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조지아서 별세한 김재은 지사 유해 고국 품으로

지난 2019년 조지아주에서 향년 97세로 별세한 독립유공자 김재은 지사의 유해가 고국으로 봉환된다. 추모식은 10일 일요일 오후 4시 아틀란타 연합장로교회 비전홀에서 열린다.     국가보훈부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외국에 안장된 김재은(2002년 애족장), 문양목(1995년 독립장), 임창모(2019년 애족장), 김기주(1990년 애족장), 한응규(1990년 애족장), 김덕윤(1990년 애족장) 등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한다고 7일(한국시간) 밝혔다.     보훈부는 이들 독립유공자의 유해 봉환을 위해 봉환반을 편성, 오는 8일과 9일 현지로 파견한다. 봉환반은 유족들과 함께 현지 공관과 한인 단체 등에서 주관하는 추모식에 정부대표로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까지 직접 찾아가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유족과 협의를 거쳐 이뤄지게 됐다고 보훈부는 전했다. 각 유공자의 현지 추모식이 끝나면 유해 봉환반은 유족들과 함께 입국해 12일 오후 7시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유해 영접식을 개최한다. 이후 13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유해 봉환식을 거행하고, 오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할 계획이다.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봉환 사업은 1946년 백범 김구 선생이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의사 등 의열사에 대한 유해봉환을 시작으로 올해 문양목 지사 등 모두 155위의 유해가 봉환됐다.     ▶문의[email protected] 윤지아 기자김재은 추모식 유해 봉환식 유해봉환 사업 유해 봉환반

2025.08.07. 15:04

썸네일

황기환 지사 고국 가는 길 열렸다

인기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유진 초이’ 역의 실존 인물인 황기환 애국지사가 1923년 4월 17일 순국한 지 100년 만에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간다.   1일 한국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황기환 지사가 안장되어 있는 뉴욕 올리벳 묘지 측에서 황 지사의 유해 파묘에 전격 합의하면서, 순국 100년 만에 유해 봉환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가보훈처는 유해 봉환반 파견을 비롯한 미국 현지에서의 추모행사, 한국 봉환 등 본격적인 유해 봉환 준비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며, 유해가 한국로 봉환되면 정부 주관으로 유해 봉환식을 거행, 영현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국가보훈처는 2013년부터 황 지사의 유해 봉환을 추진해 왔지만, 올리벳 묘지 측은 유족이 없는 황 지사의 유해 파묘 및 봉환은 법원의 결정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2019년과 2022년 국가보훈처는 두 차례에 걸쳐 법원에 유해 봉환 소송을 제기했지만, 족보나 유족을 확인할 수 있는 공적 자료가 확인되지 않아 법원의 승인을 받지 못해 유해 봉환에 난항을 겪어 왔다.   결국 국가보훈처는 주뉴욕총영사관과 함께 순국 100년이 되는 올해 유해를 봉환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비롯해 대한민국 국민과 해외동포들의 염원을 담아 올리벳 묘지 측을 설득한 끝에 파묘 합의를 이끌어 냈다.   합의 과정에서는 한국 김앤장 법률사무소, 로버트 홀든(민주·30선거구)·조 보렐리(공화·51선거구) 뉴욕시의원, 김광수 변호사 등이 적극 지원했다고 국가보훈처는 설명했다.   황 지사는 미국 유학 중 미군에 자원입대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전쟁 후 1919년 6월 프랑스로 이동해 베르사유 평화회의에 참석하러 파리로 온 김규식을 도와 한국대표단의 사무를 협조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파리위원부 서기장으로 임명돼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이후 3·1 운동과 한국 독립의 당위성을 해외에서 적극적으로 알리다 23년 심장마비로 생을 마쳤다. 한국 정부는 95년 그를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황기환 지사 유해 봉환식 황기환 애국지사 황기환 지사

2023.02.01. 19:3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