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인근 페닌슐라 지역에 거주하는 린다 마티슨 씨는 어깨 통증 완화를 위해 샌 브루노의 한 전자담배 매장에서 CBD 젤을 구매했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5달러 팁을 입력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무려 5,000달러가 결제된 것이다. 마티슨 씨는 키가 작아 계산대가 높았고, 팁 입력 요청에 두 개의 0을 누른다고 생각했지만 실수로 0을 세 번 입력한 것으로 보인다. 화면에 소수점이 표시되지 않아 실수를 인지한 직후 “삭제하고 싶다”고 외쳤지만, 점원은 “방법을 모른다”며 결제를 그대로 진행했다. 해당 매장인 ‘San Bruno Exotic’은 현재 ‘Exotic Vapes’로 이름을 바꿨고, 새로운 운영진이 들어선 상태다. 매장 측은 “은행과 해결할 문제”라며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마티슨 씨는 웰스파고 은행에 수차례 문의했지만, 답변을 받기까지 8개월이 걸렸다. 은행 측은 “60일 이내에 신고했어야 한다”며 사건을 종결하려 했지만, 실제로 마티슨 씨는 사고 직후 바로 전화했음을 입증했다. 그녀는 30년간 웰스파고 고객이었다. 결국 지역 방송사인 ABC7 ‘7 On Your Side’가 사건을 취재하자, 웰스파고는 뒤늦게 팁 전액 5,000달러와 이자를 환불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오류 가능성과 함께, 대형 은행의 고객 대응 체계가 얼마나 비효율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AI 생성 기사은행 외면 웰스파고 은행 은행 측은 대형 은행
2025.06.05. 16:13
신용카드 회사들의 맞춤 혜택 제공으로 MZ세대(1981~2010년생)의 카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신용카드 사용을 기피하던 젊은층이 다시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덕에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X·아멕스)를 비롯한 카드회사의 실적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10여년 전만 해도 카드회사들은 젊은 고객을 잡지 못해 암울한 미래를 예상했다. 2015년 아멕스는 자사의 실적이 떨어지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주가수익률 예상치는 전년에 비해서 90% 이상 쪼그라들었고 주가 또한 곤두박질쳤다. 가장 큰 원인은 MZ세대 카드사용이 줄어든 것. 밀레니얼과 Z세대가 신용카드 사용을 기피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선구매 후결제(Buy Now Pay Later) 서비스가 일반화됐고 부모세대가 카드빚에 허덕이는 모습을 보면서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오히려 MZ세대가 신용카드 회사들의 ‘돈줄’이 되고 있다. 2023년 새롭게 만들어진 아멕스 골드 혹은 플래티넘 신용카드 사용자 중 80%에 육박하는 수가 MZ세대가 차지하고 있다. 플래티넘 카드는 695달러의 연회비가 있지만 젊은층들은 개의치 않고 만들었다. 신용카드 붐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MZ세대 중에서도 Z세대로 알려졌다. 22세에서 24세 사이의 Z세대 중 1개 이상의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는 비율은 84%였는데 이는 밀레니얼의 61%에 비하면 눈에 띄게 높은 수치다. MZ세대가 그동안 기피해 온 신용카드를 다시 쓰기 시작한 것은 혜택 때문. 카드회사들은 젊은 세대가 ‘마일리지 모으기’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가 여행사 제휴 카드 등을 통해 마일리지를 쌓고 이를 사용해 왔던 것과는 대조된다. 여행하기 힘들었던 코로나 시기 카드 회사들은 여행을 제외한 새로운 카드 혜택을 개발해 선보였다. 대부분의 젊은층들이 선호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나 음식 배달 서비스 등에 관련된 것이었다. 실제로 많은 카드 회사가 음식 배달에 관련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체이스 사파이어 리저브 회원은 도어대시에서 배달비 할인을 받고 캐피털원 캐시 리워즈 회원은 우버 이츠 주문에 10% 캐시백을 받는다. 코로나 시대 이후 많은 카드회사는 MZ세대가 남들과는 다른 경험을 하고 싶어한다는 것에 주목해 관련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아멕스는 고급 식당 예약 전문 플랫폼 레시(Resy)를 인수했고 이를 통해서 고객들에게 독점예약권 등을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혜택으로 MZ세대의 카드 사용이 늘어나자 카드회사들의 주가도 올라가는 모양새다. 아멕스의 주가는 2024년에만 25% 이상 상승했다. 캐피털원의 주가도 올해 들어 32% 올랐다. MZ세대가 신용카드를 무분별하게 사용한다는 우려도 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미시경제 센터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Z세대의 15%와 밀레니얼의 12%가 본인들의 신용카드를 한도까지 사용했다. 이러한 신용카드 사용은 연체로 이어지기도 한다. 뉴욕 연은은 2024년 1분기에 90일 이상 연체한 신용카드 사용자의 비율은 10.7%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전에는 비율이 8.2%였던 것에 비해 가파르게 상승한 것이다. 같은 보고서에서는 신용카드 연체 비율이 늘어난 원인으로 20대와 30대의 카드 사용을 꼽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높은 금리로 인해서 연체에 따른 이자율도 높이 올라간 만큼 신중한 신용카드 사용을 당부했다. 조원희 기자신용카드 외면 신용카드 사용 신용카드 회사들 플래티넘 신용카드
2024.06.18. 21:20
LA한인타운의 치안 불안 문제가 주류사회 및 공권력으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지난 10일 한인 안모(61)씨는 한인타운 한복판에서 홈리스에 의해 총격 피살됐다. 〈본지 13·14일자〉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한인타운 내 본인의 집 근처 대로변에서 주말 대낮에 무방비 상태로 일어난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하지만 주류 언론에서의 해당 사건 보도는 눈을 씻고 봐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경찰의 대응도 마찬가지였다. 한인 커뮤니티를 상대로 혐오범죄 및 치안 세미나 등 다양한 예방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정작 사건이 발생하자 널리 알리고 주의를 요구하기보다는 조용히 덮으려고 하는 분위기다. 한인사회의 분위기도 별반 다를 게 없다. 사건 현장 인근 건물주는 사건에 대한 진술을 꺼리며 직원들에게까지 입단속을 시키고 있다. 계속 증가하는 홈리스 관련 사고와 총격 사건으로 한인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주류 언론과 경찰, 심지어 한인사회 내에서도 쉬쉬하는 게 현재 분위기다. 경찰 등 사법 당국의 소극적인 태도는 특히 문제다. ‘치안 불안’에 대한 불만이 극에 치달았지만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레이스 유 변호사는 “대낮에 한인타운 한복판에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다. 충격적이다”며 “2세 한인들이 모여 한인타운 순찰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건을 알리고 순찰을 보다 더 강화해야겠다”고 전했다. LA경찰국(LAPD)은 타운 내 노숙자 급증, 좀도둑 기승, 폭력 및 살인 사건 증가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치안을 강화해야 한다. 또 주류언론들은 지금이라도 한인타운에서 일어난 사건·사고를 적극적으로 보도해야 한다. 그리고 타운의 주인인 한인들은 목소리를 높여 지역 정치인과 로컬 및 주 정부에 우리의 불안함을 알려야 한다. 김예진 기자한인사회 외면 치안 세미나 한인타운 한복판 한인 커뮤니티
2022.12.14.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