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보험이 없는 일리노이 주민의 숫자가 모두 87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종별로 보험 유무의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됐다. 연방센서스국이 최근 발표한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일리노이 주민 가운데 의료보험이 없는 이는 모두 87만5000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체 일리노이 주민의 7%에 해당하는 수치다. 무보험 일리노이 주민의 비율은 2020년 6.8%에서 소폭 상승했다. 작년 기준 전국 무보험자 비율은 8.6%였다. 무보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연방 정부의 지원 때문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즉 연방 정부가 매년 메디케어 혜택을 받고 있는 주민들로 갱신을 위해 서류 제출을 요구했으나 팬데믹 기간 동안은 서류 미제출을 이유로 혜택을 중단하는 것을 금지한 바 있다. 아울러 오바마케어에 대한 지원을 늘려 보험 가입을 용이하게 한 것도 이유로 지적됐다. 최근 연방의회에서 통과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오바마케어에 대한 지원 확대는 2025년까지 연장된 바 있다. 일리노이 주민의 인종별 무보험 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냈다. 보험이 없는 라티노 주민 비율은 15.8%였다. 흑인 무보험자는 7.9%였는데 이는 백인 무보험자 비율 4.3%에 비하면 현저히 높은 수준이었다. 소득 수준에 따른 보험 가입 여부를 보면 연 소득이 2만5000달러에서 5만달러 미만 일리노이 주민 10.8%가 보험이 없어 가장 높았다. 이 경우 저소득층을 위한 메디케이드에 해당되지 않으면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오바마케어 역시 보험금이 비싸 가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보험을 가진 일리노이 주민들 중에서 직장 제공 보험인 경우는 59%에 달했다. 반면 메디케이드나 메디케어 등 정부 제공 보험을 소유한 경우는 35%로 집계됐다. Nathan Park 기자의료보험 일리노이 일리노이 주민들 무보험 일리노이 무보험자 비율
2022.09.16. 14:31
캘리포니아주가 미국에서 최초로 전 연령대의 서류미비자(불법체류자)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하는 주가 된다. 개빈 뉴섬 주지사는 늦어도 2024년 1월부터 26~49세 연령대의 저소득층 서류미비자에게주 정부가 지원하는 건강보험 프로그램인 메디캘(Medi-Cal)을 확대 제공한다고 지난 26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뉴섬 주지사는 연간 26억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기로 주의회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가주는 그동안 메디캘 수혜 자격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합법적으로 체류하는 저소득층 가정에 한해 제공됐던 메디캘은 2015년부터 저소득층 서류미비자 가정의 18세 미만 미성년 자녀들을 포함했다. 그러다 4년 뒤부터 해당 연령대를 26세 미만으로 넓혔으며, 올해 5월부터는 50세 이상 저소득층 서류미비자까지 메디캘을 제공하고 있다. 또 체류 신분과 상관없이 장애인, 임산부,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메디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했다. 따라서 이번에 새로 추가돼 건강보험 혜택을 받게 되는 서류미비자 수혜자는 약 70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고 주지사 사무실은 설명했다. UC버클리 산하 노동교육연구센터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의료보험이 없는 가주민들의 대부분이 서류미비자들이다. 가주이민정책센터의 새라 다르 보건공공복지정책 국장은 이번 조치는 가주의 포용성과 공정성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미 전역의 모델이 되고 있다”고 반겼다. 장연화 기자의료보험 불체자 저소득층 서류미비자 서류미비자 수혜자 전국 최초
2022.06.28. 22:30
“제가 최근에 중병에 걸려도 보험금이 나오는 생명보험에 가입했어요. 그런데도 의료보험을 따로 들어야 하나요?” “오바마 케어로 의료 보험이 생겼는데 현재 가진 중병 보상 생명보험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보험 종류가 워낙 많다 보니 생명보험 회사에서 제공하는 중병 보상 조항과 의료보험사들이 다루는 의료보험의 차이점을 잘 모르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엄연히 다른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그 차이점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병 보상 생명보험은 가입자가 지속적인 진료를 필요로 하는 위중한 병 또는 생명을 잃을 정도의 중병에 걸렸을 때 보험사가 각각의 질병에 관해 규정한 요건에 따라 정해진 목돈을 가입자에게 직접 지불하는 플랜이다. 즉 만일 50만 달러의 생명보험에 가입돼 있을 경우, 위중한 수술을 받아서 생명보험에서 이 보험금의 절반에 해당하는 보험금을 미리 받아서 사용했다면 나머지 25만 달러의 보험금은 남아서 계속된 혜택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생명보험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직접 보험금을 지급하지만, 우리가 흔히 건강보험이라고 부르는 의료보험은 보험사가 가입자가 아닌 의료기관에 진료비를 지급하는 플랜이다. 