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워싱턴 지역 올겨울 따뜻

      올겨울 워싱턴 지역 날씨는 예년에 비해 더 따뜻하고 적설량도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방기상청(NWS)와 워싱턴 지역 기상 전문가들은 올겨울 라니냐 현상이 약화돼 평균 적설량은 5-10인치 정도로 예년 평균에 비해 30% 이상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워싱턴 동부 해안 지역의 경우 2-5인치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서부 산간 지역으로 갈수록 적설량이 많아져 15-20인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국이 예측치에 의하면 워싱턴 지역의 올겨울 평균 기온은 40도이다.   이는 예년 평균치 37.3도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라니냐 기후패턴은 일반적으로 3-5년 주기로 태평양 수온이 낮아지면서 발생한다.   연방대양해기청(NOAA)에 따르면 라니냐가 발생하는 해에는 태평양 제트기류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위도 지역은 더 춥고 습한 겨울을, 남쪽은 상대적으로 더 따뜻하고 건조한 겨울날씨가 이어지게 된다.    태평양 제트기류는 대체로 북위 30도 근처에 형성돼 있는 온난전선대를 뚫고 켄터키와 테네시주를 가로지르는 오하이오 밸리를 따라 북상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최근 워싱턴 지역에서 11월에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는 이유도 라니냐 제트 기류에 의한 이상고온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 등의 자료에 의하면 작년 워싱턴 지역 겨울 평균 기온은 1970년에 비해 3.6도나 상승했다. 하지만 전문가 예상치가 항상 맞는 것은 아니었다.   작년의 경우 엘니뇨 현상이 강화됐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 올겨울 올겨울 워싱턴 워싱턴 지역 올겨울 라니냐

2024.11.14. 15:05

올겨울 가스요금 급등 전망

올겨울 뉴욕주 가스요금이 전년 대비 11% 급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전기요금은 약 2%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뉴욕주 공공서비스위원회가 추산,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난방 시즌(11월~내년 3월)에 뉴욕주민은 매월 약 202달러 수준(700섬 기준, therms·열량 단위)을 지불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11% 오른 수준이다.     전기요금의 경우, 한 달 평균 600킬로와트시(kWh)를 사용하는 경우 월 전기요금이 약 58달러로 예상됐다. 전년동기대비 2% 줄어든 수준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올겨울 미 북동부지역은 평년보다 따뜻한 기온과 평균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고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가스요금 올겨울 올겨울 가스요금 올겨울 뉴욕주 뉴욕주 공공서비스위원회

2024.10.22. 21:10

이번 겨울 난방비 22% 올랐다

이번 겨울 에너지 수요 증가로 캘리포니아의 유틸리티 비용이 21.9%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북가주 플레이서빌 지역매체 마운틴 데모크랏에 따르면 올겨울 추위로 전국의 가정의 절반 이상이 예년에 비해 난방 사용량이 늘었다. 이로 인해 성인 85%가 인상된 유틸리티 비용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각 가정은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겨울철 난방 등 유틸리티 비용을 30%나 더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에너지관리청(EIA)에 따르면 겨울철 난방비는 지난 10년 동안 최소 20%에서 최대 40%까지 올랐다. 예를 들어 2010년 겨울 에너지 가격을 100달러라고 가정하면 2022년 천연가스는 약 149달러, 전기요금 약 140달러, 난방유(Heating oil)는 약 131달러까지 올랐다.   실제 겨울철 난방 수단으로 가장 많이 쓰는 천연가스의 경우 2019~2020년 시즌 요금은 전년에 비해 27% 급등했고 지난 2022~2023년 시즌 다시 18% 올랐다.   가주에서는 천연가스가 겨울철 난방용 에너지 60%(전기 30%)를 차지할 만큼 압도적이다. 이로 인해 가주 각 가정은 올겨울 난방비로 한 달 평균 228달러를 쓰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겨울철 난방비는 한 달 평균 187달러였다. 올겨울 난방비가 지난해보다 약 21.9%나 더 오른 셈이다.   매체는 겨울철 난방비 인상의 가장 큰 요인으로 인플레이션을 꼽았다. 최근 에너지 가격이 꺾이는 추세지만 전반적인 물가상승으로 가계 부담은 여전히 크다.   한편 온라인매체 업그레이드포인트닷컴은 에너지 비용 상승은 향후 몇 년 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매체는 최근까지 ‘세계 에너지시장 긴장, 중동 등 산유국의 국지적인 불안정성, 예측 불가능한 날씨’ 등이 에너지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올겨울 가주민 올겨울 난방비 겨울철 난방비 겨울철 난방용

