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훔친 체크 위조 사기 활개…건수 전년 대비 400% 급증

체크를 위조한 사기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서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허점을 이용한 ‘공돈’ 얻는 법이 화제가 되는 가운데 이런 행위가 체크 사기라는 게 밝혀져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9월 4일자 중앙경제 1면〉   재무부 산하 특별기구인 금융범죄법집행네트워크(FinCen)에 따르면 지난해 체크 사기 건수는 전년 대비 400%가 증가했다. 기관 측은 800개 이상 금융기관이 체크 사기를 보고 했으며 규모는 6억88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체크 사기가 SNS에서 공유되는 ‘꿀팁’을 넘어서 조직적으로 벌어지는 범죄로 진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른바 ‘체크 워싱’이라고 불리는 이 사기 수법은 수표를 훔쳐 위조한 뒤 계좌에 넣고 바로 돈을 인출하는 것이다. 은행에서 체크가 완전히 클리어되기 전까지 일부 금액을 인출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악용한다. 수표가 입금된 은행은 수표발행처에 연락해서 송금을 요구하는데 대부분의 체크 워싱은 이 과정에서 사기임이 드러난다. 하지만 위조 체크임이 드러나는 것은 최소 7일에서 최장 60일이 지난 다음이기 때문에 이미 돈의 일부가 출금된 후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문제는 체크 위조가 너무 쉽다는 점이다. 범죄자들은 주택가의 메일 박스에서 배달 온 체크를 훔친다. 이후 체크에 쓰인 금액이나 수령자 정보 등을 아세톤과 같은 화학물질로 지우고 새롭게 인쇄해 넣는다. 복잡한 기술이나 장비가 없어도 순식간에 위조 체크를 만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종이에 인쇄된 체크 자체가 위조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체크 사기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WSJ는 텔레그램 등의 암호화된 메신저에서 범죄자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기꾼들이 모인 대화방에서는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웰스파고 등 대형은행 중 어떤 곳이 취약한지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체크 워싱을 성공한 사례도 올라온다.     체크 입금 후 출금이 가능한 액수를 줄이고 일부 계좌에 대해서는 동결에 들어가는 등 금융기관도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다. 금융사기 방지 어드바이저로 활동하고 있는 브렛 존슨은 “사기꾼들은 범죄방식에 대해서 정보를 아주 빠르게 공유한다”며 “금융기관은 서로 정보 공유가 잘 안 되기 때문에 대응이 느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체크 사용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사기 예방법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개인 간 거래는 체크보다는 은행 앱을 이용해 전자 송금을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는 것이다. 조원희 기자위조 사기 금융사기 방지 체크 사기 사기 수법

2024.12.22. 19:00

1억5000만불 우표 위조 중국계 일당 검찰에 적발

소포 배송 업체를 운영하면서 위조 우표를 이용해 사업을 해온 중국계 일당이 연방 검찰에 적발됐다.   연방검찰가주중부지검은 샌게이브리얼 지역 리후안 앤젤라 첸(51)이 위조 우표 사용, 사기 혐의 등으로 유죄를 인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첸은 지난 2019년 11월~2023년 5월까지 공범인 추한 후(51)와 함께 인더스트리 시에서 소포 배송 업체를 운영하면서 중국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연방검찰에 따르면 첸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짜 우표를 제작했다. 이후 위조 우표를 통해 배송 비용을 절감하려 했고 그 액수는 약 1억5000만 달러에 달한다.     연방검찰 시에란 멕보이 공보관은 “이들은 진짜 우표처럼 보이게 하려고 접착 용지에 우표를 인쇄하는 ‘넷스템프’ 방식을 이용했다”며 “이후 후는 중국으로 도주했고 첸은 미국에서 물류 창고를 관리했다”고 말했다.   첸의 형량 공판은 오는 8월 2일에 진행된다. 유죄 판결이 내려지면 첸은 최대 5년 형을 선고받게 된다.   한편, 본지는 최근 LA지역에서도 위조 우표가 유통되고 있다는 제보를 입수, 최근 우편 절도 등을 전담하는 우편검열국(USPIS) 롱비치 현장사무소 크리스 시우리스 수사관을 인터뷰한 바 있다. 〈본지 4월4일자 A-1면〉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중국 위조 위조 우표가 덜미연방검찰 기소 가짜 우표