즉 병원비나 진료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의료보험회사가 부담해서 가입자들의 재산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장치라 할 수 있다. 특히 의료수가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미국에서는 맹장 수술 한번 받는데도 보험이 없으면 4~5만 달러를 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진료나 큰 수술이 요구되는 병에 걸리면 엄청난 치료비를 물어내야 한다. 그러나 의료보험에 가입돼 있으면 이런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대부분의 의료보험 플랜들은 가입자가 질병이나 사고로 병원 진료를 받게 되면 미리 정해진 공제금액(디덕터블)을 내고 나머지 진료비의 일부를 본인부담금(코페이먼트)으로 지불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가입한 의료보험이 공제금액 2500달러에 본인부담금 30%, 그리고 지급 최대한도액이 7000달러라고 가정할 때 이 사람이 어떤 질병으로 1만 달러짜리 수술을 받게 되면 얼마를 내야 할 지 계산해 보자. 쉽게 설명하자면 A는 본인 부담액 2500달러에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진료비 7500달러의 30%를 내야 한다. 만약 진료비가 이보다 훨씬 많이 나와도 본인의 지급 최대한도액이 7000달러이므로 그해에는 7000달러 이상은 내지 않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의료보험사가 대부분 의사 또는 병원 측과 협의해 진료비를 일단 대폭 할인받게 되므로 A는 약 5000~6000달러의 진료비에 대해 공제금액과 본인부담금을 지불하면 된다. 다시 생명보험으로 돌아가서 설명하자면 가입자는 보험사로부터 직접 목돈으로 보험금을 받게 되는 데 이 돈은 약관에 따라 지급된 돈이므로 본인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고 굳이 의료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혜택은 자신의 사망보험금을 미리 자신을 위해 받아서 사용한다는 개념이므로 이를 ‘생전 혜택’(Living Benefit)이라고 부른다. 또 어떤 의료기관들은 특정한 수술의 경우, 보험환자와 현금환자를 차별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이런 때 목돈이 있으면 도움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대략 살펴보았지만, 의료보험과 질병보험은 그 내용과 구조가 아주 다르므로 가입자들이 이를 혼동하지 않고 자신의 의도와 계획에 알맞은 플랜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문의: (213)503-6565 알렉스 한 / 재정보험 전문가보험 상식 질병보험 의료보험 의료보험 플랜들 의료보험 차이 생명보험 회사
2022.06.15. 17:39
캘리포니아 주의회가 모든 주민들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하는 ‘유니버설 건강보험’ 제도를 추진한다. 가주는 오는 7월부터 50세 이상 저소득층자에게 메디캘 혜택을 확대하는 만큼 이번 유니버설 건강보험 시행 여부도 주목된다. 가주 민주당이 재추진하고 있는 이 법안(AB1400)은 건강 관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과될 경우 주 정부 차원에서 건강보험을 운영하는 미국 내 첫 주 정부가 된다. 가주 하원 산하 보건위원회는 오는 11일 이 법안을 심의할 예정으로 이미 위원장이 법안을 지지한다고 밝혀 본회의 상정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공화당 소속 의원들은 물론, 보험회사와 의료인들이 반발하고 나서 통과 여부는 불투명하다. 가주는 지난 2020년에도 비슷한 법안을 추진했으나 실패했었다. 애쉬 카를라가주 하원의원이 제출한 이 법안에 따르면 건강 관리 시스템 운영비 마련을 위해 연수입이 최소 200만 달러 이상인 사업체에 연간 2.3%의 세금을 부과하게 된다. 또 직원이 50명 이상인 고용주에게는 1.25%의 세금을 부과한다. 이밖에 연 소득 14만9509달러 이상 소득자에게 0.5%, 연 소득 248만 달러 이상 소득자에게 2.5%의 소득세를 추가로 걷는다. 이 계획에 따르면 주 정부는 연간 1630억 달러의 세금을 추가 징수하게 된다. 가주납세자협회의 로버트 구티에레스 회장은 “1630억 달러라는 세금을 걷어가지만 건강보험 시스템이 누구에게나 혜택을 줄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며 “오히려 가주민의 생활비를 가중하고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대했다. 가주의료협회와 가주병원협회에서도 “유니버설 헬스케어가 도입되면 민간 의료보험을 선택하거나 보험을 거절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어질 것”이라며 “이러한 제한이 오히려 개인이 받을 수 있는 건강보험 혜택을 축소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화당에서도 강력한 반대에 나섰다. 공화당 소속의 조던 커닝엄 하원의원(샌루이스오비스포)은 “4000만명의 주민을 관료들이 운영하는 의료 시스템에 강제로 들어가게 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장연화 기자의료보험 유니버설 유니버설 건강보험 건강보험 시스템 가주민 의료보험
2022.01.07. 20:54