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소포에도 관세가 부과되면서 한국 우정사업본부가 미국행 국제특급우편(EMS)과 소포 접수를 일시 중단한다. 저렴한 우편 배송 통로가 막히면서 미주 한인들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관계기사 3면〉 관련기사 한국에서 소포 받을 때 부담 늘고 불편…800불 이하 관세 파장 우정사업본부는 21일 “25일부터 미국행 항공 소포, 26일부터는 관세가 붙지 않는 서류를 제외한 모든 EMS 물품 접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선박을 통한 미국행 소포는 이미 접수를 중지했다. EMS 프리미엄 서비스만 접수 가능하며, 통관은 민간 특송사가 대행하고 관세는 현지 수취인이 부담한다.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의 800달러 이하 소액 면세 제도 폐지에 따른 것이다. 29일 자정 도착분부터 서류를 제외한 모든 국제우편물에 15%의 관세를 부과한다. 그동안 미국은 해외에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를 면제해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불법 마약·위조품 반입 통로가 되고 있다며 지난달 30일 소액 면세 제도를 없애는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우정사업본부는 “국제 우정망 협약에 따라 운영되는 EMS 특성상 새 관세 제도에 맞춰 통관·운송을 처리할 시스템이 없어서 접수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 한인은 “EMS는 민간 특송보다 운송료가 훨씬 저렴해 자주 이용했는데 앞으로는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강한길 기자미국 한국 소포 접수 ems 소포 관세 영향 EMS 프리미엄 우정사업본부 우체국 국제우편물 소액 면세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2025.08.21. 21:31
한국에서 가족, 친지, 지인 등이 보내준 김치를 미국에서 다시 받아 맛볼 수 있게 됐다.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국제우편으로 미국 전 지역에 김치를 발송할 수 있도록 중단됐던 국제특급우편(EMS) 접수를 재개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외 김치 배송은 코로나19에 따라 2020년 11월부터 중단됐으나, 지난 6일 일본 전 지역으로 배송이 재개된 데 이은 조치다. 우정사업본부는 항공 운송 시 김치가 터지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김치를 비닐로 포장한 후 전용 캔에 70%가량 채운 다음, 덮개를 완전히 밀봉해 접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일본과 미국 전 지역으로 김치 배송을 재개해 해외 거주 국민들이 다시 고향의 손맛을 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항공사와의 협의를 통해 더 많은 국가로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우정사업본부 한국 김치 배송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 해외 김치
2023.11.12.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