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이 많았는데 이제 홀가분합니다(I came in heavy, but now I am in light).” 환자의 아들이 ‘완화치료 상담(Palliative Care Meeting)’을 마친 뒤 한 말이다. 정원 일을 하다가 갑자기 뇌출혈로 쓰러진 어머니가 뇌사에 빠졌다. 지난 5일 동안 병상에 누워있는 어머니를 지켜보면서 그가 경험한 시간은 절망과 좌절, 무기력과 혼돈의 절정이었다. 82세의 모친은 고혈압 말고는 건강한 편으로 교회와 지역 사회에 많은 봉사활동을 하며 정원 가꾸기가 취미였다고 한다. 사고가 난 그날 오전에도 정원에 새로 사 온 모종을 심다가 심한 두통을 호소하며 집 안으로 들어왔다. 소파에 앉자마자 구토하면서 쓰러졌다. 앰뷸런스에 실려 응급실에 도착, 바로 인공호흡기를 꽂고 CT Scan을 해보니 뇌의 3곳에 심한 출혈이 있었다. 조속하게 응급처치했으나 환자는 이미 의식을 잃고 동공은 풀렸으며 팔다리 경직 증세도 보였다.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호흡과 맥박도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생명이 위독한 응급상황이 되었다. 거의 뇌사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오직 한 가지 살아있는 증후로는 자가 호흡이 2~5번 정도 있었다. 의사는 가족에게 환자의 회복 가능성이 아주 희박하다고 언질을 주었다. 환자는 남편과 아들, 딸을 두고 있다. 가족 간의 사랑이 넘치고 화목함을 첫눈에 알아차릴 수 있었다. 중환자실에서 일하다 보면 정말 다양한 질병만큼이나 다양한 가족관계(family dynamic)를 경험하게 된다. 상상을 넘어서는 아름다운 관계부터 비인간적인 냉혈한 행위들도 쉽게 만난다. 하루하루 평화롭게 일상을 이어가던 가족에게 이 환자와 같은 갑작스러운 사고는 가족을 엄청난 충격에 빠뜨린다. 가족 멤버 셋은 입원 당시부터 지금까지 5일 동안 줄 곳 환자 곁에 머물렀다. 5일 동안 환자 상태가 호전을 보이지 않자, 의사는 완화 치료 상담을 주선했다. 간호사들은 다른 환자도 돌보아야 하므로 참석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데 웬일인지 이번에는 꼭 참석하고 싶었다. 미팅은 한 시간을 훌쩍 넘었다. 먼저 의사는 가족 일원 개개인에게 그들이 현재 상황을 어떻게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물었다. 참 우연이지만 환자 가족은 모두 고등학교 교사다. 환자와 환자 남편은 은퇴했지만 아들과 딸은 현역이다. 환자는 평소에 자상하고 너그럽고 베푸는 타입이어서 많은 사람한테 사랑을 받고 있다고 한다. 지난 며칠 동안 환자를 방문한 수십 명의 지인만 보아도 그녀가 얼마나 많은 사람한테 사랑을 받고 있는지 충분히 알 수 있었다. 그녀의 집은 항상 열려 있었고 지역 사회 모임에 중요하고 어려운 일을 도맡아 많은 이들로부터 존경을 받아 왔다고 한다.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요즘처럼 화창한 날씨, 뺨을 어루만지는 달콤한 바람, 손에 들어온 맛있는 음식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사람과의 교류를 진심으로 즐겨왔다고 딸이 울먹이며 전한다. 환자는 회생 가망성 없는 생명을 기계에 의존하며 생명을 연장하고 싶지 않다고 분명히 유서에 명시해 놓았다. 가족은 한결같이 이성적으로는 환자의 뜻을 존중해야 함을 알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이 생명 장치를 제거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결정인지 한없이 밀려오는 죄책감으로 신음하고 있었다. 의사는 치료책이 없는 지금은 증상 완화 방법으로 진통제, 안정제, 가래 말리는 약 등을 처방해 놓겠다고 설명한 후 미팅을 마쳤다. 그때 환자 아들이 “I came in heavy, but now I am in light”하며 긴장을 풀었다. 함께한 우리는 무거웠지만 가볍게, 서로 깊은 포옹을 했다. 정명숙 / 중환자실 간호사이아침에 죄책감 유서 환자 가족 가족 일원 가족 멤버
2025.08.26. 20:11
