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아름다운 우리말] 동물의 왕국 한국

동물의 왕국이라고 글의 제목을 쓰고 보니 한국은 정말 동물의 왕국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주변에 동물이 정말 많습니다. 개와 고양이를 기르거나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엄청나게 늘어났습니다. 동물에 대한 사랑이 깊어진 까닭일 수도 있고, 외로움이 짙어져서일 수도 있겠습니다. 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니 사람 가족의 수는 적어질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한편으로는 유기견, 유기묘 천지라는 기사도 접하게 됩니다. 쓸쓸한 풍경입니다. 힘들 땐 가족이었다가 떠나갈 때는 그냥 짐승일 뿐입니다.     오늘 이야기하는 동물의 왕국은 진짜 동물의 세계는 아닙니다. 인간 세상의 이야기입니다. 하긴 인간도 동물이니 굳이 말하면 인간이 사는 동물의 세계이겠네요. 동물의 세상에서 가장 큰 특징은 적자생존입니다. 그리고 적자생존의 기본 원리는 경쟁입니다.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 바로 살아남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인간 세상은 경쟁이 극대화된 세상입니다. 특히 한국이 그렇습니다. 경쟁이 극대화하면 분노와 우울도 극대화합니다.     경쟁에서 이기면 환호하고, 경쟁에서 뒤처지면 좌절하는 것 같지만 사실 그 속에는 늘 분노와 우울이라는 두 감정이 공존합니다. 더 높은 곳으로 더 빨리 오르기 위해서는 분노라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경쟁을 부추기는 에너지이자 경쟁에서 이기는 에너지가 바로 분노입니다. 하지만 그런 자신을 돌아보면 한없이 가라앉습니다. 환호작약하여 뛰어오른 사람은 자연스레 떨어집니다. 늘 환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에 괴로움이 찾아옵니다. 누구나 떨어지는 순간은 괴롭게 마련입니다. 경쟁에서 진 사람도 마찬가지로 분노하고, 분노의 에너지가 잦아들면 더 깊은 우울 속에 박히게 됩니다. 우울의 뿌리는 쉽게 뽑히지 않습니다. 분노와 우울이 만연해 있는 세상은 살기가 힘이 듭니다.   21세기 한국은 성장을 거듭하며 활기가 있었습니다. 자신감이 하늘을 찌르고 경쟁력이 오히려 무기였습니다. 경제도, 노래도, 드라마도 하면 된다는 마음을 심어주기에 충분하였습니다. 이제 경제뿐 아니라 문화도 군사력도 어느 나라에도 뒤처지지 않습니다. 그 결과로 경쟁이 기쁨을 준다는 착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경쟁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경쟁이 지나치면 동물의 세계가 됨을 잊고 있는 겁니다. 인간은 동물의 세계에서 경쟁의 왕입니다.     텔레비전 속은 온통 경쟁의 세상입니다. 온갖 경쟁프로그램이 가득합니다. 연예인의 집을 보여주고, 가수 간의 경쟁을 보여줍니다. 날마다 시청률이 나옵니다. 구독자와 조회 수는 그대로 돈이어서 세상은 자극의 일상화입니다. 남의 세상과 나의 세상을 늘 비교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비교가 아니라 대조가 됩니다. 남은 행복하고, 부유하고, 웃는데 그렇지 못한 자신을 보며 한숨이 나옵니다. 동물의 세계에서 나는 쫓기거나 숨어있는 생명체에 불과합니다.     한국은 지금 동물의 왕국입니다. 청년의 우울증, 노인의 자살률이 심각합니다. 청년들은 결혼은커녕 연애도 안 합니다. 나라 전체가 활기를 잃고 있습니다. 활기가 사라진 곳에 먹고 먹히는 분노가 한가득입니다. 목소리가 커지면서 비판은 비난이 되고, 비난은 비꼼이 됩니다. 화는 화를 부릅니다. 분노가 분노를 부르고, 괴로움이 괴로움을 부릅니다. 적자생존의 세상, 동물의 세계를 벗어나야 합니다. 그래야 인간으로 살 수 있습니다.   우리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세상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내 생각부터 바꾸어야 합니다. 우울과 분노의 세상을 바꾸어야 합니다. 자극적 생활을 줄여야 합니다. 모두가 이 고민을 하고 살아야 합니다. 동물의 왕국은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내가 살고 있는 세상입니다. 나도 분노와 우울의 피해자일 수 있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동물 왕국 왕국 한국 우울과 분노 진짜 동물

