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 주민들이 가장 희망하는 유해 산골 명소
시신을 화장한 후 남은 유해(遺骸/뼈가루)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행위를 산골(散骨)이라 한다.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아 생명보험사 ‘초이스 뮤추얼’(Choice Mutual)이 실시한 가상의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016명에게 “당신의 유해를 미국 건국과 관련된 기념지 중 한 곳에 뿌릴 수 있다면, 어디를 선택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같은 장소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미국의 자유와 정의, 그 복잡하고 깊은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누군가의 마지막 바람이 이런 땅에 뿌려진다는 것은 단지 죽음이 아닌 가치에 대한 헌신과 기억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다음은 CW 33 TV가 최근 소개한 텍사스 주민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유해 산골 장소들이다. ■1위 샌안토니오 소재 알라모 요새(The Alamo): 원래 스페인 선교소였던 알라모는 1836년 텍사스 혁명 중 13일간 벌어진 전투에서 상징적인 장소가 됐다. 당시 약 200명의 텍사스 수비대가 전사했으며 오늘날까지 자유를 위한 희생의 상징지로 남아 있다. 1776년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개인의 희생과 자유정신을 기리는 장소로서 7월 4일의 보편적 의미를 담는 곳이라 할 수 있다. ■2위 워싱턴 소재 워싱턴 온 더 브라조스(Washington-on-the-Brazos): 1836년 3월 2일, 텍사스 대표들이 이곳에서 멕시코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며 ‘텍사스 독립 선언서’에 서명했다. 독립의회 건물 복제본, 박물관, 해설 산책로 등이 있으며 텍사스 혁명 정신을 되새기는 성지다. 미국 독립과는 시기적으로 다르지만 그 정신은 1776년을 떠올리게 한다. 국경을 넘는 자유의 움직임에 마음이 끌리는 이들에게 이곳은 혁명이 새로운 땅에서 다시 태어난 신성한 장소다. ■3위 라 포트 소재 샌 하신토 전적지 및 기념탑(San Jacinto Battlefield & Monument) 1836년 4월 21일, 샘 휴스턴 장군이 이끄는 텍사스 군이 산타 안나 장군의 멕시코 군대를 18분만에 제압하며 독립을 실현한 전투 장소다. 워싱턴 기념비보다도 높은 567피트 높이의 기념탑은 텍사스 독립을 확정지은 이 승리를 기리고 있으며 이곳에는 박물관과 기념 연못이 있다. 미국 독립혁명의 일부는 아니지만, 자치에 대한 강렬한 갈망을 그대로 담고 있다. 별 모양의 불꽃과 결의의 왕관 아래, 자결권과 자유를 향한 갈망을 보여주는 대담한 장소로 마지막 안식을 청할 만한 공간이다. ■그 외 미국 전역의 주목할 만한 장소들 ▲인디펜던스 홀(Independence Hall/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1732년에 지어진 인디펜던스 홀은 미국 독립 선언서(1776)와 헌법(1787)이 토론되고 서명된 장소다. 이곳은 제2차 대륙회의가 열렸으며, 한때 펜실베니아의 주의사당으로 사용됐다. 원래의 ‘떠오르는 태양 의자’가 여전히 회의실 정면에 놓여 있다. 이곳에 유해를 뿌리는 것은 민주주의의 발상지, 즉 혁명이 공화국이 되고 말이 세대를 바꾼 방으로 돌아가는 행위다. 시민 신앙의 성지다. ▲러시모어 산(Mount Rushmore/사우스 다코타주 키스톤): 1927년부터 1941년 사이에 조각된 러시모어 산은 워싱턴, 제퍼슨, 링컨,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60피트 석상으로 구성돼 있다. 이 조각은 국가의 탄생, 확장, 보존, 발전을 상징하기 위해 거츠온 보글럼이 조각했다. 라코타족에게 신성한 블랙 힐스에 위치한 이곳은 상징과 논란이 공존한다. 