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냉동 유기농 딸기 리콜...A형 감염 원인 가능

트레이더조, 코스트코, 알디 등에서 판매하는 다수의 냉동 유기농 딸기 제품이 A형 간염 발병과 연관됐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어 식품의약국(FDA)이 리콜 조치를 내리고 현재 사건을 조사 중이다.       FDA 홈페이지에 업데이트된 내용에 따르면 CDC(질병통제예방센터)가 A형 간염이 발병된 환자 5명의 역학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 5명 모두 아프기 전 냉동 유기농 딸기를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FDA에 의하면 이들이 먹은 제품의 딸기 공급업체는 2022년 멕시코의 바하 칼리포르니아 지역의 특정 농장에서 수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FDA는 홈페이지를 통해 "올해 질병을 일으키는 A형 간염 바이러스 변종은 2022년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킨 변종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며, 바하 칼리포르니아에서 수입한 유기농 딸기와 연관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FDA는 리콜된 제품을 갖고 있는 소비자는 가능한 한 빨리 딸기를 반품하거나 폐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A형 간염은 보통 오염된 제품을 섭취한 후 15~50일 이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피로, 메스꺼움, 구토,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FDA는 특정 브랜드의 특정 시기에 만들어진 제품을 리콜하고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bit.ly/42CaiLq 윤지아 기자원인일수 유기농 유기농 딸기 냉동 유기농 딸기 공급업체

2023.03.23. 14:18

썸네일

유기농 딸기 연관 A형 간염 발병…가주 등서 17건

대형 그로서리 마켓에서 판매된 유기농 딸기가 여러 주에서 발생한 A형 간염 발병 원인으로 지목돼 식품의약국(FDA)이 조사에 나섰다.   패치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FDA 조사 결과 지난 3월 5일부터 4월 25일 사이에 유통된 Fresh Kampo, H-E-B 상표의 딸기와 A형 간염 발생 간의 잠재적 연관성이 확인됐다.   지금까지 딸기와 관련해 가주 15건, 미네소타와 노스 다코타에서 각각 1건씩 A형 간염 발병이 보고됐으며 환자들은 발병하기 전 이들 상표의 딸기를 구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3월 28일부터 4월 30일 사이에 발병했으며 12건이 입원 사례로 사망자는 없다.   해당 딸기가 유통된 매장은 알디, H-E-B, 크로거, 세이프웨이, 스프라우츠, 트래이더조, 월마트, 웨이스마켓, 윈코푸드다.     FDA는 지난 2주간 해당 딸기를 먹고 A형 간염 예방주사를 맞지 않았을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할 것과 해당 날짜 사이에 딸기를 구매해 냉장 보관하고 있는 경우 반드시 폐기할 것을 당부했다. 박낙희 기자유기농 딸기 유기농 딸기 해당 딸기 잠재적 연관성

2022.05.30. 21: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