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말 현재는 많은 12학년생이 조기 전형(얼리디시전, 얼리액션)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시가다. 추수감사절 연휴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결과가 쏟아진다. 대부분 대학이 12월 중순(12월 15일 전후) ED 결과를 발표하고, EA는 12월 말~1월 말 사이에 나온다. 예를 들어 하버드·예일·프린스턴 등 아이비리그는 12월 중순이고 스탠퍼드·MIT 등은 비슷한 시기다. 합격이나 불합격이면 명확하지만, 최근 입시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결과가 바로 '디퍼(Deferral)'나 '웨이트리스트(Waitlist)'인 것이 현실이다. 특히 요즘처럼 지원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입시에는 디퍼 통보가 폭증하고 있다. 대학측의 '디퍼'란 "아직 결정 못 하겠으니 정기 전형 풀에서 다시 보겠다"는 의미로, 완전한 거부는 아니다. 실제로 많은 대학이 조기 지원자의 70~90%를 디퍼 처리하기도한다. 디퍼 통보를 받으면 실망스럽겠지만, 여기서 포기하면 안된다. 오히려 '두 번째 기회'로 삼아 적극적으로 대응하면 합격으로 뒤집을 수 있다. 대학 입시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조언하는 것이 있다. 1. 디퍼 레터부터 읽어보자: 실망스럽겠지만 먼저 감정을 추스르고, 대학 지침을 정확히 알아본다. (1) 대기 통보 이메일이나 포털을 꼼꼼히 읽어본다. 만약 "추가 자료 제출 금지"라고 명시된 일부 아이비리그 대학에는 절대 보내지 말자. 오히려 역효과 난다고 알려졌다. (2) 대부분 학교는 "관심 있으면 알려달라"고 알려온다. 바로 응답한다. "여전히 너희 학교가 첫 번째 선택이다(If admitted, I will attend)"라고 명확히 밝히는 게 핵심이다. 2. '지속 관심 편지(Letter of Continued Interest, LOCI)' 쓴다 (1) 디퍼 통보 후 1~2주 안에 300~500단어 정도로 간결하게 정리해 전달한다. (2) 내용은 감사 인사에 덧붙여 여전히 강한 관심을 표현한다. 또한 지원 후 새로 얻은 성과를 업데이트한다. 1학기 성적이 향상됐다나 새로운 수상기록, 리더십 활동 등이면 부드럽다. 아울러 '왜 이 학교가 딱 맞는지'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것도 요령이다. 예를 들어 새로 알게 된 프로그램·교수·캠퍼스 경험을 언급한다. ED라면 "합격 시 반드시 입학하겠다" 재확인한다. 3. 추가 자료는 질이 아닌 양으로 승부한다 (1) 새로운 추천서를 선생님께 부탁해서 마련하고, 중간 성적표,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등 가능하면 보낸다. (2) 캠퍼스 재방문이나 온라인 세션 참여 후 그 경험을 편지에 넣으면 진정성이 올라간다. 4. 동시에 정기전형 지원 서두른다: 현실은 디퍼학교를 넋놓고 기다릴 수 없다 (1) 디퍼 학교만 기다리지 말라. 1월 1일~15일 마감인 정기 전형에 안전학교·타겟학교를 추가로 넣는다. (2) 이미 합격한 학교가 있다면 그곳과 친밀하게 소통하며 마음의 안식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 실제 사례와 통계로 보는 현실 디퍼를 받은 후 합격률은 학교마다 다르지만, 보통 5~20% 정도로 본다. 경쟁이 치열한 예일·브라운 등 아이비리그는 대개 10% 미만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LOCI를 쓴 학생들은 확률이 2~3배 올라간다는 것이 입시 컨설턴트들의 공통 의견이다. 지난해 디퍼 후 결과가 뒤집힌 한인 학생 사례도 많다고 알려져 있다. 디퍼 통보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신호다. 지금이야말로 학부모가 자녀와 차분히 전략을 세울 때다. ▶LOCI 작성 요령 - 새롭고 의미 있는 업데이트만 포함한다. 예를 들어, 최근 수상이나 프로젝트를 통해 성장한 점을 보여준다. - 학교 맞춤형으로: 캠퍼스 방문이나 특정 교수·프로그램을 언급해 진정성을 더한다. - 긍정적·전문적으로: 실망감을 드러내지 말고, "두 번째 기회"로 감사를 전한다. - 형식: 이메일이나 포털 업로드 스타일로 1페이지 이내로 문법 오류 없게 검토한다. - 타이밍: 결과 통보 후 1~2주 내에 대학 지침을 따른다. ▶LOCI 피해야할 사항 - 기존 지원서 내용을 반복한다: "이미 아는 이야기"는 역효과가 난다. - 과도한 자랑이나 부정적 표현을 쓴다: 절박하게 보이지 않아야 한다. - 모든 대학에 똑같이 쓴다: 각 학교에 맞춰 다르게 써야 한다. - 대학이 "추가 자료 금지"라고 하면 보내지 말라.웨이트리스트 조기전형 대학 입시 조기 지원자 캠퍼스 재방문
2025.11.23. 19:30
