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시가 쓰레기 수거 수수료를 54%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NBC4뉴스는 시 당국이 현재 월 36.32달러인 수거 수수료를 55.94달러로 올리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9일 보도했다. 인상안이 통과되면 2025-26 회계연도부터 적용된다. 이후 4년간 추가로 18% 인상돼 2029-30 회계연도에는 65.93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현재 쓰레기 수거 요금은 단독 주택 기준 월 36.32달러, 다가구 주택 기준 월 24.33달러이다. 이번 인상안은 모두 적용된다. LA위생환경국(LASAN)은 “지난 2008년 이후 수거 수수료가 한 차례도 오르지 않았다”며 “물가 상승과 인건비, 차량 및 장비 유지비, 일반 운영비 증가로 수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2025년까지 유기성 폐기물 75% 매립지 감축을 주요 골자로 한 주법 ‘SB 1383’ 준수하기 위한 ‘유기물 재활용 프로그램’의 비용도 상향 조정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 프로그램은 음식물 찌꺼기와 폐지 등을 분리 수거해 유기물의 매립지 반입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현재 하루 평균 1610톤의 유기성 쓰레기가 수거되고 있으며, 연간 운영비는 약 6600만 달러에 달한다. 약 74만3000 가구와 대형 폐기물 수거 서비스를 받는 47만3000가구가 수수료 인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LA시의회 산하 두 개 위원회가 9일 특별회의를 열어 해당 안건을 논의했다. 최종 승인까지는 두 차례의 공청회와 추가 심의가 필요하다. 강한길 기자쓰레기 수수료 수거 수수료 인상 la시가 인상안 검토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매립지 유기물
2025.04.09. 20:22
유기반도체 재료 및 응용 개발회사 ㈜클랩 (대표 : 김성호)은 유기물반도체 Brand Identity로 “FLEXERA”를 새롭게 발표했다. “FLEXERA”는 FLEX (유기물반도체의 응용 특성을 대표하는 Flexible)와 ERA (다른 시대들과 구별되는 의미)를 결합한 명칭으로, 혁신적인 유기물반도체의 시대를 이끌어가는 ㈜클랩 (CLAP)의 비전과 포부를 의미한다. Identity design으로 Flexible과 무한대를 Motif로 하여, ‘X’ 이니셜을 강조하고 빛의 3원색 컬러를 적용, 세계로 뻗어나가는 무한확장 개념을 상징화하였다.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되는 클랩의 유기물 반도체 박막 기판 (OTFT : Organic Thin Film Transistor)은 휴대폰용 대면적 필름 지문 센서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구성 기판인 백플레인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기물반도체 박막 기판으로 개발된 백플레인을 사용해 플렉서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 국책과제외에 국내외 기업 및 대학교, 연구기관들과 Open Innovation 협업 과제를 적극적으로 전개중에 있다. 주식회사 클랩은 국내 식품포장 1위 기업 크린랲의 투자를 받아 유기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3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핵심 인력으로 설립된 유기반도체 재료 및 응용 개발 R&D 기업이다. 유기물 반도체, 광배향 액정 소재·기술 등에서 700여개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관련 응용사업을 진행중이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전문기업’으로 인증받았으며, 보유 중인 유기물반도체 등의 기술을 인정받아 ‘아기유니콘200 육성사업’에도 선정되었다. 8월 10일에 열린 K-Display 2022 정보디스플레이대상에서 산자부장관상도 “CLAP OTFT FoD (Fingerprint on Display)” 기술로 수상하였다. 이동희 기자 ([email protected])주식회사 유기물 유기물반도체 박막 유기물반도체 brand 유기물 반도체
2022.08.09. 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