2024.01.30. 21:09

"이불 밖은 위험해"…올겨울엔 어떤 이불 덮을까?

올겨울은 조금 늦게, 그러나 더 춥게 시작되었다. 작년보다 따뜻했던 11, 12월이었기에 겨울 이불 구매를 주저했다면, 지금이 도톰하고 따뜻한 차렵이불을 구매할 타이밍이다. 겨울 이불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는 보온성과 함께 흡습성, 유연성을 꼽을 수 있다. 이번 겨울을 포근하고 따뜻하게 책임질 겨울 이불들을 소개한다.     ▶[초극세사] 세미파이버 도톰한 클라우드 양면차렵이불   저렴한 가격과 좋은 품질로 엄청난 사랑을 받아온, 미주 한인 최대 온라인 쇼핑몰 '핫딜'의 스테디셀러 [초극세사] 세미파이버 도톰한 클라우드 양면차렵이불의 모든 색상과 사이즈가 재입고됐다. 기존 극세사 차렵이불의 표면에 있던 털을 모두 제거한 '피치스킨' 공법을 활용, 심플한 연출이 가능하면서 따뜻한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게 제작됐다. 초극세사 차렵이불은 현재 핫딜에서 3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데일리텐셀™ 손누빔 차렵이불세트]   친환경 소재 이불에 관심이 많다면, 너도밤나무에서 추출한 자연 소재로 유연하게 몸을 감싸주는 부드러운 촉감과 보송보송한 흡수력을 지닌 모달(Modal) 이불을 추천한다. 데일리텐셀™ 손누빔 차렵이불세트는 원단 개발의 선두주자인 텐셀(TENCEL™) 브랜드의 100% 모달 원단으로 만들어졌다. 모달은 주로 속옷과 잠옷에 사용될 정도로 우리 잠자리에 딱 맞는 친환경 원단이다. 특유의 비단 같은 부드러움과 피부에 달라붙지 않는 쾌적함이 강점. 해당 제품은 추워진 날씨를 대비하여 20oz 저데니아 솜을 충전하여 부드러운 모달의 강점과 보온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손누빔 처리돼 촉감과 형태감까지 우수한 해당 제품은 핫딜에서 30% 할인가에 구입이 가능하다.     ▶[데일리텐셀™ 고무줄 침대패드 Ver. 2]   데일리텐셀™ 손누빔 차렵이불세트와 풀세트로 구성할 수 있는 고무줄 침대패드도 있다. 침대패드 역시 100% TENCEL™ 모달 원단이고 매트리스를 덮기에 충분한 사이즈로 제작됐다. 패드의 위아래 / 양옆의 길이가 10cm(4in) 더 커져 Ver. 1 제품보다 더 쉽게 매트리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데일리텐셀 고무줄 침대패드는 핫딜에서 30% 할인가에 판매되고 있다.     ▶[60수 샤틴 순면 고무줄패드 Ver. 2]   60수 순면 샤틴(SATIN)만이 연출할 수 있는 광택과 부드러움을 갖춘 제품이다. 미끄러움 없이 포근하게 안기는 느낌의 원단을 찾고 있다면, 이 제품이 딱이다. 누빔을 격자(박스형) 무늬로 제작하여 보다 도톰하고 푹신한 느낌을 준다. 이전 제품보다 상하좌우 길이가 10cm(4in) 더 커져 매트리스에 알맞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해당 제품 역시 핫딜에서 30% 할인된 가격에 구매 가능하다.   한편, Marseille H&D의 모든 제품은 미국 CPSC 지정기관에 등록된 한국 FITI 시험 연구원에서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는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아딜아민, 그 밖의 유해성분 검출시험에 통과, 불검출 인증을 받아 예민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지면에 소개된 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침구류를 오는 2월 6일(화)까지 핫딜에서 최대 3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상품 살펴보기:hotdeal.koreadaily.com   ▶문의:(213)368-2611 핫딜 이불 올겨울

