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오픈 업] 은빛 쓰나미서 황금 파도로

“학생증 사진 찍을 때 화장해도 돼요?”     열여섯 살 손녀의 물음에 나도 모르게 불쑥 대답했다. “그럼 더 예뻐 보일 텐데.”   옆에 있던 딸이 기가 막힌다는 듯 웃는다. “엄마는 내가 고등학생일 때, 대학 가기 전엔 화장하지 말라고 고집하더니….”     딸의 말대로다. 세 아이를 키우던 젊은 시절엔 걱정이 많았다. 뭐든 “안 돼!”를 연발하며 자녀를 키웠던 기억이 선명하다. 그런 내가 이제 와서 손녀에게 ‘예뻐 보일’ 자유를 허락하다니. 그동안 나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나이가 들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고 한다. 특히 80대 초반이 되면 20대 초반과 비슷한 수준의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의 위기 시기에 잠시 주춤했다가 다시 서서히 상승하는 이 행복감은, 신체적 질병이나 경제적 어려움, 지적 능력의 저하와 무관하다는 점이 흥미롭다.   학자들은 이 상식 밖의 현상에 대해 몇 가지 이유를 제시한다.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고, 과거 성취에 만족하며, 동료들과의 경쟁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느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침팬지나 오랑우탄 같은 유인원들도 중년 이후 더 편안하고 즐거운 기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뇌가 더욱 편안한 상태로 변해간다는 추측을 뒷받침한다.   물론, 과거에는 노년의 삶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었다. 100여 년 전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는 “50세가 넘은 개인은 융통성이 결여되어 더 이상 가르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뇌 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이러한 통념은 완전히 깨졌다. 뇌 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우리 뇌는 평생에 걸쳐 새로운 신경 세포를 만들고, 정보 교환을 활성화하며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런던 택시 운전사 연구는 뇌 가소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복잡한 중세 도로를 누비는 런던 택시 운전사는 어려운 시험과 3년마다 치르는 재시험에 합격해야 하는데, 오랜 경력의 운전사들은 비슷한 연령대의 비운전자에 비해 기억 중추인 해마 조직이 훨씬 커져 있었다. 이 연구는 끊임없는 학습과 노력이 뇌를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 60세가 넘어서도 새로운 학문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은빛 쓰나미(Silver Tsunami)’라 불리며 사회적 부담으로 여겨지던 노년층이, 이제는 ‘황금빛 파도(Golden Wave)’로 불리며 활력 넘치는 새로운 삶의 주인공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새들러 박사는 은퇴 이후의 30년을 ‘제3의 시기(Third Age)’ 또는 ‘열정의 시기(Hot Age)’라 명명했다.   새들러 박사가 제시한 ‘열정의 시기’를 보람 있게 살아가는 사람들은 공통점이 있다. 돈, 명예, 지위 대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의 가치를 찾아 내면의 만족을 추구한다.   또 ‘나’를 위한 삶을 산다. 과거에는 가족, 친구, 직장을 위해 살았다면, 이제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삶을 산다. 뿐만 아니라 은퇴 후에도 과거에 하고 싶었던 일, 여가 활동, 봉사 등 스스로 선택한 일을 하며 계속 활동한다. 다양한 관계를 맺는데도 소홀하지 않다.     죽음이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임을 받아들이고 언제든 맞이할 준비를 한다.   “안 돼”를 외치던 내가 손녀에게 “더 예뻐 보일 텐데”라고 말한 건, 아마도 오랜 세월을 거치며 쌓인 삶의 경험과 지혜가 나를 더 자유롭고 유연한 사람으로 만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제3의 시기를 향해 나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건강과 행복이 함께하기를 바란다. 수잔 정 / 소아정신과 전문의오픈 업 쓰나미 은빛 은빛 쓰나미 황금 파도 심리학자 윌리엄

2025.08.20. 19:2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