2024.04.29. 20:02

출생신고 위조해 고교 입학…29세 뉴저지 한인여성 기소

뉴저지 거주 20대 한인 여성이 출생 신고를 위조해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발각됐다.   신혜정(29)으로 밝혀진 이 여성은 뉴브런즈윅 고등학교에 허위 서류를 제출 뒤 나흘 동안 고등학생 행세를 하고 다닌 것으로 밝혔다.     뉴브런즈윅 경찰에 따르면 신씨는 고등학교를 입학할 목적으로 지난주 뉴브런즈윅 교육국에 출생 신고서를 위조해 제출했다.     이로 인해 신씨는 허위 정부 문서 제공 혐의로 지난 24일 기소됐다.     뉴저지 주법에 따르면 학생들은 입학 접수 직후 학교에 다닐 수 있으며 30일 동안 신원 조사가 들어간다. 오브리 존슨 뉴브런즈윅 공립학교 감독관은 “신씨의 신분 조사 과정에서 문서가 위조됐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 여성은 현재 뉴브런즈윅 고등학교에 출입금지 된 상태”며 “모든 학교에 즉각 통보 조치를 했다”고 전했다.   뉴브런즈윅 교육국은 이번 사건을 통해 입학 등록 절차를 더 꼼꼼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출생증명 위조 한인 여성 고교 입학 뉴브런즈윅 고등학교

2023.01.25. 20:24

"100달러 위조 지폐 조심하세요"

오렌지카운티 한인 업소들에서 100달러 위조 지폐(이하 위폐)가 잇따라 발견됐다.   어바인과 부에나파크에서 5개 식당을 운영 중인 앤디 김씨는 최근 두 지역 식당에서 여러 차례 액면가 100달러 위폐가 발견됐다며 업소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김씨가 어바인 식당에서 발견된 것이라며 보여준 100달러짜리 위폐는 오래된 지폐처럼 낡고 지저분하다는 점을 빼면 육안으로 이상한 점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심지어 위조 방지를 위한 워터마크도 진짜 지폐와 같은 위치에 있었다.   다만 한 가지, 진짜 지폐와 다른 점은 크기다. 진짜 지폐보다 약간 작다. 얼핏 봐선 알 수 없지만, 진짜 돈과 겹쳐 놓고 비교하면 작다는 사실을 확연히 구분할 수 있다.   김씨는 “바쁜 저녁 시간에 100달러 지폐를 받으면 직원들이 워터마크를 확인하는 정도에서 그치기 때문에 이 점을 이용한 것 같다. 진짜 100달러 지폐와 겹쳐볼 생각을 누가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진짜 지폐와 크기가 다르다는 것은 이 위폐가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란 점을 뜻한다. 경찰에 따르면 최근 위폐는 종이 대신 오래 된 5달러 지폐를 탈색한 뒤, 그 위에 100달러 지폐를 프린트해 만들기도 한다. 종이에 프린트한 위폐는 위폐 식별 펜을 사용하면 쉽게 가짜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달러 지폐는 1달러, 5달러, 10달러, 20달러, 50달러, 100달러 모두 가로 6.14 인치, 2.61인치로 규격이 같다.   김씨는 “어바인에선 두 달에 1~2회, 부에나파크에선 매달 1~2회 정도 위조 지폐가 발견되고 있다. 다른 한인 식당, 소매 업소가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어 제보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위폐를 받았을 경우 은행에 신고하면 세금보고 시 공제를 받을 수 있다. 한 한인 은행 관계자는 위폐 발견 이후 은행의 처리 규정에 관해 “위폐에 ‘위조’ 스탬프를 찍은 뒤 이를 폐기 목적으로 보관한다. 또 연방재무부 산하 기관인 시크릿 서비스에 각 지점별로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위폐를 신고한 업주가 요청하면 은행 측은 세금보고 시 공제를 위해 위폐 사본을 발급해준다.   임상환 기자위조 지폐 위조 지폐

2021.10.28. 18:4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