둘루스·스와니 인접한 도시 한인상권 가깝고 교통 편리 ‘귀넷과기고’는 전국적 명성 ■ 개요 로렌스빌은 한인들의 보금자리인 귀넷카운티의 행정 수도다. 1821년 출범한 로렌스빌은귀넷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며,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에서도 두 번째로 오래된 도시다. 이 도시 이름은 미영전쟁의 영웅인 제임스 로렌스 제독에서 비롯됐다. 로렌스빌에는 귀넷카운티 정부가 있고 다운타운에는 지어진 지 130년이 넘은 법원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현재 사적지로 지정됐다. ■ 교통 로렌스빌 면적은 13.1스퀘어마일(34㎢)이다. 애틀랜타에서 북쪽으로 I-85를 타고 35마일 정도 올라가면 로렌스빌이 있다. 둘루스, 스와니와 인접해 한인 상권과도 가깝다. 애틀랜타와 조지아대(UGA)를 연결하는 GA-316(일명 316번 도로)이 지나가 교통이 편리하다. 또 귀넷텍이나 조지아 귀넷칼리지 등의 대학으로 등교 또는 출퇴근하는 한인들이 선호하는 지역이다. 또한 한인들에게 일명 ‘처치로드’로 불리는 GA-120, 스넬빌을 연결하는 GA-124(시닉 하이웨이) 등이 관통한다. 로렌스빌에는 귀넷 카운티의 유일한 공항인 브리스코 공항이 있다. 자가용비행기 위주로 낮에만 운영하지만 가끔 상업용 비행기가 오가기도 한다. ■ 인구와 소득 로렌스빌 인구는 2022년 기준 3만4281명으로 추산된다. 2010년 당시 2만8546명의 인구를 기록한 인구조사 이후 20.1%가 늘었다. 인구의 42.4%가 백인, 37.6%가 흑인, 6.1%가 아시안이다. 기타 인종은 9.7%다. 주민 중간 연령은 33.2세로 전국 중간 연령(39.1세)보다 한참 젊은 도시다. 주민의 23.1%가 학사 이상의 학위를 갖고 있다. 주민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6만6644달러이며 빈곤율은 20.1%로 높은 편이다. ■ 주택 가격 부동산 정보사이트 ‘리얼터닷컴’에 따르면 2022년 3월 기준 로렌스빌의 주택 중간 가격은 37만5000달러다. 스퀘어피트당 가격은 167달러다. 지난 1년간 주택 가격은 29.4% 상승했다. 지난 3월 기준으로 로렌스빌 주택은 평균 호가보다 3.12% 높은 가격에 팔렸다. 이는 다른 타운들에 비해 저렴한 주택 가격과 양호한 학군을 갖추고 있어, 구매 가능한 주택보다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학군 로렌스빌은귀넷 카운티 교육구 소속으로 19개 공립학교가 우수한 학교 평점을 보유하고 있다. 로렌스빌에 있는 귀넷수학과학기술고(귀넷과기고)는 조지아 뿐 아니라 미국 내에서도 손꼽히는 명문고다. 2009년에 설립된 이 학교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2022년 US 뉴스 앤 월드 리포드 선정 전국 최우수 고등학교 9위, 조지아 최우수 고등학교 1위로 선정됐다. 귀넷과기고는 차터스쿨로 학생들의 학비 부담이 전혀 없는 공립학교이면서도 사립학교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학교는 교육청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운영돼 한인 학부모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귀넷 테크니컬 칼리지(일명 귀넷텍)와 조지아 귀넷 칼리지 등 2개 대학이 위치해 있다. 귀넷 테크니컬 칼리지는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로 최근 귀넷 카운티와 주변 지역 최첨단 교육 및 시설을 위해 여러 비즈니스 업계와 협력 중이다. 실제 일자리를 위한 실무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저렴한 학비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조지아 귀넷 칼리지는 2006년에 개교한 4년제 대학이다. 개교당시 118명의 학생으로 출발했지만 2019년에는 1만2000명 이상 학생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현재 7000여명 학생이 재학중이며 500여명 교수가 40여개 전공을 강의한다. ■ 기타 로렌스빌은귀넷 카운티의 정치와 행정 중심지이다. 로렌스빌 다운타운에는 법원이, 316도로에는귀넷 셰리프국과 구치소가 있다. 애틀랜타브레이브스의마이너리그 팀인귀넷 브레이브스의 홈구장 ‘쿨레이필드’가 있어 야구팬들이 즐겨 찾는다. 〈보충·정리=김태은 인턴기자〉 김태은 인턴기자로렌스빌 유서 로렌스빌 인구 기준 로렌스빌 로렌스빌 면적
2022.05.13. 13:58
온몸이 미소다 34년의 호흡 마지막으로 응축된 미소가 살갗을 뚫고 방안을 두둥실 난다 방안에 모인 모두, 취하고 창틈으로 방문한 별빛이 그녀 싣고 우주로 간다 끊임없는 유혹과 싸우며 선택의 여지에서 흔들렸던 세월 한때는 세상이 그녀 아래 있었지만 이제 세상이 그녀 위에 우뚝하다. 그는 그녀로 가득하고 어린 두 딸은 더듬거리고 속울음이 고인다 피우지 못한 꽃 밀랍 된 씨방 바람 되어 하늘 난다 긴 사다리 내려놓고 기다리겠다는 그녀의 미소 온몸이 자석이다 정명숙 / 시인·롱아일랜드글마당 유서
2021.11.19.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