2024.01.21. 19:20

썸네일

올겨울 난방비 부담 준다

올겨울에는 난방비 부담이 덜할 예정이다.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에너지정보청(EIA)의 전망을 인용해 올겨울(11~3월) 천연가스 난방비용을 평균 601달러로 예측했다. 작년 겨울(764달러)보다 21% 감소한 것이다.   평년보다 따뜻한 기온이 예상되는 가운데 천연가스 재고도 충분해서다. EIA에 따르면 현재 천연가스 재고는 최근 5년 평균보다 5.1% 많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4년 만에 처음으로 엘니뇨 영향을 받아 북부와 서부 지역 기온이 평균보다 따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력 발전 원료가 대부분 천연가스인 만큼 전기 난방 역시 영향을 받겠지만, 체감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EIA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1060달러를 예측했다.   난방유 비용은 소폭 오를 전망이다. 글로벌 원유시장 불안 탓이다. 프로판 가스 비용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이하은 기자올겨울 난방비 올겨울 난방비 천연가스 난방비용 난방비 부담

2023.10.25. 19:36

“올겨울 따뜻하고 습하다”

미국의 올겨울 날씨가 평년보다 따뜻하고 눈이나 비가 더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됐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19일 발표한 ‘겨울 전망 보고서’에서 “4년 만에 처음으로 엘니뇨 영향을 받는 겨울을 맞는다”며 “이는 미국 북부와 서부 지역의 기온을 평균보다 따뜻하게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알래스카와 태평양 연안 북서부, 뉴잉글랜드 북부에서 평균보다 따뜻한 날씨를 보이고, 로키산맥 중남부에서 남부 평원에 이르는 지역은 평년에 가까운 기온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나머지 지역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NOAA는 또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알래스카 북부와 서부, 남부 평원, 남동부, 걸프만 연안, 대서양 연안 중남부 지역에서 평년보다 습한 기후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했다.     NOAA 기후예측센터(CPC)의 책임자인 존 고트샬크는 “강한 엘니뇨 현상 중 자주 나타나는 남부 제트 기류의 강화에 따라 올겨울 걸프만 연안과 미시시피 밸리 하류, 남동부 주들에 평균 이상의 강수량이 기록될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기후학자들은 지난해까지 3년여간 지속했던 라니냐 현상이 끝나고, 올해 하반기부터 엘니뇨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엘니뇨는 적도 지역 태평양 동쪽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NOAA는 올겨울 예보 시스템을 이전보다 개선해 폭풍 위험을 미리 체계적으로 알리는 ‘겨울 폭풍 심각도 지수’ 등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올겨울 국립해양대기청 올겨울 날씨 올겨울 걸프 올겨울 예보