거의 모든 대학이 3월 말 또는 4월 초에 합격자 명단을 발표하기 때문에 4월은 누군가에게는 잔인한 4월달이 될 것이며 만약 자신이 원하는 대학으로부터 웨이트리스트를 받았다면 당장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당황하는 상황을 맞이하기도 한다. 대기자 명단이란 간단한 정의는 합격을 받은 상태도 아니며, 그렇다고 불합격이나 리젝트가 된 것도 아닌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해당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입학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기다려 달라는 의미다. 자녀가 대기자 명단에 올랐다면 주위에서 많은 분들이 합격 가능성이 없다고들 말한다. 그래서 간혹 마지막까지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남가주에 있는 명문 대학인 스탠퍼드 대학의 2023년 학생의 경우(2027 졸업 연도) 총 607명이 대기자 명단 통보를 받았고 이 중 506명이 계속해서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겠다고 대학에 통보했다. 그 결과 76명이 대기자 명단에서 추가 합격을 했다. 이는 총 15.02%의 합격률을 나타내 실제 스탠퍼드 대학의 합격률보다 훨씬 높은 결과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물론 대학들이 매년 이렇게 높은 대기자 명단의 합격률을 보이진 않는다. 스탠퍼드 대학은 2022년 경우는(2026 졸업 연도) 총 553명 이 대기자 명단을 통보받았고 총 457명이 지속해서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여기서 최종 8명이 합격하여 1.75%의 낮은 합격률을 보였기 때문에 조금씩 결과는 해마다 다르지만, 마지막까지 기회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UC의 대기자 명단 학생이 대기자 명단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4월 15일까지 양식을 사용,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이후는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학생이 두 군데 이상의 UC 대학에서 웨이트리스트를 받을 수 있으며 대기자 명단에 올라와 있다고 해서 합격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마감일 전에 다른 대학의 제안을 수락하는 것이 더 현명할 수 있겠다. 학생의 추가 업적, 성취물, 성적 향상 등 새로운 업데이트에 대한 것은 접수되지 않으나 그러나 대기자 명단에 올랐을 때는 추가 접수할 수 있는 면들이 있다. 학생이 대기자 명단을 수락할 때 My Application Status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할 수 있다. https://bruins.admission.ucla.edu/myApplication/Login.aspx ▶대기자 명단에 대해 알아야 할 것 1. 학생이 지원한 대학으로부터 대기자 명단에 올라왔다는 편지를 보낸 입학 사정관의 연락처에만 이메일을 보내야 한다. 막상 이런 상황일 때 정확히 어디로 연락해야 할지 몰라서 많은 부서 중 해당 사항이 없는 부서에 연락할 수도 있는데 꼭 학생에게 이메일을 보냈던 이메일 주소로 연락한다. 2. 500자 안에 간단한 문장 쓰기= 학생이 여전히 대기자 명단을 수락하고 이 대학을 선택할 마음이 있다면 3~4문단 정도의 간단명료한 이메일을 작성해야 하며 매우 진정성 있는 이메일 즉 또 다른 하나의 에세이라고 생각하고 정성 들여 써 보낸다. 이때 해당 대학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보여야 하며 왜 이 대학이어야 하는지를 쓰면 좋겠다. 3. 대학에 따라선 다음 학기 즉 봄 학기 입학을 허용하는 경우 또는 다음 연도에 합격할 기회를 주는 대학도 있다. 이런 경우도 자신이 관심 있는 것을 표하면 좋겠다. 보통 12학년들은 12월 말 혹은 1월 초까지 지원할 대학의 지원을 끝내고 나면 모든 것을 중단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신이 관심 있는 전공 분야의 대회나 리서치 등을 계속해서 해왔고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면 이렇게 대기자 명단에 올랐을 때 기회가 다시 한 번 주어질 것이다. 자신이 계속해서 발전한 결과는 대기가 명단에서 최종 합격을 기대해 볼 만도 하며 가장 큰 대기자 명단에서의 합격 수혜자가 될 것이다. ▶문의: (323)933-0909 www.Thebostoneducation.com 수 변 원장 / 보스턴 에듀케이션에듀 포스팅 웨이트리스트 성적향상 합격자 명단 대기자 명단 스탠퍼드 대학
2024.03.31.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