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율이 오르면서 한국을 자주 왕래하는 미주 한인들이 한국에서 LA구간의 왕복항공권을 구입하는 현상이 생겨나고 있다. 한국에서 구입시 항공권 종류에 따라 미주에서 사는 것보다 크게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환율이 1달러 당 1000원대 초반이던 때에는 한국에서 구입하는 항공료가 훨씬 비쌌지만 환율이 1500원대에 이르는 최근에는 상황이 바뀌었다. 11월 말 비수기를 기준으로 실거래되는 원.달러 환율 1400원을 적용하면 비지니스 클래스의 경우 LA-한국 왕복항공권에 비해 한국-LA 왕복항공권 가격이 450달러 이상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업 차 한국을 자주 방문하는 미주 한인들은 LA-한국 구간을 편도 항공권을 구입해 출국한 후 한국에서 한국-LA구간 왕복 항공권을 구입하고 있다. 무역업을 하는 최모(49)씨는 "예전에는 미국에서 항공권을 구입하는 것이 저렴했지만 요즘은 한국에서 사는 게 더 싸다"며 "한달 평균 2차례 이상 한국을 방문하고 있는데 비지니스 클래스 경우 한국에서 사면 때에 따라서 400-500만원이면 구입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아무리 싸도 3800-3900달러라서 지금 환율로 따지면 차이가 커 한국서 항공권을 구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LA 여행사들에 따르면 최근 급격한 환율 변동에 항공권 구입을 어디서 해야하는지 고민하는 고객들이 적지 않다며 당분간 이어질 환율 변동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인 항공업계 관계자는 "정상적인 요금의 경우 한국 출발 요금이 전반적으로 비싼 편이지만 최근 환율이 1500원까지 올라 환차이로 인해 티켓 종류에 따라 틀리긴 해도 지금은 한국에서 출발하는 항공요금이 오히려 싼 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렇다고 모든 항공권이 다 싼 것은 아니다"라며 "미주 지역 항공권과 달리 한국 항공권에는 종류에 따라 각종 제약이 따르고 있어 그 조건들을 먼저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곽재민 기자
2008.11.28. 20:33
원.달러 환율이 이틀째 급등하면서 1500원을 다시 돌파했다. 21일(한국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9시34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14.00원 상승한 151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증시는 갈수록 악화되는 경제상황과 자동차 빅3의 생존여부에 관한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이틀째 폭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44.99포인트(5.6%) 하락한 7552.29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종합지수는 70.30포인트(5.07%) 내린 1316.12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54.14포인트(6.71%) 떨어진 752.44를 기록했다. 한편 이날 국제유가는 배럴당 50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2008.11.20. 21:26
다우 지수가 5년여 만에 8000선이 붕괴되는 등 19일 뉴욕증시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27.47포인트(5.07%) 급락한 7997.28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이달과 10월에도 장중 8000선이 무너진 적은 있지만 종가로 밑돈 것은 2003년 3월31일 이후 처음이다. 이날 증시는 제너럴모터스(GM) 등 자동차회사들의 도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폭락으로 이끌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이 뉴욕 증시 급락 여파로 폭등하면서 1500원을 넘보고 있다. 20일(한국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오전 9시19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35.50원 급등한 148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김현우 기자
2008.11.19. 21:18
원.달러 환율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2일(한국시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9시10분 현재 전날보다 달러당 26.1원 오른 1356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30.1원 급등한 1360.0원으로 거래를 시작했으나 수출업체의 달러매물이 나오면서 상승폭을 조금씩 줄이고 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기업들의 실적악화 우려로 국내외 증시가 급락세를 보인 영향으로 환율이 급등 개장했다고 전했다.
2008.11.11. 21:46
오렌지카운티에서 남편과 함께 수퍼마켓을 운영하는 이모(61·여)씨는 이달 초 귀국해 서울 서초동 친정에 머물고 있다. 친정과 가까운 곳에 있는 아파트나 고급 빌라를 사기 위해서다. 이씨는 “은퇴 후 한국에서 거주할 집을 사고 싶었는데 환율이 오르고 집값은 떨어진 지금이 적기인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원화 대비 달러와 엔화의 가치가 크게 상승하고 국내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국내 주택에 눈독을 들이는 해외 한인들이 늘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 입장에서 보면 요즘 서울 강남권 아파트값은 2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이다. 2006년 11월 시세에 비해 아파트 가격은 20~30%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은 2년 전 940원대에서 1320원대로 40% 올라서다. 예를 들어 한 교포가 2년 전 13억원짜리 국내 아파트를 샀다면 달러 기준으로 139만 달러를 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은 같은 집을 10억원, 달러 기준으로 하면 74만 달러에 살 수 있다. 도곡동 정수지 공인중개사는 “미국이나 일본에서 직접 전화를 걸어와 지금 급매물을 사는 게 좋은지 아니면 조금 더 기다리는 게 나은지 문의하는 교포가 최근 많아졌다”고 전했다. 분양 중인 아파트를 알아보기 위해 모델하우스에 전화하는 교포들도 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서울 강북에서 살다 미국으로 이민한 한인들 가운데 서울 뚝섬에 짓고 있는 주상복합에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더러 있다”고 말했다. 주택 분양 업체들은 해외 한인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에만 1500여 명의 부동산 중개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부동산전문업체 뉴스타그룹의 남문기 회장은 “서울·수도권 20여 개 주택사업지 관계자들로부터 미분양 물량을 해외 한인들에게 매각해 달라는 제안을 받았다”고 말했다. 금융권도 국내 부동산 투자자를 모으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이달 초 미국 동부지역 교민들을 대상으로 국내 부동산 투자 전망을 주제로 한국 투자설명회를 열었다. 신한은행도 지난달 말 미국·캐나다에서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아직은 ‘입질’ 정도로 해외 한인들이 실제로 국내 부동산을 매입한 사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압구정1동 주민센터의 주택거래신고 담당자도 “외국에 주소지를 둔 사람이 아파트를 샀다고 신고한 경우는 환율이 급등한 10월 이후 한 건도 없다”고 말했다. 서울=함종선 기자
2008.11.11.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