2024.07.21. 17:17

썸네일

[삶의 뜨락에서] 방 한구석이 바로 왕국

태도를 바꾸면 주변이 변한다. 이는 로버트 그린의 ‘인간 본성의 법칙’ 제8부의 주제이다. 사람은 누구나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만의 방식이 있다. 주위 사람들의 행동과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이 있다. 우리는 이를 태도라고 부른다. 기본적 태도가 두려움인 사람은 매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인 사람은 마음이 열려 있어 타인에 관대하다. 부정적인 사람은 자신의 실수도 남 탓으로 돌리고 스스로 고립된 삶을 살게 되며 결국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역경 속에서도 배울 수 있고 무에서도 기회를 창조하며 많은 사람으로부터 환영을 받게 되어 매사가 기쁘고 활기차다.     러시아의 유명작가 안톤 체호프는 자신이 처한 역경을 스스로 극복하고 태도를 바꿈으로써 의사가 되었고 동시에 문학가로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어린 시절 매일 두려움에 휩싸여 아침을 맞았다. 분명한 이유도 없이 술주정뱅이 아버지는 지팡이나 채찍으로 아들 다섯과 여동생까지 몇 차례씩 후려갈겼다. 가족은 지옥 같은 나날을 견뎌내야만 했다. 결국 그의 집안은 몰락하였고 온 가족은 모스크바로 일자리를 찾아 떠났다.     안톤은 고향 시골에 혼자 남아 고등학교를 마치기로 결심한다. 가정교사자리를 여러 곳 구해 스스로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며 방 한구석을 빌려 문학, 철학, 과학 서적을 닥치는 대로 읽으며 의대 진학을 준비한다. 그는 고등학교를 마치고 모스크바 가족과 합류하게 된다. 막상 모스크바에 당도해보니 부정적인 에너지로 가득 찬 그의 가족은 모두 술과 마약에 자기 파괴적인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었다.     그는 자기 가족에게 변화를 불러일으키기로 결심한다. 가족들에게 설교한다거나 비난하는 대신 스스로 좋은 모범을 보여주기로 한다. 집 안 청소부터 다림질까지 도맡아 하고 장학금으로 동생들을 다시 학교에 보낸다. 서서히 가족들은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며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생활이 안정권에 들어서자 그는 자신을 돌아볼 여유를 갖게 된다. 가난하고 불운했던 고향 땅의 방 한구석! 거기가 그를 새롭게 태어나게 한 산실이라고 생각했다. 그 방 한구석에서 그는 읽고 또 읽고 그 만의 세계를 이루어가고 있었다. 가족이 모두 떠나고 그 방 한구석에 혼자되었을 때 그는 덫에 걸려 두렵다는 생각 대신, 해방감과 자유를 얻어 새로운 세계를 향해 훨훨 날아가고 있었다. 책 속에서 길을 얻은 것이다. 그는 가슴 속 깊이 아버지로부터 받은 상처를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다 보니 아버지의 아버지로부터 내려온 농노였던 체호프 일가의 비애가 이해되었다.     이렇게 아버지를 이해한 것이 토대가 되어 어느 날 갑자기 부모에 대한 연민과 조건 없는 사랑이 밀려옴을 느꼈다. 그는 마침내 원망과 분노로부터 해방감을 느꼈다. 부정적인 감정이 모두 떨어져 나갔다. 그는 자유로웠다. 그는 이 체험을 모두 적어나갔다. “가장 위대한 발견은 인간이 마음의 태도를 바꿈으로써 자기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윌리엄 제임스의 말을 되새기면서! 정명숙 / 시인삶의 뜨락에서 한구석 왕국 모스크바 가족 술주정뱅이 아버지 남아 고등학교

