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더 잦아진 기상이변, ‘유사 증폭 공명’ 때문

워싱턴 지역에서만 최근 한달 사이 폭우와 폭염 등으로 30명 이상이 사망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최근의 기상이변이 ‘유사 증폭 공명’(QRA, quasi-resonant amplification)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기상학자들은 이번 여름에 100년, 10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준의 폭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말한다. 마이클 만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원래 '1000년에 한 번'은 지구 온난화가 없을 때 발생할 확률을 얘기한다”며 “지구 온난화 때문에 이러한 사건들이 훨씬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밝혔다.     만 교수는  대기 진폭이 크게 증가하는 QRA 현상이 폭우 예측을 어렵게 만든다고 말했다. 대기 상층부의 제트 기류에 QRA가 발생하면 폭우가 몇 주 넘게 장기화할 수 있다. 만 교수는 “20세기 중반 이후 여름철 이런 기상 패턴 발생률이 3배 넘게 늘었다”면서 “이로인해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매우 낮춘다”고 밝혔다.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게재된 만 교수의 논문에 의하면, 북극의 온난화가 제트기류를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폭염과 홍수, 가뭄과 같은 재난이 여름철 반복적으로 장기화되고 있다. 950년대 여름철 평균 1회 수준이던 QRA 발생 빈도가 현재는 연평균 3회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이 현상으로 최근 워싱턴 지역의 폭염과 홍수 사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QRA는 제트기류의 ‘물결’ 같은 흐름을 의미하며, 자연스럽게 나타나지만 어떤 조건에서는 그 흐름이 멈춰 특정 지역에 장기간 고정되는 ‘증폭’ 현상이 발생한다. 만 교수는 최근 날씨 예보가 자주 틀리는 이유 중에 하나로도 QRA를 지적했다.     현재의 워싱턴지역 기후 예측에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모델 대부분이 QRA 현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날씨 예보보다 더 많은 폭염과 홍수, 가뭄이 발생하는 이유는 시뮬레이션들이 QRA를 전혀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기상이변 유사 유사 증폭 워싱턴지역 기후 폭염과 홍수

2025.07.21. 12:0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