이곳에 유해를 뿌리는 것은 미국의 이상과 모순이 두드러지게 만나는, 건국 신화의 석상 아래 안식하는 것이다. ▲알래스카주 승격 기념비(Alaska Statehood Monument/알래스카주 주노): 주도 항구 앞에 자리한 이 소박한 기념비는 알래스카가 주로 승격되기까지의 오랜 여정을 기린다. 1959년에야 비로소 49번째 별이 미국 국기에 더해졌지만 알래스카는 오랫동안 미국 북부 변경의 일부분이었다. 물가에 설치된 화강암 인장과 해안의 푸르름은 정착민과 원주민 알래스카인의 노력을 조용히 기린다. 미국의 미완의 이야기를 되새기기에 평화로운 장소로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바라보게 한다. ▲포트 모즈(Fort Mose/플로리다주 세인트 오거스틴): 미국 최초의 합법적인 자유 흑인 정착지인 포트 모즈는 1700년대 초 영국 식민지에서 탈출한 노예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이는 1776년 이전의 일이지만 자유를 향한 갈망은 동일하다. 현재는 복원된 흙 요새와 해설 센터를 통해 저항과 공동체에 뿌리를 둔 자유의 의미를 깊이 있게 조명한다. ▲포트 매키낵(Fort Mackinac/미시간주 매키낵섬): 1780년 영국이 세운 이 요새는 독립 전쟁 후 미국에 양도됐다. 1812년 전쟁 중 전투가 벌어졌으며 지금도 12채 이상의 원형 건물이 보존돼 있다. 현재는 주립공원의 일부로서 매일 재현 행사가 열린다. 이곳을 마지막 안식처로 택하는 것은 치열하게 쟁탈됐던 땅에 머무르는 것이며 미국의 주권이 총과 조약으로 시험받고 확립된 장소에서 쉬는 것이다. ▲올드 노스 교회(Old North Church/매사추세츠주 보스턴): 1723년에 세워진 올드 노스는 보스턴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다. 1775년 4월 18일, 두 개의 등불이 이곳 종탑에 걸려 폴 리비어에게 “영국군이 온다”는 신호를 보냈다. 지하 납골당에는 식민지 시대의 유해 1,100구 이상이 안치돼 있다. 오늘날에도 교회로 운영되고 있다. 이 근처에 유해를 뿌리는 것은 혁명의 울림 속에 합류하는 것이며 독립을 향한 길을 밝히고 자유 투쟁이 현실이 된 그 순간의 등불 아래에 안식하는 것이다. ▲엘 푸에블로 데 로스 앙헬레스(El Pueblo de Los Ángeles/캘리포니아주 LA): 관광객들에게 자주 간과되는 이 작은 광장은 로스앤젤레스가 태어난 장소다. 원래의 스페인 예배당과 어도비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멕시코, 원주민, 미국 문화가 어우러지는 지점을 상징한다. 근처에는 아직도 마리아치 밴드가 연주를 하고 구운 옥수수 냄새가 공기를 채운다. 신성한 장소이자 미국의 진정한 시작을 말해주는 생동감 있고 불완전한 문화의 모자이크다. ▲콜로라도주 의사당(Colorado State Capitol/덴버): 해발 1마일 위에 자리한 콜로라도주 의사당은 단순한 랜드마크를 넘어 국가의 서진 확장을 상징한다. 콜로라도는 1876년, 독립 선언서가 발표된 지 정확히 100년 후에 연방에 가입해 ‘센테니얼 스테이트’라는 별명을 얻었다. 금빛 돔이 빛나는 이 건물은 미국의 건국이 한 번의 사건이 아니라 서쪽으로 계속 확장되는 약속이었음을 상기시킨다. ▲포트 타이콘데로가(Fort Ticonderoga/뉴욕): 1755년 프랑스가 세운 이 요새는 1775년 이선 앨런과 베네딕트 아널드가 탈취했으며 이는 미국 혁명의 첫 승리였다. 이곳은 보스턴 포위를 위한 대포를 공급했다. 복원된 요새와 박물관은 샴플레인 호수를 내려다본다. 이곳에 유해를 뿌리는 것은 자유의 개념에 무기를 제공했던 요새, 전략과 차가운 공기, 대담한 행동이 공존한 북부 전선의 수호자에 안식하는 것이다. ▲만자나 국립 역사 유적지(Manzanar/캘리포니아주 오웬스밸리) 제2차 세계대전 중 수천명의 일본계 미국인이 부당하게 감금됐던 강제수용소가 있던 사막이다. 메마른 바람, 험준한 산, 끝없는 먼지의 사막은 가혹하지만 그 이야기들은 따뜻하고 인간적이며 철저히 미국적이다. 묘비에는 종이 학들이 둘러싸여 있다. 자유가 시험받고 다시 되찾아졌던 곳에 유해를 뿌리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만자나는 가슴 아프면서도 영예로운 장소다. 손혜성 기자텍사스 주민 텍사스 독립 텍사스 주민들 유해 산골
2025.07.08. 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