2022.09.27. 19:00

[삶의 뜨락에서] 방 한구석이 바로 왕국

태도를 바꾸면 주변이 변한다. 이는 로버트 그린의 ‘인간 본성의 법칙’ 제8부의 주제이다. 사람은 누구나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만의 방식이 있다. 주위 사람들의 행동과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이 있다. 우리는 이를 태도라고 부른다. 기본적 태도가 두려움인 사람은 매사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인 사람은 마음이 열려 있어 타인에 관대하다. 부정적인 사람은 자신의 실수도 남 탓으로 돌리고 스스로 고립된 삶을 살게 되며 결국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역경 속에서도 배울 수 있고 무에서도 기회를 창조하며 많은 사람으로부터 환영을 받게 되어 매사가 기쁘고 활기차다.     러시아의 유명작가 안톤 체호프(Anton Chekhov, 1860~1904)는 자신이 처한 역경을 스스로 극복하고 태도를 바꿈으로써 의사가 되었고 동시에 문학가로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어린 시절 매일 두려움에 휩싸여 아침을 맞았다. 분명한 이유도 없이 술주정뱅이 아버지는 지팡이나 채찍으로 아들 다섯과 여동생까지 몇 차례씩 후려갈겼다. 아버지는 어떤 분명한 악의나 분노가 없이 사랑해서 때리는 거라고 말했다. 하지만 온 가족은 날마다 지옥 같은 나날을 견뎌내야만 했다. 결국 그의 집안은 몰락하였고 온 가족은 큰 도시 모스크바로 일자리를 찾아 떠났다.     안톤은 고향 시골에 혼자 남아 고등학교를 마치기로 결심한다. 가정교사자리를 여러 곳 구해 스스로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며 방 한구석을 빌려 문학, 철학, 과학 서적을 닥치는 대로 읽으며 의대 진학을 준비한다. 그 당시 10대였던 그는 왕성한 독서광으로 자신이 처한 환경을 비난하는 대신 새로운 자신의 세계를 키워나가는 젊은 의학도로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모스크바 가족에 합류하게 된다. 막상 모스크바에 당도해보니 부정적인 에너지로 가득 찬 그의 가족은 모두 술과 마약에 자기 파괴적인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었다.     그는 자기 가족에게 변화를 불러일으키기로 결심한다. 가족들에게 설교한다거나 비난하는 대신 스스로 좋은 모범을 보여주기로 한다. 가족을 하나로 뭉치게 하고 의욕을 불어 넣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집 안 청소부터 다림질까지 도맡아 하고 장학금으로 동생들을 다시 학교에 보낸다. 서서히 가족들은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며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생활이 안정권에 들어서자 그는 자신을 돌아볼 여유를 갖게 된다. 가난하고 불운했던 고향 땅의 방 한구석! 거기가 그를 새롭게 태어나게 한 산실이라고 생각했다. 그 방 한구석에서 그는 읽고 또 읽고 그 만의 세계를 이루어가고 있었다. 가족이 모두 떠나고 그 방 한구석에 혼자되었을 때 그는 덫에 걸려 두렵다는 생각 대신, 해방감과 자유를 얻어 새로운 세계를 향해 훨훨 날아가고 있었다. 책 속에서 길을 얻은 것이다. 그는 가슴 속 깊이 아버지로부터 받은 상처를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다 보니 아버지의 아버지로부터 내려온 농노였던 체호프 일가의 비애가 이해되었다. 아버지의 천성과 그 터무니없는 행동도 그 자신도 모르고 있고 피할 수 없는 가족력으로 내려온 덫이겠구나 생각이 드니 아버지도 무력한 희생양이라고 이해하게 되었다.     이렇게 아버지를 이해한 것이 토대가 되어 어느 날 갑자기 부모에 대한 연민과 조건 없는 사랑이 밀려옴을 느꼈다. 그는 마침내 원망과 분노로부터 해방감을 느꼈다. 부정적인 감정이 모두 떨어져 나갔다. 그는 자유로웠다. 그는 이 체험을 모두 적어나갔다. “가장 위대한 발견은 인간이 마음의 태도를 바꿈으로써 자기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윌리엄 제임스의 말을 되새기면서! 정명숙 / 시인삶의 뜨락에서 한구석 왕국 모스크바 가족 술주정뱅이 아버지 자기 가족

2022.09.23. 18:3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