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국 외식기업 미국 진출 탄력받았다

지난해 한국 외식 기업들의 해외 진출 1위 국가는 미국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4 외식 기업 해외 진출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총 46개 기업이 진출했다. 이는 전년(41개)보다 5개 늘어난 수치로, 2022년 수준(46개)을 회복했다.     이어 중국(35개), 베트남(32개), 필리핀(28개), 말레이시아(27개), 일본(26개), 대만(25개), 태국·인도네시아(24개씩) 순이었다.     특히 미국과 동남아 진출이 증가했으며, 중국도 코로나19 이후 다시 활발해졌다.   외식 기업들의 해외 진출 희망 국가 1위 역시 미국이며, 그 뒤를 베트남, 동남아, 동북아(일본, 중국)가 이었다.     다만 아시아 국가를 희망하는 기업 비율은 2022년 74.7%, 2023년 82.7%, 2024년 60.6%로 감소하는 추세다.     미국은 진입 장벽과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높은 소비 수준과 낮은 경쟁 강도로 인해 선호도가 증가했다. 미국 내 진출한 브랜드 수는 53개로 2위인 베트남과 중국보다 16개 많았다.   매장 수 기준 1위도 미국(1007개)으로, 2022년(673개) 대비 50%,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특히 미국, 대만, 중국, 캄보디아, 필리핀은 최근 1년간 매장 축소나 철수가 없었다.   업종별로 분석해 보면 미국 진출 매장에서 치킨 매장이 570개로 전체(1007개)에서 절반이 넘는 56.6%를 차지하면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제과점(305개), 한식(35개), 중식(28개), 김밥(21개) 순이었다.     해외진출 전체 업종에서 한식 업종이 가장 많은 것과 비교하면 미주에서는 치킨 업계가 가장 치열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6~12월 기준 한국 외식 기업 5481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해외 진출한 외식 기업은 총 121개, 브랜드는 144개, 매장은 4382개로 나타났다. 이중 완전 철수업체는 10개에 머물렀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K외식’ 해외진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aT는 이달부터 외식기업 맞춤형 바우처 사업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원 대상을 15개 기업으로 확대한다. 국제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여도 4회에서 5회로 확대한다.     권오엽 aT 수출 식품 이사는 “미디어와 SNS를 통해 전 세계에서 K외식에 대한 궁금증과 인기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며, “K푸드의 수출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외식 브랜드의 시장 확대와 판로 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미국 외식기업 해외진출 지원 해외진출 전체 진출 매장

2025.03.11. 23:03

한국 외식기업의 미국 진출시 고려하여야 할 건축 법규들 [ASK미국 주택/부동산-이웅범 건축사]

▶문= 미국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한국의 외식기업입니다. 미국진출시 어떤 건축법규들을 고려하여야 하나요?     ▶답= 많은 한국의 외식기업들이 미국에 진출을 하고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실패를 겪고 철수하는 업체가 적지 않습니다. 미국으로 진출한 많은 외식기업들을 도와왔던 설계사무소로서 미국 진출의 첫 단계인 매장 선정과 내부 공사 관련하여 고려하여야 할 건축법규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계획법: 도시계획법은 많이 간과되는 부분이지만 매우 기초적인 규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합니다. 도시계획법에 맞지 않는 경우 6개월 이상 지체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니 임대계약 전에 도시계획법을 잘 살펴보거나 설계사무소에 문의를 해보고 결정을 하여야 합니다.   보건법: 보건법은 오염을 방지하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마감재료, 조리 세척 기구, 재료 보관 등등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보건법에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설계를 하면 보건국의 심의 과정에서 디자인이 많이 변경되어 허가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니 식당 설계 경험이 풍부한 설계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방법: 용도변경의 경우 비상탈출 경로와 매장 크기 제한 등의 문제들이 생길 수 있고 내부 공사 일지라도 전체 건물 단위의 소방 법규 해석이 필요한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소방 법규 전문지식이 없으면 해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건축사를 고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애인 법: 식당이나 카페 등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은 장애인 소송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으니 반드시 잘 지켜줘야 하는 규정입니다. 장애인 관련 규정은 아주 복잡하고 미세한 부분까지도 적용이 되기 때문에 법규 해석과 적용에 따라 공간 활용 및 실제 공사비용에서도 많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상업시설 경험이 많은 건축설계사무소 특히 CASp 자격증을 보유한 업체를 사용하면 비용 절감 등 많은 이점이 있으며 특히 차후 장애인 소송의 가능성도 줄어들게 됩니다.   위의 언급한 부분은 건축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극히 일부만을 소개해 드렸고 이외에도 입지 선정, 세무, 은행, 법률, 보험, 인력 관리, 물류, 동향 파악, 브랜드 현지화, 마케팅 등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은 아주 많습니다. 각각의 분야별로 현지 경험이 많은 업체들과 같이 일을 하는 것이 성공적인 미국 진출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문의: (714) 829-4933 / [email protected]미국 외식기업 이웅범 건축사 한국 외식기업 건축 법규들

2025.02.27. 16:27

한국 외식기업 진출 선호도 미국 1위

지난해 한국 외식 기업들의 해외 진출 선호도 1위 국가는 미국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3 외식 기업 해외진출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식 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국가는 미국으로 기업 수는 총 41개였다. 2022년 46개보다 감소했지만, 베트남과 함께 전년도에 이어 해외진출 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국가로 조사됐다.     이어 베트남(29개), 중국(27개), 필리핀(20개), 일본·인도네시아(19개), 대만·말레이시아(18개) 순으로 많았다.     매장 수 기준으로 1위도 미국(778개)이 차지했다. 2021년 600개와 비교하면 2년 사이 178개(30%)가 증가했다. 팬데믹 이후 경제가 호황을 맞으면서 한국 외식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 바람도 거세진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중국(767개), 베트남(362개), 태국(285개), 필리핀(239개), 대만(172개), 캐나다(142개), 일본(133개), 말레이시아(130개), 인도네시아(118개) 등이 뒤를 이었다.     매장을 업종별로 분석해 보면 치킨 매장이 440개로 전체(778개)에서 56.5%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많아 미주 진출 외식업계에서 치킨 업계가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제과점(147개), 커피전문점(106개), 김밥(38개), 한식(28개) 순이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LA지사 김민호 지사장은 “한국 드라마, 영화가 넷플릭스 등 세계적인 플랫폼에서 지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드라마 등에서 묘사되는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도 계속 상승 중”이라며 “특히 작년 미국시장에서의 냉동 김밥 인기로 기존 한식, 치킨뿐만 아니라 분식, 길거리 음식까지 관심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프랜차이즈 등록 등 지속해서 지원해 더 다양한 한국 외식기업이 진출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미국에 진출한 한국 외식 기업 중 가장 치열한 업계는 K치킨이다. 2023년 최다 매장 수를 기록한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의 영토 확장은 올해 더욱 치열해졌다.     한국 베이커리 양대 산맥인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는 미주지역에서 2030년까지 가맹점 1000호점 오픈을 내세우며 프랜차이즈를 통한 매장 수 확장 한판 대결을 벌이고 있다.     ‘2023 외식 기업 해외 진출 실태 조사’는 지난해 8~11월 기준 한국 외식 기업 2965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외식 기업 중 해외에 진출한 곳은 125개, 브랜드 수는 133개, 매장 수는 3685개로 나타났다. 이은영 기자미국 외식기업 한국 외식기업 한국 드라마 한국 음식

2024.03.27. 20: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