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이재명 대통령 오늘 유엔총회 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유엔총회 참석차 3박5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23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민주 대한민국'의 복귀를 선언하고 한반도 정책 등 한국 정부의 외교 비전을 밝힐 계획이다. 22일 이 대통령은 방미 첫 일정으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인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 의장을 접견했다.    [연합뉴스]유엔총회 이재명 유엔총회 기조연설 이재명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

2025.09.22. 20:16

썸네일

바이든, 유엔 연설서 북한 미사일 도발 규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을 규탄하고, 외교적인 방법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장기화하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불법적 침략 전쟁'으로 재차 규정하는 한편,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개혁 필요성도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9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된 유엔총회 연설에서 "우리는 북한이 안보리 결의 위반을 이어가는 것을 규탄한다"며 "그러나 우리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외교를 약속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이어진 두 차례 유엔 연설에서 북한의 안보 저해 행위를 잇달아 규탄한 바 있다.     이란, 러시아의 안보 위협도 비판했다. 그는 "미국은 파트너들과 함께 이란의 역내 및 국제 안보 저해 행위를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란이 핵무기를 소지할 수 없다는 우리의 약속은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평화를 위한 이 모임이 전쟁의 그림자로 얼룩지고 있다"고 밝히고, "러시아만이 이 전쟁에 책임이 있고 전쟁을 끝낼 힘을 가지고 있다"며 러시아에 즉각적인 철군을 요구했다.   중국과 관련해선 바이든 대통령은 경쟁을 추구하되 갈등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안보리를 포함해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확대를 촉구했는데, 이는 중국을 비롯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북한 미사일 유엔총회 연설 유엔 연설 미사일 도발

2023.09.19. 21:4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