2023.10.20. 21:28

올겨울 따뜻하고 습하다...남동부 강수량 많을 듯

NOAA 올 겨울 기온 예보      미국의 올겨울 날씨가 평년보다 따뜻하고 눈이나 비가 더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됐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19일 발표한 '겨울 전망 보고서'에서 "4년 만에 처음으로 엘니뇨 영향을 받는 겨울을 맞는다"며 "이는 미국 북부와 서부 지역의 기온을 평균보다 따뜻하게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알래스카와 태평양 연안 북서부, 뉴잉글랜드 북부에서 평균보다 따뜻한 날씨를 보이고, 로키산맥 중남부에서 남부 평원에 이르는 지역은 평년에 가까운 기온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나머지 지역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비슷한 것으로 분석됐다.   NOAA는 또 오는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알래스카 북부와 서부, 남부 평원, 남동부, 걸프만 연안, 대서양 연안 중남부 지역에서 평년보다 습한 기후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했다.   NOAA 기후예측센터(CPC)의 책임자인 존 고트샬크는 "강한 엘니뇨 현상 중 자주 나타나는 남부 제트 기류의 강화에 따라 올겨울 걸프만 연안과 미시시피 밸리 하류, 남동부 주들에 평균 이상의 강수량이 기록될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재 몇 달째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미 중부와 남부에서 상황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예측센터의 가뭄 부문 책임자인 브래드 퓨는 "10월 하순에 강수량이 많아져 중부의 가뭄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엘니뇨로 인해 강수량이 더 증가하면 향후 몇 달 동안 남부의 가뭄도 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북부 로키산맥과 북부 대평원, 남서부 사막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으며, 하와이에서도 가뭄이 지속하거나 악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학자들은 지난해까지 3년여간 지속했던 라니냐 현상이 끝나고, 올해 하반기부터 엘니뇨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엘니뇨는 적도 지역 태평양 동쪽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NOAA는 올겨울 예보 시스템을 이전보다 개선해 폭풍 위험을 미리 체계적으로 알리는 '겨울 폭풍 심각도 지수'(Probabilistic Winter Storm Severity Index; WSSI) 등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겨울 남동부 올겨울 날씨 올겨울 걸프 남동부 걸프

2023.10.19. 16:06

올겨울 온화하지만 비 많이 올 듯…내년 초 3개월이 엘니뇨 정점

올겨울 엘니뇨 현상으로 예년보다 온화하지만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국립기상청(NWS)은 지역 주민들에게 겨울이 오기 전 보수공사를 마무리하고, 수해 방지시설을 설치할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NWS는 지난 6월 캘리포니아주에 시작된 엘니뇨 현상은 가주 지역에 12월까지 평균 이상의 기온을 보이지만 내년 3월까지 평균 이상의 강수량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22일 발표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으로 해수면의 온도가 섭씨 0.5도 올라가면 지구 온도는 0.2도 상승한다.   UCLA 대니얼 스웨인 기상학자는 “엘니뇨 현상의 정점은 내년 첫 3개월일 것으로 예측된다. 가주 중남부 지역에 많은 강수량을 갖고 와 습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겨울부터 비가 많이 쏟아질 확률은 40~60%”라고 전했다. 특히, 전국적으로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11월 30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엘니뇨가 내년 3월까지 지속할 가능성이 95% 이상이며 수퍼 엘니뇨가 발생할 가능성은 71%라고 밝힌 바 있다. NOAA에 따르면 지난달 남가주에 상륙한 허리케인 힐러리 역시 기후변화와 엘니뇨 현상이 결합해 해수면 온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져 형성된 것으로 분석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올겨울 엘니뇨 올겨울 엘니뇨 엘니뇨 정점 엘니뇨 현상

