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SAT 응시생 2년 연속 증가

올해 3월부터 SAT(수학능력평가시험)가 디지털 방식으로 전면 전환된 가운데, SAT 응시생이 2년 연속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전체 평균점수는 하락했고, 아시안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인종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칼리지보드가 발표한 ‘2024년도 고교 졸업생 SAT 성적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미 전역에서 SAT에 응시한 학생 수는 197만3891명으로 전년도 응시자 수(191만3742명)보다 약 3.2% 증가했다.     아시안 학생 응시자 수도 늘었다. 지난해 아시안 학생 응시자 수는 19만4108명에 그쳤지만 올해는 20만385명으로 약 3.3% 증가했다.     전체 평균점수는 오히려 하락했다. 전국 응시자의 평균점수는 1600점 만점에 1024점으로, 작년 평균점수(1028점)에 비해 떨어졌다.   아시안 학생들의 평균점수는 1228점으로 지난해(1219점) 대비 올랐다. 백인 학생 평균점수는 1083점, 히스패닉은 939점, 흑인은 907점 등을 기록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응시생 증가 sat 응시생 학생 평균점수 연속 증가

2024.10.02. 19:40

SAT 응시 10% 증가, 점수는 22점 하락

하버드를 비롯한 주요 대학들이 대학입학자격시험(SAT) 점수 제출 규정을 다시 부활시키고 있는 가운데, 응시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칼리지보드가 최근 발표한 ‘2023년도 고교 졸업생 SAT 성적 보고서’에 따르면 미전역에서 SAT에 응시한 학생 수는 191만3742명으로, 전년도(173만 명) 대비, 10% 증가했다.     인종별로는 백인 학생이 75만2632명이 응시하며 전체 응시 학생의 39%를 차지했다. 그 뒤로 히스패닉(46만2186명· 24%), 흑인(22만5954명·12%), 아시안(19만4108명·10%) 순이다.     응시자 수는 늘었지만, 점수는 하락했다. 전국 응시자의 평균 점수는 1600점 만점에 1028점으로, 전년도 점수(1050점)와 비교하면 22점이 떨어졌다. 특히 수학 점수가 2022년 521점에서 2023년 508점으로 크게 낮아졌다. 영어 점수는 520점으로, 지난해의 529점에서 9점 떨어졌다.   교육 관계자들은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수업 등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된 후 낮아진 학업 수준이 완전히 회복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아시안 학생의 경우 평균 점수는 1219점으로, 전체 평균 점수보다 월등히 높지만 1년 전의 1229점보다는 10점 하락했다. 영어 점수는 596점에서 593점으로, 수학은 633점에서 626점으로 파악됐다. 아시안 학생의 평균 점수는 인종별 점수에서도 여전히 가장 높다.   한편 주별로 보면 캘리포니아에서 시험을 치른 학생 수는 12만2914명이다. 가주 학생의 평균 점수는 1082점(영어 546점, 수학 536점)이며, 아시안 학생은 1263점(영어 621점, 수학 642점)이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응시생 하락 sat 응시생 영어 점수 수학 점수

2024.04.22. 20:06

한국어능력시험 접수 시작…6일까지 지원

LA한국교육원(원장 신주식)은 오는 4월 8일 실시 예정인 제87회 한국어 능력 시험 지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한국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한국어 능력 시험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재외동포와 타인종을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으로, 토픽(TOPIK)Ⅰ과 토픽 II로 구분된다.   지원자는 오는 2월 6일까지 교육원에 방문하거나 이메일 또는 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신주식 교육원장은 “올해도 상·하반기 각 1회 한국어능력 시험이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히고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청소년 등 시험을 준비 중인 분들은 서둘러 접수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시험에 관한 자세한 사항과 지원서는 교육원 홈페이지(www.kecla.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213)386-3112, 3113한국어능력시험 응시생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생 한국어능력 시험 한국어 능력

