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을 포함한 미국 국적자가 소유한 서울 아파트가 6000채에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국적자의 아파트 구매는 60% 이상은 ‘한강 벨트’인 강남, 마포, 용산, 성동구 등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미국 국적자가 서울에 보유한 아파트는 5678채였다. 자치구별로는 강남 1028채, 서초 742채, 송파 458채 등 강남 3구에만 2228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중국 국적자는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지만, 지역은 선명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인은 구로 610채, 영등포구 284채, 동대문구 150채에 집중돼 있었다. 강남권은 159채에 그쳤다. 이어 캐나다(1831채, 대만(790채), 호주(500채), 영국·프랑스·독일(334채), 뉴질랜드(229채), 일본(220채) 순으로 외국인 아파트 보유가 많았다. 정 의원은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분석에 근거해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소유가 “강남 고가주택 위주의 투자형과 구로 등 실거주 수요 거래로 이원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철웅 기자미국 한강벨트 서울 아파트 외국인 아파트 아파트 구매
2025.10.07. 20:24
한인 포함 미국 국적자가 2015년 이후 한국 아파트를 5900채 가까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가 내년부터 외국인 주택 거래·보유 현황 공개를 추진하는 가운데 외국인의 한국 내 아파트 매입 통계가 최초로 공개됐다. 2015년 이후 외국인의 전국 아파트 매입 건수는 약 3만 건에 달하며, 이 중 19.6%인 5855건을 미국인이 매입했다. 외국인 중에서는 중국인이 1만8465채(62%)를 사들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서울 아파트는 중국인보다 미국인 매입 비중 높았다. 외국인 아파트 매입은 집값이 고공행진 하던 2020년 정점을 찍은 뒤 외국인 투기 논란이 본격화한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 국토부는 외국인 토지 거래 현황은 매월, 보유 현황은 6개월 주기로 공개하지만, 아파트를 비롯한 주택 보유·거래 공식 통계는 생산.공표하지 않았다. 한국 부동산원이 양경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2015년 2979건이던 외국인 전국 아파트 매입 건수는 2016년 3004건, 2017년 3188건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2018년부터 3697건, 2019년 3930건으로 소폭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러다 계약갱신청구권 등 임대차 2법 시행까지 겹치며 집값과 전셋값이 크게 뛰기 시작한 지난 2020년에는 외국인 매입 건수가 5640건으로 전년 대비 43.5% 급증했다. 2019년 말부터 정부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한도가 강화되고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내 15억원 초과 주택담보 대출이 금지되는 등 고강도 금융 규제로 내국인의 주택 매입은 어려워진 반면 이런 규제를 받지 않는 외국인들의 아파트 매입은 대폭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는 외국인 투기 논란 속에 4931건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었고, 올해는 8월까지 매수가 2423건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1∼8월)에 매입한 3662건보다 33.8% 줄어든 것으로 2년 연속 감소세다. 올해 들어 금리 인상 등으로 집값 하락세가 본격화한 데다 새 정부의 외국인 부동산 투기 단속 의지에 따라 외국인들도 아파트 매입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 가운데 외국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집값이 크게 뛴 2020년을 제외하고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여서 눈길을 끈다. 한편, 한국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내년부터 외국인 주택 보유·거래 통계를 국가승인통계로 공표할 예정이다. 최근 2년 새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사이 내국인과 외국인 부동산 매입에 대한 ‘역차별’ 논란이 거세지며 통계의 중요성이 커진 것이다. 우훈식 기자중국 미국 아파트 매입 외국인 아파트 외국인 매입
2022.10.11. 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