2023.09.22. 20:46

뉴욕 일원 올겨울 첫 눈 기대

이번 주말 뉴욕시 일원에 올해 첫 눈이 내릴수도 있을 전망이다.   국립기상청(NWS)에 따르면 11일 오후부터 12일 오전까지 뉴욕시 일원 에 비 또는 눈이 내릴 것으로 예측했다.   예보에 따르면 11일 오후 1시경부터는 뉴욕시 일대에 강수확률 60%로 비가 내리다 12일 새벽부터 기온이 떨어지면서 진눈깨비로 바뀔 예정이다. 11일 최고 기온은 화씨 43도, 최저 기온은 34도 내외로 예상되고, 1인치 미만의 강수량이 예측돼 눈이 쌓이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뉴욕시 북쪽의 허드슨밸리와 캣스킬, 북서부 뉴저지주 서세스·퍼세익·모리스 카운티, 북서부 커네티컷주 등 일대에는 최저 기온 22도의 강추위와 함께 최대 3인치의 적설량이 예측되고 있다.   뉴욕시 일원 날씨는 13~14일 다시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서 최고 기온이 44도까지 오를 전망이지만 15~16일 다시 한차례 비 소식이 기다리고 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올겨울 뉴욕 뉴욕시 일원 뉴욕 일원 뉴욕시 일대

2022.12.09. 20:55

“마스크 해제로 LA지역 독감 극심할 전망”

코로나19가 감소세를 보이지만 오는 가을과 겨울 LA지역에 극심한 독감이 올 전망이라고 전문가들이 경고했다.   5일 바버러 페러 LA카운티 공공보건국 국장은 “지난 2년간 팬데믹으로 인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락다운으로 인해 독감 감염률이 감소했지만, 올해 코로나 규정이 완화되면서 마스크 지침도 풀려 올 가을과 겨울에 극심한 독감 시즌이 예상된다”며 “지난 2년 동안 가주민들의 독감 주사 접종률 또한 낮아 감염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걱정했다.     지난 3월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종료하면서 독감 환자가 증가했다가 이후 5월에 정점을 찍었다.     페러 국장은 “선선해지는 날씨로 공기 중의 절대 습도가 낮아진다”며 “절대 습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포함된 물방울이 작아지고 가벼워져 더 멀리 분사돼 더 많은 사람이 감염될 수 있다”고 확산을 우려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페러 국장은 독감 주사와 새로 나온 오미크론 백신을 맞을 것을 당부했다.     가주공공보건국(CDPH)에 따르면 독감은 일반적으로 11월 말에서 12월에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관계자들은 예방 접종 후 몇 주 뒤에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후 6개월 이상부터 독감 예방 주사를 맞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UC샌프란시스코의 피터 친-홍 전염병 박사는 “독감 예방주사와 코로나 백신은 늦어도 10월까지는 맞아야 한다”며 “다가오는 핼러윈, 높은 접촉률로 독감이 퍼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방 주사를 맞을 것을 당부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매년 평균 약 3만5000명이 독감으로 사망한다. 팬데믹 이전인 2017~18년에는 총 6만1000명이 독감으로 숨졌다. 2020~21년 가주민의 49% 이상이 독감 백신 접종을 맞았다.     독감 예방주사 및 코로나 부스터샷 신청을 원하는 가주민은 웹사이트(MyTurn.ca.gov)에서 예약 및 방문하기 원하는 진료소를 검색할 수 있다.   김예진 기자올겨울 독감 독감 예방주사 독감 감염률 독감 주사

2022.10.05. 19:20

올겨울 전기, 천연개스 부담 늘었다

 올 겨울 국제적인 천연개스 가격 인상 등으로 콜로라도 주민들의 공과금(utility) 부담이 커지고 있다. 덴버 메트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에 전기와 천연개스를 공급하는 엑셀 에너지(Xcel Energy)는 올 겨울 평균 공과금이 예년에 비해 대폭 올랐다고 밝혔다.엑셀 에너지의 미셸 아과요 대변인은 “올겨울 일반 가정의 평균 공과금 인상폭이 작년 겨울에 비해 약 37%나 올랐으며 스몰 비즈니스도 비슷하다”고 전했다. 에너지 공과금 부담 증가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특히 일반 가정용 공과금이 많이 올라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다른 에너지 공급업체인 블랙힐스 에너지와 애트모스 에너지도 비슷한 가격 인상을 인정했다. 모두 전세계적인 천연개스 가격 급등 탓이란 이유를 대고 있다. 연방에너지정보국(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EIA)의 기록에 따르면, 천연가스 가격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1월 천연개스의 백만 Btu(British thermal unit)당 평균 가격은 4.38달러였다. 천연개스 가격은 2014년이후 한동안 오르지 않다가 2021년 가을부터 오르기 시작했다.생산자들이 더 많은 공급으로 안정되고 가격을 낮출 수 있을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 아과요 엑셀 에너지 대변인은 콜로라도의 공과금은 미국내 다른 주보다 훨씬 저렴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콜로라도가 50개주 가운데 공과금이 가장 저렴한 주 순위 4위와 3위라는 ‘Move.org’와 ‘월렛허브’(WalletHub)의 조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아과요 대변인은 “매월 공과금이 너무 많이 나와 요금 납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객들은 가능한 한 빨리 엑셀 에너지에 연락하기를 당부한다. 우리는 항상 고객과 협력하여 결제 계획을 수립하고 에너지 요금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른 자원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은혜 기자천연개스 올겨울 올겨울 전기 천연개스 가격 에너지 공과금

