, 대피 명령서 등)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온라인용 자영업자 지원 la카운티 지원금 신청 자영업자 최대
2025.02.10. 15:09
애틀랜타 중앙일보가 2025년 신년 기획으로 12월4일부터 25일까지 3주간 '미주한인 정체성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미 동남부 전역에 K팝, K푸드 등 다양한 ‘K’ 문화의 확산이 거듭되는 가운데, 차세대 한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자랑스러운 K'부터 주요 한인 단체에 대한 평가까지 미주 한인커뮤니티와 미국 내 한국문화에 대한 솔직한 의견을 구합니다. 한인 독자와 자녀분들의 적극적인 설문 참여와 독려를 요청드리며, 이번 기획을 통해 이민 1세대와 차세대간의 이해를 더욱 넓히고 향후 한인사회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설문조사 참여=https://forms.gle/BaLEjiGFaqnZZYKcA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설문조사 온라인용 설문조사 안내 설문조사 참여 애틀랜타 중앙일보
2024.12.04. 14:53
LA경찰국(LAPD) 차기 국장 후보로 거론되는 릴리안 카란자(사진) 커멘더가 기밀 자료 열람을 위해 허위 신원을 사용한 혐의로 피소됐다. 7일 마이뉴스LA닷컴에 따르면 LA경찰노조(LAPPL)가 LAPD 센트럴 지부를 이끄는 카란자 커멘더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LAPPL은 회원들만 열람이 가능한 이메일과 커뮤니케이션, 설문조사에 카란자 커멘더가 본인을 루테넌트로 신원을 속이고 접근했다고 주장했다. 소장에서 노조는 “지난 2016~2024년까지 카란자 커멘더는 기밀 이메일 141개 중 49개를 열었다”며 “카란자 커멘더는 본인이 해당 이메일들을 받거나 볼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카란자 커맨더는 33년 경력의 베테랑으로 문화원 등이 주최한 한국역사ㆍ문화 워크숍에도 참석하는 등 한인들에게도 친숙한 인물이다. 윌셔와 77가, 밴나이스 경찰서 등에서 근무했고 지난해 7월 LAPD 센트럴 지부 오퍼레이션 부서를 책임지는 어시스턴트 커맨딩 오피서로 부임했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온라인용 차기국장 차기국장 후보자 lapd차기국장 후보 피소 la경찰국 LA 한인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2024.08.09. 16:53
당시 초기 이민자들은 묘비로라도 뿌리를 기록했다. 그 어렵던 시절에도 기록하지 않으면 역사의 부평초가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비명(碑銘)을 찾아다닌 이유다. 당시 지역 신문도 첫 한인 이민단을 태운 갤릭호가 호놀룰루에 도착한 날의 기록을 남겼다. 1903년 1월 13일 자 ‘더 하와이안 스타(The Hawaiian Star)’ 1면 기사다. 큰 제목(Koreans Arriving) 밑에 이런 부제가 달렸다. ‘One hundred and Two Subjects of the Hermit Kingdom Reach Here to Try Their Luck at Plantation Labor(은둔의 왕국에서 온 102명이 농장 노동에 도전하기 위해 이곳에 왔다)’. 120년 전만 해도 그들은 은둔의 나라에서 온 이방인으로 여겨졌다. 하와이 민주평통 하와이협의회 박봉룡 회장은 “한인들이 초기 이민사에 무관심해서 안타깝다”고 운을 뗐다. 박 회장은 “내가 1970년대에 100불 들고 이민을 왔을 때도 한국이란 나라가 어디 있는지 모르는 이가 많았는데 지금은 위상이 많이 높아졌다”며 “흑인, 아메리칸 인디언 등의 역사만 중요한 게 아니라 우리의 이야기도 엄연히 미국 역사의 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오늘날 미주 한인 인구는 200만 명을 넘어섰다. 존재감은 과거와 달라졌다. 단, 뿌리를 알아야 ‘우리’를 말할 수 있다.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한의준 목사는 “70~80년대 김포공항에서 이민 가던 광경을 떠올려 보라”고 했다. 한 목사는 “그때만 해도 공항에서 울고불고했는데 하물며 아무것도 없던 1900년대 초반 그 시절 이민자의 심경이 어떠했겠는가”라며 “그들이 이역만리 땅에서 개척자 정신으로 살며 한인 이민사의 초석을 다졌기 때문에 오늘의 한인 사회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를 기억하고 보존하는 일은 단순히 추모를 넘어 한인사회의 위상을 미국 사회에 각인시키는 일이다. 역사를 계승한다는 건 그래서 중요하다. 해외 최초의 한인 교회인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는 이를 위해 역사 편찬 사역부(담당 신찬재 권사)까지 두고 있다. 초기 이민사를 정리한 책(알로하 하와이 120년을 걷다)은 인쇄 과정에 있다. 하와이 곳곳의 초기 이민자의 자취를 코스로 개발해 내년부터는 역사 투어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이진영 감독은 지난 2005년부터 하와이에서 살고 있다. 한인 이민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무지개 나라의 유산’과 ‘하와이 연가’ 등을 제작했다. 이 감독은 “초기 이민자의 후손 중에는 문대양 하와이주 대법원장, 해리 김 전 하와이 시장 등 각 분야에서 저마다의 모습으로 미국 사회에 공헌한 한인이 너무나 많다”며 “뿌리를 안다는 건 이민자로서 자부심과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때로는 어디에도 속하기 어려운 경계인(境界人)과 같은 삶을 사는 게 이민자다. 한인 2~3세들이 언어를 잊어도 정체성 때문에 고민하는 이유다. 초기 이민자가 살았던 상황에서는 어려움이 더 많았을 터다. 그런 시대적 배경 가운데 한인 초기 이민자들은 모국까지 가슴에 품고 살았다. 이역만리 땅에서 월 20달러도 안 되는 봉급을 쪼개고 또 쪼개서 한국의 독립운동 자금까지 모았다. 호놀룰루총영사관 이서영 총영사는 “하와이 초기 이민자들은 해방이 될 때까지 독립자금의 2/3 정도를 조달했는데 그들이 아니었다면 독립운동의 역사도 시작되지 못했을 것”이라며 “하와이의 한인 이민사는 곧 한국의 독립운동 역사, 건국 역사, 전 세계 재외 동포의 이민 역사로까지 연결될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역사의 흔적은 의식하지 못해도 늘 주변에 있다. 일례로 초기 이민자들의 유산 중 하나가 교회다. 이민 교회는 그동안 종교 기관 이상의 역할을 했다. 힐로연합감리교회 이말용 은퇴 목사는 “심지어 힐로 지역에는 미국 교회 통틀어서 감리교회 자체가 없었는데 한인들이 와서 감리교회를 처음 세운 것”이라며 “우리가 미국 기독교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이민 교회가 미국에 미친 영향도 크다”고 말했다. 잊히지 않으려면 더 선명하게 기록하고 기억해야 한다. 남은 자들의 몫이다. 뿌리가 있다는 건 곧 자부심이다. 관련기사 세월 견딘 비석엔 절절한 한글 "아부지" 묻힐 땅도 없던 그들, 묘비는 삶의 기록이었다 오아후=장열 기자ㆍ사진=김상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온라인용 한인 이민사 이민사 기록 초기 이민사
2023.12.28.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