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취업비자(H-1B) 신청 수수료를 10만 달러로 인상하면서, 해외 의료인력에 의존하던 전국 병원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해외 교원을 채용해온 가주 교육구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CBS뉴스는 미 병원협회(AHA) 등을 인용해 전국 병원들의 외국인 간호사 등 고숙련 인력 채용 계획이 사실상 중단 위기에 처했다고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수수료 인상 정책으로 간호사 1명당 10만 달러의 비자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는 병원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형 병원들은 “사실상 감당이 불가능하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메릴랜드주 프레데릭 헬스 병원의 간호책임자 제이미 화이트는 CBS뉴스에 “간호사 1명을 고용하는 데 10만 달러를 내야 한다면 병원은 그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며 “현재는 병원 운영 안정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교육계도 타격을 피하지 못했다. 전국교육협회(NEA)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 기준 가주내 506개 교육구는 총 2300명의 교원을 취업비자로 고용했다. 그러나 수수료 인상 정책이 시행되면 대부분 교육구가 해외 교원 1인당 10만 달러의 부담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 기존 1000달러였던 H-1B 비자 신청 수수료를 10만 달러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민서비스국(USCIS)은 지난 10월 20일 세부 지침을 발표하며 “(10만 달러 수수료 부과는) 국내 체류자나 신분 변경자는 제외된다”고 밝혔다. 〈본지 10월 22일자 A-1면〉 관련기사 전문직 취업비자, H-1B 수수료 10만불 대상 대폭 줄어 문제는 적용 대상이 일부 줄었지만, 외국인 의료 인력과 교원은 이번 완화 조치에서 제외됐다. 앞서 미 병원협회는 지난 9월 말 트럼프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외국인 의료인력 채용 시 수수료 면제를 요청했었다. 서한에는 “수수료 인상 정책이 시행되면 시골 등 의료 취약지역의 의료 서비스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담겼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중소형 간호사 외국인 간호사 간호사 채용 중소형 병원
2025.11.02. 19:24
취업이민 문호 동결 등 이민비자 발급 지연으로 간호업계 인력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전국 최대 농촌 의료 네트워크 샌포드 헬스(Sanford Health) 미드웨스트 지부는 올해 160명의 간호사를 채용할 계획이었지만, 이제 최대 36명으로 목표를 확 낮췄다. 대부분 필리핀과 나이지리아 등에서 선발한 인력인데, 이민비자가 발급되지 않아 입국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서다. 이들이 주로 지원한 비자는 취업이민 3순위(학사학위 숙련)으로 현재 비자발급 우선일자는 2021년 12월 1일이다. 블룸버그는 “병원이 사용하는 주요 비자 카테고리는 특히 나쁜 상황”이라며 “이제 2년 전에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기 시작했는데, 이때가 외국인 간호사 고용이 폭증했던 시절”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 따르면 최소 1만 명의 외국인 간호사가 이민비자 지연을 겪고 있다. 팬데믹 당시 전국에서 10만 명 이상의 간호사가 직장을 그만두며 외국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는데, 비자에 가로막힌 것이다. 에리카 드보어샌포드 헬스 수간호사는 “더이상 환자를 받을 수가 없다”며 “비싼 단기 계약직을 고용하거나 온라인 진료로 전환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국제 간호사들을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블룸버그에 전했다. 평균 간호사 임금은 시간당 39달러인데 단기 계약직의 경우 3배는 더 줘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각국의 간호사들도 어려운 상황에 처하긴 마찬가지다. 필리핀 출신으로 올해부터 노스다코타에서 근무하길 기대했던 카리사 캔라스는 “금방 갈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너무나 괴롭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통상 영주권을 받기까지 수년이 걸리고, 언어 강습이나 항공, 숙박 등을 제외한 기본 비용만 1만 달러부터 시작한다. 블룸버그는 ▶간호사 처우 개선 ▶원격 의료 확대 등의 해결책도 제시됐지만, 이들 모두 비용이 많이 들어 모든 병원에서 시도하기는 어려운 방법이라고 전했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취업이민 인력난 간호업계 인력난 헬스 수간호사 외국인 간호사
2023.12.05. 18:07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의료계가 외국인 간호사 영입에 나섰다. 10월 1일부터 시작되는 2022회계연도에 사용할 수 있는 전문직 취업비자 쿼터가 2배 이상 늘어나 비자발급이 수월해졌기 때문이다. 이민서비스국(USCIS)에 따르면 실제로 의료종사자 등 필수업종에 대해서 취업허가 갱신을 빠르게 처리하고 있는 중이다. 연방 이민법은 해외 주재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들이 팬데믹기간 동안 폐쇄하면서 발급하지 못한 15만 개의 가족이민용 비자 쿼터를 취업비자로 재사용할 수 있게 허용한다. 이 때문에 올해 발급될 취업비자 쿼터는 연간 14만개의 2배인 29만 개가 됐다. 현재 대부분의 미국 병원들은 팬데믹이 시작된 후 많은 직원이 은퇴하거나 직장을 그만둬 간호사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실제로 UC샌프란시스코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주에서만 필요한 간호사 수는 4만 명에 달한다, 이는 현재 노동력의 14%에 달한다. 병원 관리자들은 “필리핀, 자메이카 등 영어권에 거주하는 해외 간호사들을 채용해 부족한 인력을 메우고 있지만 부족하다”며 “쿼터가 늘어난 만큼 승인도 빨라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민법 관계자들은 "매년 취업비자가 부족해 영주권 취득 기간에만 수년이 걸렸다"며 "올해는 비자 쿼터가 늘어난 만큼 간호사나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 외국인 노동자 채용이 쉽고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한국이 포함된전세계용 영주권 문호 취업이민 부문은 모두 오픈된 상태다. 장연화 기자취업비자 외국인 취업비자 쿼터 전문직 취업비자 외국인 간호사
2022.02.03. 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