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C 가입자 20년만에 첫 감소 예상
메디케어 어드밴티지(파트 C) 가입자가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연방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국(CMS)은 지난달 26일 올해 파트C 가입자가 3400만 명으로 지난해 3500만 명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올해 가입자 수는 전체 시니어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다만 CMS는 "내년에는 보험사들의 예상보다 파트C 가입자가 더 많을 것"이라며 시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니어들은 내년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균 10개의 플랜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입자 감소 이유 중 하나는 보험사들이 지난 10여 년간 메디케어 시장 확대에 주력했지만 최근 2년간 예상보다 높은 의료비 지출과 규제 강화로 수익성이 악화했다. 이에 따라 대형 보험사들은 수익성이 낮은 플랜을 축소하거나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다. 메디케어 등록 중개업체 '챕터'의 코비 블루멘펠드 간츠 대표는 "보험사들이 올해는 성장이 아닌 수익성에 집중하고 있어 일부 혜택이 과거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CMS가 보험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지출 감소 압박이 커졌다. 이 때문에 보험사가 제공하는 혜택이 줄거나 플랜이 줄면서 일부 시니어들이 파트 C를 포기하고 오리지널 메디케어로 돌아갔다. CMS는 파트C의 월 평균 보험료가 16.40달러에서 2026년 14달러로 낮아질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금융리서치회사 '에버코어 ISI'의 분석에 따르면 유나이티드헬스와 CVS의 에트나, 휴마나 등 대형 보험사들의 다수 플랜에서 보험료와 공제액, 본인 부담 상한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 특히 HMO 플랜은 혜택 축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됐다. 보험과 헬스케어 부문 글로벌 경영컨설팅 회사인 '올리버 와이먼'의 브룩스 콘웨이 수석 컨설턴트는 "보험사들은 0달러 보험료 상품을 바꾸는 것은 꺼리지만 이미 보험료가 책정된 상품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은 또 중개인 수수료를 조정하고 있다. 수익성 높은 플랜으로 가입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올해는 수익성이 낮은 플랜에서 수수료를 없애거나 플랜 자체를 없애는 사례가 늘었다. 챕터의 자료에 따르면 내년 오픈 등록에서 전국적으로 15~20%의 플랜이 빠졌다. 플랜이 없어진 경우는 뉴욕에서는 25% 이상,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는 35% 이상이나 됐다. 이 때문에 일부 중개인들은 특정 플랜에 아예 접근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했다. 보험사가 가입 자체를 막아버려 고객을 등록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했다. 보험사들의 혜택 축소와 시장 재편으로 내년 가입자 전망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콘웨이 수석은 "보험사들이 혜택을 줄이면 가입자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주요 보험사가 시장에서 철수하면 오히려 가입자가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내년 파트C 시장은 혜택이 늘면 가입자가 늘고 혜택이 줄면 가입자가 줄어드는 공식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경쟁 구조와 보험사의 철수 여부에 따라 예상 밖의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의미다. 온라인 건강보험 마켓플레이스인 e헬스의 휘트니 스티돔 부사장은 "내년은 자동 갱신으로 넘어가기 좋은 해가 아니다"라며 "플랜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본인 부담금을 연간 1800달러 이상 절감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내년 플랜 오픈 등록은 1일부터 시작됐다. 시니어들은 보험사로부터 기존 플랜 변경 사항을 통보받게 되며 15일부터 12월 7일까지 새로운 플랜을 선택할 수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 사태는 단기적일 경우 등록 절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CMS는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의 핵심 서비스는 유지되며 콜센터 운영 등의 기능은 일시 중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안유회 객원기자가입자 예상 가입자 감소 올해 가입자 대형 보험사들
2025.10.05.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