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행복통신문] 밥 한 그릇의 기적
한인가정상담소(KFAM)의 2025년은 그 어느 때보다도 혼란스럽고, 정신없고, 바쁜 시기였다. 일상의 어려움 속에서도, KFAM의 모든 팀원들은 9월6일 토요일에 열리는 제42회 기념 갈라 준비에 에너지를 쏟았다. 이 행사는 단순한 모금 행사를 넘어선 깊은 의미를 지닌다. 올해 행사인 ‘동화책 갈라’의 초점은 KFAM의 입양 및 위탁 가정 이니셔티브(AFFI) 프로그램의 핵심에 맞춰졌다. KFAM은 모든 아이가 동화처럼 인생에서 행복한 결말을 맞이할 자격이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현실은, 사회 복지 시스템 내의 수많은 아태계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문화적으로 익숙한 가정이 여전히 안타깝게도 요원했다. 매일 LA에서만 약 400~600명의 아태계 아동이 사회복지 시스템 내에서 필사적으로 가정을 기다리고 있다. 그중 약 40~60명이 한인 아동이지만, 한국어를 구사하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위탁 가정의 수는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위탁 가정의 따뜻한 마음과 선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이 아이들은 종종 가장 기본적인 문화적, 언어적,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가정에 배치되었다. KFAM에 오는 대부분의 아이들은 0~5세 사이였다. 이 어린 나이에 그들의 첫 언어는 한국어였고, 흰 쌀밥, 국, 반찬 등 한국 음식을 먹으며 자랐다. 이것들은 그들에게 편안함을 주고 안전함을 느끼게 하는 맛, 냄새, 그리고 언어다. 2014년 AFFI를 통해 처음 배치했던 아이를 잊을 수 없다. 그는 시스템에 들어왔을 때 두려워하고 혼란스러워 했으며, 배치된 가족들과 소통할 수 없었던 어린 소년이었다. 한인 위탁 가정을 찾기 전, 그는 라틴계 가정, 흑인 가정, 그리고 백인 가정으로 옮겨다녔다. 각 가정은 그를 사랑하고, 먹이고, 돌보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그들이 줄 수 없었던 한 가지는 소속감이었다. 그가 한인 위탁 가정에 맡겨졌을 때, 그는 완전히 말을 멈췄었다. 밥도 먹지 않았다. 아이의 정신은 사례 기록으로는 도저히 포착할 수 없는 방식으로 시들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그의 새로운 위탁모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흰 쌀밥 한 그릇, 김치찌개, 그리고 김을 포함한 반찬 등 소박한 식사를 그의 앞에 놓았을 때, 무언가가 변했다. 음식을 앞에 둔 아이는 고향의 한 조각을 알아보고, 먹기 시작했다. 그는 밥 한 그릇을 게걸스럽게 먹고, 또 한 그릇, 그리고 또 한 그릇을 먹었다. 그날 밤 그는 세 그릇의 밥과 셀 수 없이 많은 김을 먹었다. 그리고 몇 주 만에 처음으로 그는 입을 열었다. “밥이랑 김이 제일 맛있어요.” 그 순간은 오늘날까지도 나에게 남아있다. 그것은 문화가 부수적인 것이 아님을, 세상에 홀로 남겨진 아이에게 생명줄과 같다는 것을 우리 모두에게 상기시켜 주었다고 생각한다. 밥 한 그릇, 익숙한 김치 맛, 자신의 언어를 듣는 편안함, 이것들은 어쩌면 작은 것들이지만, 위기에 처한 아이에게는 모든 것이었다. 올해 동화책 갈라를 위해 함께 모이면서, 나는 우리 공동체가 우리 아이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행복한 결말을 주기 위해 우리 각자가 해야 할 역할이 있다는 것을 목격하길 희망한다. 왜냐하면 어떤 아이의 인생 이야기도 그들을 집으로 안내하고 소속감을 느끼게 할 자신의 문화와 공동체의 따뜻함 없이는 쓰여져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캐서린 염 / 한인가정상담소 소장가정 행복통신문 기적 위탁 가정의 사회복지 시스템 문화적 언어적
2025.07.15.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