2022.02.22. 14:17

감기+독감+코로나 변이 올겨울 총체적 난국

올겨울 오미크론과 델타 등 코로나바이러스 변이 뿐만 아니라 독감(flu)와 일반감기(cold) 활동도 예년에 비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워싱턴지역을 비롯해 최소 39개주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나온 가운데, 연방질병예방통제센터(CDC)와 세계보건기구(WHO)가 빠르면 내년 다음달 오미크론 변이 정점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펜데믹 이전에 미국에서 가장 많은 호흡기 질환 사망자를 낳았던 독감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존스 홉킨스 대학 제임스 뉴먼 교수는 “펜데믹 영향으로 1년전 겨울에 마스크 착용이 많았고 대면활동이 극도로 제약돼 독감 감염자가 줄었으나, 올겨울에는 거의 모든 대면활동이 정상화됐기 때문에 감염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면서 “특히 작년 감염자가 거의 없어서 독감면역력을 갖춘 국민이 적은 탓에 최근 감염자가 폭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CDC의 호흡기 질환 샘플 조사에 따르면 2019년 12월 A형 독감(Influenza A)은 전체 3만개 샘플 중 독감 감염률이 16.2%에 달했으나, 2020년 12월에는 0.3%로 급감했다.     지난 겨울은 독감이 거의 사라졌던 시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이번달에는5%로 증가했다.   일반 호흡기 질환 감기의 일종인 Respiratory Synctial Virus는 2020년 12월 0.1%에서 이번달에는 16.3%로 증가했다.   일반감기와 독감, 코로나 변이의 증상을 놓고 일반 국민들의 혼란도 커지고 있다.     팀 스펙터 버지니아대학(UVA) 교수는 “아침에 일어나면서 목이 따금거리는 증상을 느낀다면, 누구나 이게 감기인지, 독감인지, 일반 코비드-19인지, 코로나 변이인지, 변이 중에서도 델타인지, 오미크론인지 헷갈릴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는 “일단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있다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코로나바이러스와 독감은 열과 기침, 오한 등의 유사성이 크다.   일반감기는 독감보다 증상이 약하고, 대체로 콧물이 나고 코가 막히는 증상이 더 많다.   미각과 후각을 잃는다면 코로나바이러스 증상일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     알러지 혹은 코막힘 증상이 심한 환자도 후각이 둔해지기 때문에 섣불리 코로나 감염을 의심하기는 어렵다.   스펙터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는 독감보다는 일반감기같은 증상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하버드 대학, 스탠포드 대학, 매사츄세츠 제너럴 병원, 영국 런던 킹스 칼리지 대학의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오미크론 증상은 주로 두통, 피로감, 콧물, 목 따가움 등의 증상을 보인다.   로셀 왈렌스키 CDC 국장은 “올해는 독감 예방주사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본인과 가족, 주변사람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올바르고 적절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코로나 올겨울 독감 코로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독감 감염자

2021.12.17. 13:0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