2023.01.30. 19:28

대학이 선호하는 응시생 인성은 4차 산업혁명에 맞는 협업 능력

‘협업’ 하면 바로 떠오르는 강렬한 기억이 있다. 학생들과 동부의 여러 대학을 방문을 할 때였다. 각 대학들이 자신의 학교의 장점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그리고 인재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그 중 존스홉킨스 대학의입학사정관이 매우 특이하고 강하게 ‘협업능력’을 수차례 이야기 하며 강조한 기억이다. 한 개인이 가진 뛰어난 능력이 팀 안에서 발휘되지 않으면 그 가치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재가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 역량으로 협업이 강조되는 이유다.     ▶협업이 중요해 지고 있는 이유   한사람이 가진 좋은 아이디어에도 다른 사람의 다른 해석이 더 해질 때 처음에 생각하지 못한 뛰어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공룡을 재현할 때 역사 지식을 가진 사람과 과학 지식을 가진 사람 그리고 미술 지식을 가진 사람이 함께 재현할 때 훨씬 더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게 MIT가 강조하는 부분이다. 세상이 빠르게 진화 발전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팀이 함께 함께 일을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협업이 강조된다. 각자가 자신이 가진 전문성과 장점을 잘 살려 공동의 목표를 이뤄 나가기 위해 팀원들의 말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절하며 팀의 목표를 이뤄 나가지 않고 자신만의 역량으로 이뤄 나갈 수 있는 것은 극도로 제한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준비되어야 한다.     ▶나의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팀 스포츠를 한 학생들을 좋선호한다는 말이 있다. 여럿이 함께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할 때 써 경기를 승리로 이끈 경험을 해 본 학생들은 자신만의 기량을 뽐내려고 하지 않고 동료를 격려하며 팀의 사기를 북돋울 줄 안다. 그리고 팀에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해 작은 부분이라고 자신의 임무에 충실하는 팀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안다. 개인전에는 강하지만 팀경기에는 약한 사람들이 있다. 자기의 우월함이 돋보이지 않을까봐 팀에서는 좋은 의견을 내놓지 않으면서 자신이 돋보일 기회를 찾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과는 일을 하는 건 참 어렵다. 좋은 팀워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유대감 형성이 우선이다. 팀원과 친해져야 하고 같은 목표를 함께 이뤄 나가는 것이 즐겁고 힘이 된다고 느껴질 때 팀원 간의 신뢰가 쌓이고 불필요한 경쟁심 혹은 자신의 성과를 빼앗기면 어떻게 하면 좋은지 등의 불안함은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협업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은 없어서는 안될 핵심 능력이다. 팀원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방향을 제시해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이 우선시 된다. 조직을 이해하고 각 팀원들의 우수한 점을 찾아 각 기능을 맡길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끊임없이 공동의 비전과 목적을 되새기게 함으로써 협력을 끌어낼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교사와 부모의 역할   중고등학교 수업 중에 그룹 프로젝트가 있다. 그룹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남다른 책임감을 가지고 팀을 처음부터 끝까지 해 나가려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연락도 되지 않고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않거나 틀린 내용을 가지고 오는 학생들이 있는데 결국 팀의 점수가 각 개인에게 돌아간다. 그래서 늘 열심히 하는 학생들은 그 과정의 어려움과 결과에 대한 불만을 쏟아 놓는다. 나는 열심히 했는데 다른 친구들 때문에 B학점을 받아야 한다는 걸 수용하기 어렵다. 교육국에서 이를 모를리 없다.   하지만 학생들이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그룹 프로젝트를 주는 것이다. 내가 A학점을 받기 원한다면 나의 팀을 이끌어 최상의 결과를 만들 수 있도록 훈련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요청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어려서부터 키워 나가려는 의도다. 여기에 부모 교육이 빠진다면 학교 교육만으로 배우는 것이 가능할까? 경쟁에서 이기라고 가르치기보다는 친구는 함께 하는 사람임을 가르쳐야 한다. 나와 다른 의견을 받아들일 줄 알 수 있도록 부모와 대화 훈련을 해야 한다.     ▶문의: (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 A1칼리지프렙산업혁명 응시생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능력

2022.10.23. 19: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